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동자동을 빨갱이가 점령했는지 건물마다 붉은 깃발이 펄럭였다.

오래 전 영화 속에서나 본 듯한 살풍경인데, 마치 홍콩 뒷골목을 연상시켰다.

그 깃발의 실체는 동자동 쪽방촌 재건축을 반대하는 건물주들의 저항 표식이란다.

 

“약자보호 명분 내세워 사유재산 탈취하는 정부를 규탄한다”는 현수막도 걸려 있었다.

후암특계1구역 재개발을 추진해 온 재개발조합에서 주도한 반발이었다.

건물주들이 재개발조합을 결성하여 오래 전부터 재개발을 추진했으나

쪽방촌 주민들의 이주대책에 막혀 흐지부지 된 사업이었다.

 

그들이 오래 동안 해결하지 못한 이주대책까지 세워 재개발을 한다는데, 반대하는 이유는 뭘까?

쪽방촌 빈민들을 그냥 쫓아내야 하는데, 별도 주거지를 건설해 그들을 입주시킨 후 재개발한다니

재개발에 따른 건물주들의 이득이 줄어든다는 말일 게다.

결국 조금이라도 좋은 조건의 보상을 받기 위한 저항이었다.

 

대관절 돈이 무엇이기에, 돈 앞에서는 쪽 팔리는 행동도 거리낌 없이 할 수 있을까?

그들이 반발한다고 이미 추진 중인 재개발이 중단될 리야 없겠지만,

한 푼이라도 더 받아내려는 욕심인 것 같았다.

아무것도 없는 쪽방 빈민들은 담담한데, 가진 자들만 더 갖기 위해 몸부림쳤다.

 

동자동이 처한 현실을 지켜보는 빈민들의 심정은 어떨까?

한 가닥 희망을 품었으나 그 희망이 좌절될까 마음 편할 리야 없을 것이다.

 

길거리에는 ‘사랑방마을주민협동회’ 정기총회 공지 안내가 붙어 있었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치러지는 서면 총회인데, 임원으로 출마한 분들 사진도 나와 있었다.

3월26일까지 서면결의서를 사무실에 제출해야 된다고 적혀있으나,

낮선 회의 방식에 얼마나 많은 조합원들이 참여 할지 모르겠다.

 

'동자동 사랑방'에서는 쪽방주민을 상대로 서명을 받아 건물주들의 집단행동에 맞서고 있었다.

긴 세월동안 건물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시설보수는 방치하면서 비싼 임대료만 꼬박꼬박 챙기며

빈민들의 피를 빨아 온 악덕 건물주들과의 대립은 불가피해졌다.

 

동자동에서 사람 좋기로 소문난 유한수씨가 거리를 어슬렁거렸다.

평소에는 웃거나 사진 찍어라며 폼을 잡았지만, 그 날은 안 좋은 일이 있는 것 같았다.

금방 이라도 불만이 터져 나올 것 같은 표정이라 말 걸기도 두려웠다.

설마 살벌한 동자동 분위기 때문은 아닐테지...

 

공원에 가보니 몇몇 사람들이 모여 한담을 나누고 있었는데,

강재원씨는 열쇠 꾸러미를 치켜들며 사진 찍어 달라며 포즈를 취했다.

그 열쇠는 뭐냐고 물었더니, 곧 입주할 임대아파트 열쇠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그만큼 주민들의 관심이 재개발에 쏠려 있다는 반증이었다.

 

아무쪼록 건물주와 쪽방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빈민들이 오매불망 기대하는 임대아파트에 안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진, 글 / 조문호

 

 



거지라 업신여기며 깔보는 것이 습성화 되어 버렸다.
마치 쓰레기 보듯 눈살을 찌푸린다.
그들은 육체적 고통보다 사람들의 멸시를 더 싫어한다.
불신의 눈으로 바라보는 소외와 외로움을 더 두려워한다.



떠도는 부랑자도 어엿한 사람이고, 이 나라 국민이다.

그들도 인간답게 살고 싶고, 사람 대접도 받고 싶어 한다.

다만 험악한 세상을 영악하게 살지 못해 밀려났을 뿐이다.

이제 그만 부정적인 시선은 거두어 다오.



얼마 전, 부랑자 최씨가 한 말을 한 번 들어보라.


“제발 우리를 괴물 보듯 피해 다니지 마라. 똑 같은 사람이다.

그리고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냐고도 묻지 마라.

그 말은 네가 잘못 살아 그렇게 되었다고 나무라는 것이다.

그 말에 개인의 불행에 대한 사회의 책임이 빠져 있다.

지금 내가 요구하는 것은 최소한의 잠자리와 일자리, 치료받을 권리다.

그건 모든 국민에게 똑 같이 주어져야 할 당연한 권리가 아니가?“




더 이상 부랑자를 불쌍하게 보지도말고, 더럽다고 피하지도 마라.
그들도 한 사람의 국민으로 최소한의 권리는 있다.

이제 한 사람의 이웃으로 따뜻하게 껴안아 주자.


사진, 글 / 조문호








구하라 아랫마을반 빈곤 운동 후원의 밤이 지난 14일 오후3시부터 10시까지 대학로 육갑에서 열렸다.

 

아랫마을은 빈곤과 차별 없는 세상을 원하는 가난한 이들의 공간으로 5개 단체가 상주하는 곳이다.

빈곤사회연대’, ‘홈리스행동’, ‘금융피해자연대 해오름’, ‘용산참사진상규명위원회’, ‘노숙인인권공동실천단이다.

이들 단체의 공통된 요구는 빈민들의 주거와 소득문제로 연결된다.

각기 따로 있던 단체들이 안정적 사무공간을 마련하고 홈리스야학을 지속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2010년 함께 모여 아랫마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아랫마을을 찾는 사람들은 다양하다.

파산 상담을 위해, 긴급복지를 신청하기 위해, 기초생활수급 탈락 상담을 위해, 컴퓨터를 배우러,

한 끼 식사를 나누러, 티브이를 보러,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다양한 일을 해결하기 위해 아랫마을로 모여든다.

가족과 사회와 단절된 빈민들의 무너진 관계를 회복하는 소중한 공간인 것이다.

 

그러나 아랫마을은 월세 150만원에 세 들어 있다. 공과금과 기본 운영비도 매달 30~40만원 든다.

5개 단체 모두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후원금으로 운영해 재정상태가 열악하기 짝이 없다.

그래서 아랫마을 1년 나기를 위해 후원의 밤을 마련한 것이다.

 

동자동 사랑방가족들도 '아랫마을' 일일주점 후원행사를 도우러 나섰다.

난, 식도락에 밥 먹으러 갔다가 박정아 대표로 부터 일일주점 행사이야기를 들었는데,

그 날은 광화문광장에서 12차 촛불집회가 열리는 날이었다.

함께하는 광화문미술행동의 인증샷과 기록을 맡아야 했는데, 약속한 오후4시는 가장 바쁜 시간대였다.

정영신씨에게 미뤄두고 참석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아랫마을구하는 일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시간 맞추어 대학로 후원주점에 들렸더니, 동자동 사랑방 공제협동조합의 박정아 대표를 비롯하여

허미란, 정도영씨 등 몇 분은 도우미로 일하고 있었다.

좀 있으니 우건일 조합장을 비롯하여 김정오, 최남순, 김창헌 김호태, 선동수씨 등 동자동 식구들이 줄줄이 등장했다,

일일주점 티켓 만원으로 아랫마을이 한 해를 꾸려갈 수 있도록 다들 동참한 것이다.


그러나 그 자리는 일거양득의 시간이었다.

아랫마을을 돕는 일만 아니라 주민들과 어울려 술잔을 기울일 수 있는 친목의 자리였기 때문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참 좋은 시간이었다.

 

아랫마을이 활동을 이어가려면, 독지가의 후원이 절실하다.

도움 주실 분은 후원계좌(794002-04-068844 국민은행 이동현)를 통해 전달하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