[신수진의 사진 읽기] [1]

미국 뉴욕의 록펠러 센터 건설 현장을 찍은 이 사진은 무려 80년 전 근로자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대공황 시기에 미국 내에서 실행된 유일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였던 이곳에서 수많은 근로자가 일자리를 얻었다. 놀라운 것은 69층 높이 공사장에서 휴식을 취하는 그들의 모습이 기이하리만치 자연스럽고 여유롭다는 점이다. 아찔한 마천루는 그들 삶의 터전이 되었다. 땅을 일구는 농부나 바다에 뛰어드는 해녀처럼 그들은 하늘을 올랐을 것이다. 사진에 담긴 그곳에서의 점심 식사는 일상적이고 평화롭다. 하지만 이러한 휴식은 잠시일 뿐이다. 이와 같은 현장에서 현기증 나는 공포나 목숨을 건 치열함을 피해갈 순 없었을 테니 말이다. 사진 속 근로자들의 모습에서 읽히는 평화는 삶을 지탱하기 위한 악전고투의 다른 얼굴인 것이다.


	,‘ 록펠러 센터 건설 중 GE빌딩 69층에서 점심 식사를 하는 근로자들’
하늘 위 식당 - 루이스 하인,‘ 록펠러 센터 건설 중 GE빌딩 69층에서 점심 식사를 하는 근로자들’, 뉴욕, 1932.

 

사진은 시간을 담는다. 찰나의 순간이 고정되면서 사진은 시대의 목격자가 되기도 하고 마음을 위로하는 친구가 되기도 한다. 지나간 시간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사진으로 다시 경험할 순 있다. 과거를 바라보는 창문이 되기도 하고, 동시에 나의 현실을 반추하는 거울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는 것이다.

이 사진을 찍은 루이스 하인(Lewis Hine·1874~1940)도 사진 속 근로자들처럼 직업인으로서의 현실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사람이다. 고등학교 졸업할 무렵 아버지가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하면서 거의 10년 동안 대학 진학을 미루고 온갖 잡역을 전전해야 했다. 이후 교육학과 사회학 공부를 계속하면서 30년 가까이 꾸준히 활동했지만, 이 사진을 찍기 전까지 생계를 이어가는 일은 그에게 고단한 짐이었다. 결국 환갑을 앞두고 찍은 '일하는 사람들' 연작을 통해 그는 사회적 다큐멘터리 분야에서 불멸의 명작을 남기게 되었고 지치지 않는 열정에 대한 보상을 받게 되었다.

나와 가족의 생계를 위해서 일하는 시간은 고귀하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일을 통해서 많은 사람과 생각을 나누고 가치를 공감할 수 있다면 행운이 아닐 수 없다. 루이스 하인의 사진을 다시 보며, 모든 일하는 사람에게 고귀함과 행운이 함께하길 바라 본다.

(신수진 사진심리학자)

봄철이 되면 꼭 한번 씩 들려보는 곳이 강화 풍물시장이다.

나물 파는 할머니들이 펼친 난장도 좋지만, 재래시장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곳은 오래 전, 화문석을 팔던 새벽시장이었다.

시골에서 컴컴한 새벽부터 화문석을 이고 지고 몰려왔던 곳이었으나

지금은 장옥을 지어 화문석매장을 비롯한 각 각의 매장들과 식당이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장옥 앞 마당에 할머니들의 난장도 펼쳐진다.

대개 난장에만 손님들이 몰리고 장옥에는 한산한 타 지역 장들에 비해

난장이나 장옥이나 똑 같이 손님들로 붐빈다.

수도권에서 가까워 관광객들이 찾는 이유도 있지만 볼거리와 먹거리를 다 갖추었기 때문이다.

이층 식당가에서 밴뎅이 회덮밥에다 강화의 인삼막걸리 한 잔하는 맛도 일품이다.

한번 쯤, 가족들과 나들이 해 볼만한 오일장으로 추천한다.

 

지난 22일, 강화장에서 만난 모습들이다.

 

2012.4.23

 

 

 

 

 

 

 

 

 (전시 팜프렛)

 

 

 

 

 

 

 

 

 

 

 

 

 

 

 

 

 

 

 

 

 

 

 

 

 

 

 

 

 

 

 

 

 

 

 

 

이 사진은 "사진과 평론사"에서 발행한 "한국걸작사진선 1집"에 게재된 조문호의 "87민주행쟁" 사진입니다.

 

 

 

 

 

 

 

 

 

 

 

 

 

 

 

 

 

 

 

 

 






























 

 


 

 


 


 


 


 


 

 

 


 


 


 


 


 


 

 


 


 


 


 


 


 


 

 

가조장 / 권창수 / 80세

 

경주 건천장 / 한순남 / 80세

 

고흥 녹동장 / 박순아 / 80세

 

 

곡성장 / 전순례 /79세

 

광양 옥곡장 / 오미자 / 74세

 

 남원 인월장 / 정구식 / 63세

 

부산 노포장 / 박술련 / 70세

 

대산장 / 유묘연 / 65세

 

대천장 / 김점순 / 68세

 

성주장 / 조소연 / 80세

 

 

영암장 / 문 전 / 73세

 

예산장 / 장정환(68세) 방희열(65세)부부

 

 

진해 웅천장 / 이숙희 / 60세

 

월내장 / 김천숙 / 86세

 

의령장 / 박말남 / 83세

 

 제주 한림장 / 조대옥 /68세

 

제주장 / 박점례 / 82세

 

 

김해 진례장 / 안상환 / 56세

 

진천장 / 박동환 (74세) 이수남 (71세) 부부

 

차황장 / 이월순 / 81세

 

청도장 / 양귀분 / 80세

 

  청양장 / 임호남 / 62세

 

청원 부용장 / 김정자 / 78세

 

칠원장 / 김석곤 / 74세

 

태안장 / 정귀숙 / 65세

 

 

 

논산장 / 백필순 / 88세

'조문호사진판 > 장터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날, 그 쓸쓸한 변두리 풍경2  (0) 2015.07.06
장날, 그 쓸쓸한 변두리 풍경1  (0) 2015.07.06
장터 풍경  (0) 2013.07.14
장터 사람들 2  (0) 2013.07.14
장터 사람들 1  (0) 2013.04.21

 

 

 

 

논산 양촌장

논산 양촌장

 

해남 송지장

 

 

 

 

 

 

 

의령 신반장

 

울산 언양장

 

 

 

 

정선장

 

 

 

 

 

'조문호사진판 > 장터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날, 그 쓸쓸한 변두리 풍경2  (0) 2015.07.06
장날, 그 쓸쓸한 변두리 풍경1  (0) 2015.07.06
장터 풍경  (0) 2013.07.14
장터 사람들 2  (0) 2013.07.14
장터 사람들 (흑백)  (0) 2013.04.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