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blog/99B8514F5E7BED1E1D)
동자동 공원에는 목련이 꽃망울을 터트리는 봄기운이 완연하건만, 빈민들의 마음은 꽁꽁 얼어붙은 겨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D0C475E7BED661D)
서울역 주변에 있는 양동과 동자동이 재개발에 의해 1300여명이나 되는 쪽방 촌 주민들이 5월 중으로 쫓겨 날 처지가 되고 말았다.
두 달만 지나면 살 곳이 사라지지만, 서울시에서 돌아온 답변은 "방법이 없다"는 싸늘한 말뿐이다.
급박한 상황에 내몰린 주민들은 ‘코로나19’의 외출자제령을 마다하고 서명을 받아 내는 등 대책마련에 안간 힘을 쏟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D40475E7BED661D)
총선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쫓아내기 시작할 모양이지만,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는 빈민들도 그냥 당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리 죽으나 저리 죽으나 한 번 밖에 더 죽겠나?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D79475E7BED671D)
쪽방촌 사람들은 최저주거기준 면적에도 미달하는 2평(6.6㎡) 이하의 작은 방에 보증금 없이 월세나 일세를 내며 살아간다.
쪽방에 화장실은 물론 부엌도 없다. 심지어 온수와 난방마저도 쉽게 사용할 수 없다.
평수로 따지면 서울의 강남 주택보다도 높은 임대료인 월 평균 23만3000원을 내고 있음에도 최소한의 주거환경조차 누리지 못한다.
비싼 임대료와 노후화된 시설 등 쪽방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쪽방 주민들의 주거권을 보장한다는 논의가 이어져 왔는데,
이 무슨 청천벽력이냐?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E03475E7BED671D)
동자동이 재개발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건 지난 2015년 5월28일이다.
해당 일로부터 5년 이내 사업이 진행되지 않으면 기존 도시환경정비사업 계획으로 되돌려야 한단다.
사업자로서는 고층빌딩을 지어야 이익이 올라가니, 5월 중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E43475E7BED681D)
지난 23일, 동자동 ‘새꿈공원’에서 ‘2020홈리스 주거팀’이 주최하고 빈곤사회연대, 동자동 사랑방 등
9개 단체가 연대한 “동자동, 양동 쪽방 공공주도 순환형 개발방식을 요구하는 서명서 제출을 겸한 기자회견“을 가졌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DDB475E7BED691D)
이 날 ‘연합뉴스’ 장우리 기자, ‘톱 데일리’ 이서영 기자, ‘뉴스클레임’ 김옥해기자, 비마이너 허현덕기자 등 여러 명이
나와 취재 보도 했지만, ‘코로나119’ 광풍에다 총선까지 겹쳐 애타는 주민들의 목소리는 합바지 방귀 새듯 새버렸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61F4A5E7BED6E1E)
주민들이 요구하는 공공주도 순환형 개발방식이란 이미 영등포 쪽방촌에서 시행하는 방법으로,
쪽방 주민들을 이주시키지 않고 그대로 수용하는 '영등포형 재개발'을 다른 쪽방 촌에도 도입해 달라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DAB4A5E7BED711F)
영등포 쪽방촌은 영등포구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사업시행자로 참여해 쪽방 촌을 철거한 후
공공임대주택과 주상복합 아파트 1200호를 짓는다. 이와 함께 영구임대주택 370호를 별도로 마련해 쪽방 주민을 다시 입주시키는데,
쪽방촌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방은 기존 쪽방보다 2배 넓은 16㎡며 보증금 161만원에 임대료 3만2000원을 내고 거주할 수 있다.
그리고 쪽방 촌을 1‧2구역으로 나눠 1구역을 먼저 개발하는 동안
2구역에 쪽방촌 주민들을 위한 임시 거주처를 만들어 생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4C4435E7BED6A1C)
그러나 동자동과 양동 쪽방 촌 주민을 위한 방안은 아무 것도 없다.
임시 거주처 대책은 물론이고, 양동은 상가 건물만 지어지고 동자동엔 공공임대주택도 지어지지만
쪽방 촌 주민들이 들어갈 수 있는 가격대가 아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3E1445E7BED711D)
이날 기자회견장에서 나온 권영태씨는 “양동은 다음 달이면 떠나야 합니다. 건물주가 쫓아내 이미 네 명이 떠났습니다.
이제 동자동도 머지않았습니다. 우리의 권리를 찾아야 합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5D4435E7BED6B1C)
‘동자동사랑방’의 박승민씨는 “재개발이 이제는 말뿐이 아닌 현실로 다가왔다.
그동안 주거기간이 아무리 길어도 보상이 안 되고 쪽방 주민들은 내쫓기다시피 했는데
10년, 20년 이곳에서 살아온 주민들에게도 권리가 있다”며 정부가 주민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64A435E7BED6C1C)
‘빈곤사회연대’ 정성철씨는 “그동안 쪽방이 역세권에 있다는 이유로 더 많은 이윤을 개발하고 주민들을 축출한 역사를 반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영등포 쪽방에서 첫 삽을 떴으니, 이제 모든 쪽방 지역에 순환 개발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4134A5E7BED6E1E)
‘홈리스야학’의 서창일씨는 “서울시 실태조사에 따르면 쪽방 주민들의 70%가량이 기초생활수급자로 경제적 도산과 금융채무 연체,
거리 노숙 등의 경험이 있고, 고령자와 장애인의 비율도 약 30%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따라서 주민들의 재정착과 임시거주지를 정부에서 마련하는 순환 개발방식을 도입해 주거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5AF4A5E7BED6F1E)
‘동자동사랑방’ 김호태대표는 “살던 곳에서 이웃과 계속 살 수 있게 해 달라. 더 이상 우리가 이리저리 쫓겨 다니지 않게 해달라”며
“우리들의 요구를 서울시와 국토부, SH, LH에 당당하게 요구할 것”이라며 주민들의 단결을 호소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요구안과 쪽방 주민 450여명의 서명을 각 구청과 국회의원 입후보자에게 제출할 예정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3DD445E7BED731D)
“박원순 서울시장은 빈민들의 주거권을 보장하라. 우리도 사람답게 살 권리가 있다. "
사진, 글 / 조문호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5D8435E7BED6C1C)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575435E7BED691C)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3AA4A5E7BED6F1E)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63D4A5E7BED701E)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385445E7BED721D)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439445E7BED74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