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저녁 무렵, 내연의 여인이 인사동으로 떴다는 정보가 접수되었다.
찜통 같은 쪽방에 처 박혀 있으려니 속에 천불이 나, ‘유목민’으로 나갔다.
그 때 그 사람은 보이지 않았지만, 전활철씨와 시원한 콩국수에다 소주 한 잔 했다.
좀 있으니, 아니나 다를까 정영신씨와 김정희씨가 등장했다.
약속이나 한 듯 장경호, 김효성, 공윤희씨도 차례로 나타났다.






장경호씨는 마석에서 박불똥씨와 한 잔 하고 온 처지라 혀가 약간 꼬였다.
걱정은 되었지만, 일단 그가 싫어하는 사람이 없어 안심했다.
장경호씨는 처음 보는 김정희씨 더러 막걸리 한 병 사달라는 구걸을 하더니,
오히려 두 군데 술값을 선불로 내 버리는 호기를 부렸다.






술벗에다 그윽한 여인네들 까지 어울리니, 술맛 좋고 분위기 좋았다.
김효성씨는 힘들어 하는 자기 형 이야기에 눈물까지 흘리더니,
핸드폰에 저장된 손자의 재롱에는 낄낄대는 순정파였다.
그런데, 술판이 무르익으니 판을 바꾸고 싶었던지, 2차를 가잔다.
다 같이 따라 나섰는데, ‘노래하는 ’아리랑‘으로 가고 있었다.






내가 생각하는 ‘아리랑’이란 술집은 ‘월하의 공동묘지’로 기억된다.
오래전 밤늦게 술 취해 들어갔는데, 국악 하는 한복 입은 여인들이
푸른 조명을 받고 앉아 있는 모습이 마치 귀신같았기 때문이다.
그 ‘아리랑’이 ‘국악 라이브’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주인은 그대로였다.
노래방을 운영하며 틈틈이 국악공연을 보여주는데, 춤보다는 소리가 좋다.






난 목소리가 쉰데다 이빨까지 빠져, 이제 노래인생은 끝나버렸다.
다른 사람이 부르는 십팔 번 따라 마셨으니, 술이 술술 넘어갔다.
옆 자리에 앉은 성악가가 부른 ‘칠갑산’에는 눈물이 날 지경이었다.






자정이 가까워 오니 한 사람 한 사람 사라지기 시작했는데,
결국 장경호씨가 김정희씨를 울리고 말았다.

무슨 내용인지 모르지만, 말 한 마디에 자존심이 엄청 상한 모양이다.
에고~

사진 : 김정희, 정영신, 조문호 / 글 : 조문호







































Manlike
김정희展 / KIMJUNGHEE / 金貞希 / photography.sculpture
2017_0503 ▶ 2017_0508



김정희_보물찾기_3D 사진 콜라주_90×90×7cm_2017_부분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7:00pm



가나아트 스페이스GANA ART SPACE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6(관훈동 119번지)

Tel. +82.(0)2.734.1333

www.ganaartspace.com




우리는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 무엇이 되고자 하는 욕망은 우리로 하여금 앞만 보고, 위만 보며 달려가게 한다. 경쟁 속에 도태되지 않기 위해 주변을 향한 동정심도 사치다. 무작정 기둥을 기어오르는 애벌레처럼 서로를 밟고, 기어오르고, 서로를 누르는 경쟁만이 우리를 그 '무엇'이 되게 하리라는 확신마저 든다. ● 그러나 우리는 모두가 그 '무엇'이 될 수는 없다. ● 경쟁 속에 주목받지 못하고 갇혀있는 이들의 부대끼는 소리가 작가에게 말을 건넨다. 작가가 유독 애틋하게 마음을 두었던 물건들, 언제부터 방치 되었는지 조차 관심 갖지 않는 오래된 골동품과 잊혀짐이 삶이 되어버린 가치없이 버려진 물건들은 '무엇'이 되고 싶었지만 그 '무엇'이 될 수 없었던 사연을 닮아있다.



김정희_루소의 길_3D 사진 콜라주_56×45×8cm_2016


김정희_그 순간_3D 사진 콜라주_34×30×6cm_2015


김정희_앵콜_3D 사진 콜라주_38×37×8cm_2016


발버둥쳐도 어찌할 수 없는, 아무도 관심 가져주지 않는 가리워진 사회이면의 그늘이 열린다. 작가의 작품은 연극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한다. 하찮다고 버려지고 잊혀진 골동품들과 오랜 물건들이 모여 작가가 기획한 연극의 주인공이 된다. 사물에 영혼이 있다는 작가의 믿음은 주어진 역할을 맛깔나게 연기하고 있는 살아 숨쉬는 주인공들의 작은 사회를 만든다. 연극에 자주 등장하는 꼭두와 희귀식물은 처음의 존재 가치를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인도하고자하는 마음이 담긴 작가의 특별한 선물이다. 그 무대에서 '무명들의 소리없는 아우성'은 막이 내려도 여운으로 남아 기억 속에 지워지지 않고 자리잡을 소리없는 에너지가 된다. ● 작가의 안타까움과 동정심이 불러일으킨 새로운 창조는 누군가에게 특별한 존재이고 싶었던, 세상 밖으로 나가고자 열망했던 그늘 속 그들을 위로하는 자리이자 의미있게 받아들여지는 존재가치가 되었다. 존재만으로 가치있는 하나의 작품이 되었다.


김정희_싸롱_3D 사진 콜라주_37×37.5×8cm_2016


김정희_이상과 현실_3D 사진 콜라주_35×42×8cm_2016


김정희_드림캐쳐_3D 사진 콜라주_36×45.5×5cm_2017


우리는 어느 누구도 하찮은 존재일 수 없다. 소외된 곳에 작가의 의미있는 눈짓이 의미있는 존재를 만들었 듯이, 작가의 이 가치는 우리서로에게 또 하나의 의미있는 가치를 만들어 내리라... ● "우리는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 「꽃」 中에서...) ■ 김혜원



김정희_부러움과 질투사이_3D 사진 콜라주_45.5×37×5cm_2016


김정희_대박의 꿈_3D 사진 콜라주, 금_37×45.5×5cm_2016


김정희_놀이터_3D 사진 콜라주_50×55×5cm_2016


주인도 없이 방치되어있던 골동품, 사물들을 직접 사진을 찍고 콜라주한 후 여러 겹 입체부조로 만들어 서로 어울리게 해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태어날 때부터 존재가치를 부여받기 위해 이 세상에 나왔지만 인간의 삶처럼 경쟁과 관심에 도태되어있는 존재들에 주목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그들을 특수한 공간 안에 정적인 느낌으로 배치하되 동적인 이미지를 삽입시켜 긴장감 있는 주제부를 나타내려 한다. 또한 사물에 내재적 가치와 영혼이 있다는 믿음은 사물들의 의인화를 통해 엉뚱하고 재치있는 주제부를 만들어냈는데 그 주제부가 드러내는 '무명들의 소리 없는 아우성' 이 작품의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 이 무명한 존재들의 영혼이 관객을 미래의 좋은 세계로 인도하고 위로해 준다는 느낌을 작품에 나타내기 위해 꼭두인형이나 희귀한 식물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며 인간의 삶을 사물에 빗대어 긍정적인 은유로 비틀기도 한다. 미술의 연극성에 대한 관심을 갖고 탐구하던 중에 현실을 매개하는 대상으로 선택한 실제 찍은 사물과 가상의 연출 장면, 그 사이의 미묘한 긴장감에 관심을 갖고 있다. 시간과 공간이 다른 곳의 실제 사물이미지와 가상의 연출 장면, 그 위에 드리운 실제 빛을 혼합하여 생경한 장면을 이끌어내고, 사진, 회화, 조각, 렌티큘러 장르 사이의 미묘한 떨림을 유발하고자 한다. ● 다소 특이하고 초월적인 동시에 해학적인 사물들이 서로 뒤섞여 표현된, 일상적이면서도 익살스러운 풍경을 통해 경쟁 사회 속에서 보다 인정받기 위해 하루하루 분투하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잠시나마 위로 받을 수 있기를 소망한다. ■ 김정희



Vol.20170503d | 김정희展 / KIMJUNGHEE / 金貞希 / photography.sculpture




김정희 (국악인)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지하 (사업가)  (0) 2016.07.04
류정호 (목공예가)  (0) 2016.06.25
김명대 (국악인)  (0) 2016.06.22
김대영 (화가)  (0) 2016.06.20
마동욱 (사진가)  (0) 2016.06.18


이름난 타악주자 김명대와 김정희의 신명이 펼쳐진 굿판


2016 강릉단오제가 음력 5월5일인 지난 9일부터 강릉시 남대천 단오장에서 열렸다.
단오제의 단오굿 제단은 화려한 종이꽃과 무당의 복식들이 눈길을 끌었고,

신위를 모신 제단 아래는 아낙들의 정성어린 소지가 올려지고 있었다.



▲양중이 김명대


축원굿과 부정굿, 군웅 장수굿 등 다양한 단오굿으로 집안의 평안과 생산의 풍요로움,

무병장수와 조상의 숭배와 영혼들의 천도를 간절하게 빌고 있었다.


강릉 단오 굿은 대대로 내려오는 세습무당이 벌이는 굿판으로, 사화선, 빈순애, 신성녀, 박금천,

신길자, 이순덕, 김은영, 신희라, 한민경 등 수 많은 무녀들이 돌아가며 굿을 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최고 타악연주자 장구잽이 중 한 명인 양중이 김명대(우측)와 꽹과리 주자 김정희(좌측

)

단오기간 내내 굿을 하려니, 축원굿의 수도 많이 늘었지만, 무가가 아닌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과부타령인데, 시집 간지 일 년이 못되어 남편을 잃고 모진 시집살이를 하다
중이 된다는 내용이었으나, 흥미로웠다.

그리고 강릉 단오 굿은 타악기로만 연주되는데, 보통 두 대의 꽹과리와 장구, 징, 바라로 짜여 있다



▲우리나라 최고 장구잽이 중 한 명인 김명대



세습무당에 의해 전승되어 온 단오 굿이 어느 지역 무악보다 뛰어난 음악성을 보여주는 것은
양중이들이 어머니의 배속에서부터 소리를 익혀 왔기 때문이다. 선천적으로 타고 난 무악의 경지였다.


특히 양중이 김명대씨는 장구잽이로, 김정희씨는 꽹과리로, 각각 우리나라 최고의 타악기 주자인데,

그 신명을 따를 자가 없다




▲굿판에서 액맥이 소지를 불사르고 있다.

또 하나 재미있는 볼거리는 김명대, 김정희, 두 양중이가 펼치는 액맥이 가무극이었다.
굿의 오랜 역사만큼이나 굿에서의 악가무극은 오래된 것이고, 다양한 예술장르가 발전하는 모태이기도하다.


관객들을 이끌어가는, 그 가무극이 얼마나 웃기는지, 모두들 배꼽을 잡지 않을 수 없었다.

굿판을 떠나오며 양중이 김명대는 무당이기 전에 타고난 광대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문화투데이] 조문호 기자/사진가




2016 강릉단오제가 음력 55일인 9일부터 강릉시 남대천 단오장에서 열렸다.

 

지난 10일 들린 단오굿 제단은 화려한 종이꽃과 무당의 복식들이 일단 눈길을 끌었고,

신위를 모신 제단 아래는 아낙들의 정성으로 소지가 올려지고 있었다.


축원굿과 부정굿, 군웅 장수굿 등 다양한 단오굿으로 집안의 평안과 생산의 풍요로움,

무병장수와 조상의 숭배와 영혼들의 천도를 간절하게 빌고 있었다.

 

강릉 단오 굿은 대대로 내려오는 세습무당이 벌이는 굿판으로, 사화선, 빈순애, 신성녀,

박금천, 신길자, 이순덕, 김은영, 신희라, 한민경 등 수 많은 무녀들이 돌아가며 굿을 하고 있었다.

 

단오기간 내내 굿을 하려니, 축원굿의 수도 많이 늘었지만, 무가가 아닌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과부타령인데, 시집 간지 일 년이 못되어 남편을 잃고 모진 시집살이를 하다

중이 된다는 내용이었으나, 흥미로웠다.

 

그리고 강릉 단오 굿은 타악기로만 연주되는데, 보통 두 대의 꽹과리와 장구, , 바라로 짜여 있다.

세습무당에 의해 전승되어 온 단오 굿이 어느 지역 무악보다 뛰어난 음악성을 보여주는 것은

양중이들이 어머니의 배속에서부터 소리를 익혀 왔기 때문이다. 선천적으로 타고 난 무악의 경지였다.

특히 양중이 김명대씨는 장구잽이로, 김정희씨는 꽹과리로, 각각 우리나라 최고의 타악기 주자인데,

그 신명을 따를 자가 없다.

 

또 하나 재미있는 볼거리는 김명대, 김정희, 두 양중이가 펼치는 액맥이 가무극이었다.

굿의 오랜 역사만큼이나 굿에서의 악가무극은 오래된 것이고, 다양한 예술장르가 발전하는 모태이기도하다.

 

관객들을 이끌어가는, 그 가무극이 얼마나 웃기는지, 모두들 배꼽을 잡지 않을 수 없었다.

굿판을 떠나오며 양중이 김명대는 무당이기 전에 타고난 광대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진, 글 / 조문호

















































































 



1

TWO by TWO


여류조각 4인展
2015_0304 ▶ 2015_0321

 

 

김윤신_N'100_알가로보 나무 Algarrobo_53.5×41×48cm_1989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1부『질료의 文法』/ 2015_0304 ▶ 2015_0312

참여작가 / 김윤신_오귀원

2부『무게의 語法』/ 2015_0313 ▶ 2015_0321

참여작가 / 김정희_배형경

 

관람시간 / 11:00am~07:00pm

 

나무화랑

NAMU ARTIST'S SPACE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4-1(관훈동 105번지) 4층

Tel. +82.2.722.7760

 

이 전시는 한국여류조각가회에서 본 나무화랑에 전시기획을 의뢰한 바, 회원 자료집을 토대로 나무화랑에서 기획한 것입니다.

전체 작가들을 살펴본 결과 재료를 어떻게 구사하는지를 중심으로 기획의 축을 꿸 수 있었습니다.

 

김윤신_N'516_알가로보 나무 Algarrobo_77×63×30cm_1994

 

오귀원_여기에 있는 것과 저기에 있는 것_조각_가변설치

 

오귀원_여기에 있는 것과 저기에 있는 것_조각_가변설치
 

1부는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는 작가로 구성했습니다, 나무라는 매스 자체의 물성과 거기에 가하는 작가의 몸짓이 즉발적으로 표현되어 흔적화 되어나오는 김윤신선생의 조각. 수명이 다한 여러 폐목들을 모아서 가공한 뒤 다시 장인적 조립을 통해 공예/조각, 유용성/무용성, 모사와 재현에 대한 근본적 질문으로 조각이란 매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구축적으로 드러내는 오귀원선생의 모조 가구 구조물. 같은 재료지만 서로 다른 이 두 작업방식과 문법의 차이를 대비하는 것으로 그 컨셉을 잡았습니다. 즉 나무덩어리를 거칠게 깎아내며 표현하는 것과(김윤신), 실제 가구를 똑같이 모사하고 조립하며 조각이란 장르를 자신만의 사유와 개념으로 드러내는(오귀원) 상대적인 방식을 통해서 각자의 조각적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김정희_space 2014-1 胡蝶夢_스테인리스 스틸_63×50×18cm_2014

 

배형경_알 수 없는 세상-1 Understand World-1_브론즈_320×60×30cm×3_2013

 

배형경_알 수 없는 세상-2 Understand World-2_브론즈_215×48×50cm_2013_부분
 

2부는 가볍고 얇은 스텐레스스틸판을 오려서 조각공간을 집적하는 것으로 내면을 은유하는 김정희선생과, 흙을 소조해서 만든 인체를 두텁고 육중한 브론즈로 캐스팅해서 인간존재에 대한 묵시적 실존성을 설치의 방식으로 전개하는 배형경선생의 차이를 드러내며 전개했습니다. 가벼움/무거움, 얇음/두터움, 매끄러움/거친 텍스쳐, 디자인적 편화/유기적인 표현 등의 대비는 작가의 어법에 따라 전혀 다른 조각적 맛을 제공합니다. pop적이고 모던한 경쾌함을 보여주는 김정희선생의 작품과, 전통적인 소조방식에 의한 묵시적 상징성의 배형경선생의 둔중함은 상호간의 조각 어법을 돋보이게 할 것입니다. ● 현대조각은 매스·공간이라는 기본적인 조건이나, 소조·조각·접합·자르기 등의 기법, 그리고 흙·나무·동·철 등의 재료적 조건에서 이미 벗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장르들과의 넒나듬, 디지털 맥락의 수용, 공예와 설치의 속성들을 자유롭게 구사하면서 이미 전통적인 문맥에서 완전히 이탈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번 전시는 이런 변화의 속도에서도 자기만의 작가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원로작가와 중견작가들의 문법과 어법이 어우러지는 한 판입니다. 그 안에서 서로간의 다름을 감상하시고 4인 4색의 문제의식과 차이를 동시에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김진하

 

Vol.20150304h | TWO by TWO-여류조각 4인展

 

 


인사동 갤러리 미술세계
문인화가 300명 참여 대규모 전시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현대의 문인화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서울 종로구 인사동의 갤러리 미술세계는 전국의 문인화작가 300인이 참여한 ‘2015 한국 문인화의 오늘’전을 11일부터 27일까지 개최한다.

문인화는 심상과 내면의 세계를 시, 서와 함께 한 폭에 그려낸 조선시대 양반층의 그림이다. 문인화는 ‘그림(畵)’이지만 화원화가의 그림과는 구분되어 남자 양반들의 전유물로서 전승됐다.

그러나 조선의 문인은 스스로 그림을 그리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지 않았기에 화가로 불릴만한 계층이 두텁게 형성되진 않았다. 그럼에도 추사 김정희를 비롯해 조선 후기 윤두서, 강세황, 이인상 등은 화원화가의 전문적인 그림과는 차별적인 세계를 펼쳐나갔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5 한국 문인화의 오늘 특별운영위원회’가 선정한 300인의 작가들이 참여한다. 먹과 화선지를 사용한 수묵화의 전통을 따르는 작품부터 현대적인 소재를 다룬 그림, 캔버스와 유화물감으로 화려하게 멋을 낸 작품들을 망라했다.

갤러리 미술세계 관계자는 “잔잔한 내면의 심상을 폭넓은 재료들을 사용하여 현대적인 미감으로 풀어낸 오늘날의 문인화는 조선시대 문인화보다 자유롭고 과감한 개성이 돋보인다”고 설명했다. 02-2278-8388 XML: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