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을 사랑했던 그 많은 사람들이 다 어디 갔는지 모르겠다.
다들 자기 집에서 지내다, 큰 맘 먹어야 나오는데 나와도 잘 만나지지 않는다.
가끔 주변 전시오프닝에서 만나기도 하지만, 요즘은 그런 기회마저 많지 않다.

일 때문에 인사동에 나가도 미리 약속 하지 않으면 아무도 만날 수 없다.
술꾼들이 방앗간처럼 들리는 ‘유목민’에서 가끔 반가운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지만,
나들이가 잦지 않으니, 대개 해가 바뀌어도 얼굴 한 번 못 보는 사람이 많다.






우리가 살면 얼마나 살고, 만나면 몇 번이나 더 만나겠는가?
예전에는 ‘인사동 사람들’이라는 ‘창예헌“ 모임에서 정기적으로 판을 벌여 왔으나
그마저 물주 김명성씨의 사업이 쇠락하여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이를 애석하게 생각해 온 조준영시인이 가끔 연락해 만나기야 하지만 10여명에 불과하다.
이전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회비를 조금씩 걷어 그런지 모르지만, 많이 나오지 않는다.

아마 한 사람이 맡아 여기 저기 사발통문을 보내지 않아 그럴거다.






그 날, 내가 제안을 했다.
한 달에 한 번씩 날짜를 정해두고, 일 없는 분들은 인사동으로 나오자고 했다.
시간은 정 할 필요가 없지만, 장소는 인사동 낭만의 마지막 보루인

벽치기 샛길에 있는 ‘유목민’도 좋고,  인사동 11길에 있는 '부산식당',  

인사동 8길의 '사동집'이나 '낭만', 아니면 6길의 '툇마루'던, 어디던 들려보자.

특정한 분들끼리 만나려면 장소를 페북이나 카톡에 알려, 함께 놀자는 것이다.


어느 한 집을 지정하여 약속하는 것도 좋지만, 약속 없이 만나는 즐거움이 더 좋다.

매월 몇일로 날자를 정하던지, 아니면 전시들이 열리는 몇째주 수요일로 택해도 좋다.

어느 특정한 날은 인사동에서 친구들과 술 마시는 날로 정하자는 것이다.

지방에서 오는 분들도 약속을 그 날로 잡아두면 님도 보고 뽕도 따지 않겠는가.

인사동에 애착을 가진 많은 예술가들의 의견들을 한 번 듣고 싶다.






몇 일 전 조준영 시인의 연락을 받았다. 27일 오후6시30분경 ‘유목민’에서 얼굴 한 번 보자는것이다.

요즘에는 가야할 전시나 일이 몰려 시간내기가 어렵지만, 다행히 그 날은 약속이 없었다.
시간 맞추어 나갔더니, 조준영시인을 비롯하여 화가 장경호, 전강호씨가 판을 벌여 놓았다.
뒤이어 음악인 김상현씨와 연극배우 이명희씨가 등장하였고,

김명성, 공윤희씨가 차례로 나타나 술자리가 두 패로 갈라졌다.






음악인 김상현씨가 나를 위해 부른다며 ‘봄이 오면“이란 신곡을 열창했는데,
이 노래 역시 짠한 슬픔을 남겼다. 왜, 봄은 와도 슬프고 가도 슬픈가?


전복안주가 나오니, 전강호씨가 몸 보신하라며 전복을 권했다.
농담으로 ‘몸 좋아져 거시기 발동하면, 책임 질거냐?’니까 조준영시인 말한다.
"남자는 밥숟가락 들 힘만 있으면, 정력 타령이고,
여자는 밥숟가락 들 힘만 있으면 화장을 한단다."
꽃은 나비를 불러 들여야 하고, 나비는 씨를 뿌려야 하는 엄정한 자연의 이치를 어찌 할거나...






자리에 앉기 전에는 이승철, 김이하 시인이 마시다 갔고,

뒤늦게는 화가 김정헌씨와 최유진, 이상훈씨도 등장했다.

그리고 카메라를 뒤져보니, 전 날 찍힌 장경호, 성기준, 강기숙, 홍인호씨의 모습도 들어있네.

좌우지간, 한 달에 한 번씩이라도 인사동에서 만나, 못 다한 시름 풀어보자.

사는 게 별거냐? 죽고 나면 아무 소용없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