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동자동을 빨갱이가 점령했는지 건물마다 붉은 깃발이 펄럭였다.

오래 전 영화 속에서나 본 듯한 살풍경인데, 마치 홍콩 뒷골목을 연상시켰다.

그 깃발의 실체는 동자동 쪽방촌 재건축을 반대하는 건물주들의 저항 표식이란다.

 

“약자보호 명분 내세워 사유재산 탈취하는 정부를 규탄한다”는 현수막도 걸려 있었다.

후암특계1구역 재개발을 추진해 온 재개발조합에서 주도한 반발이었다.

건물주들이 재개발조합을 결성하여 오래 전부터 재개발을 추진했으나

쪽방촌 주민들의 이주대책에 막혀 흐지부지 된 사업이었다.

 

그들이 오래 동안 해결하지 못한 이주대책까지 세워 재개발을 한다는데, 반대하는 이유는 뭘까?

쪽방촌 빈민들을 그냥 쫓아내야 하는데, 별도 주거지를 건설해 그들을 입주시킨 후 재개발한다니

재개발에 따른 건물주들의 이득이 줄어든다는 말일 게다.

결국 조금이라도 좋은 조건의 보상을 받기 위한 저항이었다.

 

대관절 돈이 무엇이기에, 돈 앞에서는 쪽 팔리는 행동도 거리낌 없이 할 수 있을까?

그들이 반발한다고 이미 추진 중인 재개발이 중단될 리야 없겠지만,

한 푼이라도 더 받아내려는 욕심인 것 같았다.

아무것도 없는 쪽방 빈민들은 담담한데, 가진 자들만 더 갖기 위해 몸부림쳤다.

 

동자동이 처한 현실을 지켜보는 빈민들의 심정은 어떨까?

한 가닥 희망을 품었으나 그 희망이 좌절될까 마음 편할 리야 없을 것이다.

 

길거리에는 ‘사랑방마을주민협동회’ 정기총회 공지 안내가 붙어 있었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치러지는 서면 총회인데, 임원으로 출마한 분들 사진도 나와 있었다.

3월26일까지 서면결의서를 사무실에 제출해야 된다고 적혀있으나,

낮선 회의 방식에 얼마나 많은 조합원들이 참여 할지 모르겠다.

 

'동자동 사랑방'에서는 쪽방주민을 상대로 서명을 받아 건물주들의 집단행동에 맞서고 있었다.

긴 세월동안 건물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시설보수는 방치하면서 비싼 임대료만 꼬박꼬박 챙기며

빈민들의 피를 빨아 온 악덕 건물주들과의 대립은 불가피해졌다.

 

동자동에서 사람 좋기로 소문난 유한수씨가 거리를 어슬렁거렸다.

평소에는 웃거나 사진 찍어라며 폼을 잡았지만, 그 날은 안 좋은 일이 있는 것 같았다.

금방 이라도 불만이 터져 나올 것 같은 표정이라 말 걸기도 두려웠다.

설마 살벌한 동자동 분위기 때문은 아닐테지...

 

공원에 가보니 몇몇 사람들이 모여 한담을 나누고 있었는데,

강재원씨는 열쇠 꾸러미를 치켜들며 사진 찍어 달라며 포즈를 취했다.

그 열쇠는 뭐냐고 물었더니, 곧 입주할 임대아파트 열쇠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그만큼 주민들의 관심이 재개발에 쏠려 있다는 반증이었다.

 

아무쪼록 건물주와 쪽방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빈민들이 오매불망 기대하는 임대아파트에 안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