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9일 오후6시경 '인사동을 사랑하는 사람들'(약칭; 인사모) 정기모임이'툇마루'에서 있었다.
그 자리에서 만난 박일환대법관에게 당면한 현실에 대한 세가지 견해를 여쭈어보았다.

질문 1, 공천파문으로 불협화음이 이는 현 정국을 바라보는 대법관의 견해를 듣고 싶다.


박일환 : 너무 시끄러워 아예 귀를 막고 산다. 그리고 공직자로서 정치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들을 밝히는 건 부적절하다.

질문 2, 정치 이념적 갈등, 가진자와 없는자의 갈등, 세대간의 갈등 등이 심각한 사회적 불안 요인으로 보는데,
이를 치유할 수 있는 길은 없는가?


박일환 : 심각한 만큼 어려운 난제이다. 자기 주장에 앞서 상대편의 의견도 들어야 하는데, 모두들 흑백 논리만을 고집한다.
하물며 가족관계도 상호 소통이 않되면 파경에 이르는데, 모두들 마음의 문을 열어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질문 3, 대법관께서 인사동 문화예술에 깊은 애정을 가져, 오랜 세월 '인사모'회원으로 참여해왔으나 지금의 인사동은 많이 변했다.
몰려드는 젊은이들의 대부분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보다는 인사동을 배회하며 시간을 보내는데, 인사동 문화를 알리고 지킬 수 있는 묘안은 없을까?


박일환 : 저도 이 문제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해 왔다. 인사동에 있는 100여개의 갤러리와 소형 박물관들을 연계하여 젊은이들이
우리 전통미술과 현대미술을 두루 관람하며 문화적 안목을 높일 수 있는 문화지도를 만들어 홍보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무조건 젊은이들 때문에 인사동 문화가 변질된다고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을 이끌어 갈 수 있는 환경조성이 절실하다.
그리고 인사동에 연극이나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실내 공연장이 없다는 것도 하나의 문제점이다.
자신의 이익이 우선하는 상인들보다 인사동을 사랑하는 예술인들과 지방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대어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좌로부터 전국찬, 이은채, 강윤구, 민건식, 안선례, 김완규, 김양동, 박일환씨



 


 

 

지난 토요일 오후, 이대훈, 노인자씨 내외 분께서 '아트 온'사무실을 방문하셨어요.
오랫만의 만남이라 저녁식사 핑게대고 '여자만'에서 한 잔 하였습니다.
이명선, 노은두, 전활철씨 까지 합류하였습니다.

2012.3.18

 

 

 

 

 


3월 14일 갤러리 카페 '더'에서 개최된 여류화가 문 숙씨와 김하은씨의 2인전 오프닝 파티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전시안내-
전시명 : "둘"전 (문 숙&김하은)
전시일시 : 2012, 3, 14-3, 24
전시장소 : 갤러리카페 "더"
가는 길 : 종로경찰서앞 횡단보도를 건너 윤보선로 방향으로 100미터 전방 오른편에 있다 (안국마트 지하)

 

 

 

 

 

 

 

 

 

 

 

 

 

 

 

 

 

 

 

 

 

 


지난 14일 마산의 이강용씨가 '에꼴 40인전'에 참가하려 상경하였습니다.
인사아트센터 6층 전시실에는 각양 각색의 작품들이 벽면을 장식하였는데,
진한 봄 냄새에 취했습니다.

늦은 시간 귀가길에 '푸른별이야기'에 들려 최일순씨도 만났습니다.


2012.3.14

 

 

 

 

 

 

 


요즘 인사동에 주말이 되면 요상한 골동품 경매가 열립니다.

지난 19일 오후3시쯤 고미술경매장에 들려 거래되는 과정들을 유심히 지켜 보았습니다.
한시간 가량 지켜 본 바로는 첫째 사진 촬영을 막는 경매꾼들로 보아 일단 구린데가 있어 보였고요.
둘째 창밖으로 스피커를 내 걸어, 주말 몰려드는 관광객들의 사행심을 부추키는 전략인 것 같았습니다.
셋째, 경매 참가자들의 대부분이 골동 상인들을 비롯하여 주최 측과 가까운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십만원 안 밖의 상품들이 거래되어 누구라도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으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어요.
안중건의사의 붓글씨 1m짜리가 30,000원, 조선초기의 백자 항아리가 50,000원에 거래되는 등 누가 들어도 귀가 솔깃했습니다.
그러다 사람들이 모이니 고가의 상품들이 경매에 붙여지기 시작했어요.
어떻게 그 많은 골동품들이 동원되었는지, 어떻게 감정도 없이 진위를 가리는지 의문점이 한 두가지가 않았어요.
경매장 좌우에 진열된 상품들을 둘러보니 초보자의 눈에도 가짜같은 물건들이 많았어요.

문득 오래전 시장바닥에서 보았던 야바위꾼이 생각나더군요.

2012.2.28


 


서울시에서 하는 관광 안내원 제도가 인사동을 찾는 외국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있다.
상인들과 의사 소통이 되지 않거나 길을 못 찾는 외국인들은 빨간 색 옷의 안내인들을 찾게 된다.
대개 영어, 일어, 중국어 등 두 세사람이 한조가 되어 다니며 외국인들의 불편을 돕는다.

2012.2.16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출근 길에 손 벌리는 까딱이를 만났다.
오늘 일진도 순탄치 않을 것이란 예감이 들었다.
50미터 쯤 지나니 김신용씨가 나타나 손을 흔든다. 사무실 문이 잠겨 내려오는 길이란다.
약속이나 한듯 전활철, 김언경씨 까지 등장하여 이른 시간부터 술판이 벌어졌다.
출판사 사람 만나고 오겠다며 먼저 일어선 김신용씨가 늦게야 연락이 왔는데, 이미 술에 젖어 있었다.
부산식당에서 시작된 주연은 유진식당으로 옮겨졌다.
이명선씨 까지 합류하여 '이 산 저 산 꽃이 피네'를 부르니 신바람난 김신용씨의 휘바람소리가 이어진다.
시흥까지 가야하는 신용씨를 먼저 떠나 보내고 설주로 한 잔씩만 하자며 들린 곳이 '푸른별이야기'였다.
최일순씨를 비롯하여 무대미술을 전공하는 김지호군, 연기를 공부하는 이주원양과 함께 늦은시간까지 퍼 마셨다.

2012.2.14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늦은 시간, 술 취해 가는 길에 발길 잡는 곳이 있었다.
인사동 길가에 자리한 '도도'라는 찻집을 그 날따라 들리고 싶었다.
까마득하게 오래된 기억이다.
지금은 상호도 주인도 바뀐 자리지만 그 찻집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던 딸과 데이트한 기억 때문이다.
친구와 인사동을 나왔길래 옥탑 작업실도 보여주고 툇마루에서 비빔밥을 먹은 후
함께 들린 곳이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그 찻집이었다.
평소 부녀간에 대화를 갖을 시간이 거의 없었는데, 오랫만에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
이야기 중에 딸도 나처럼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말을 했으나 왠지 말리고 싶었다.

세월이 흐른 지금 딸은 모든걸 팽개치고 외국으로 배낭여행을 떠나 버렸다.
취기가 오랜 기억을 이끌었는지 모르지만 그 날따라 유난히 딸이 보고 싶었다.
앞 자리에 앉은 소녀의 모습에서 마치 딸의 환영을 보는것 같아 카메라를 들었다.

2012.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