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정선은 '고드름축제' 등 볼거리가 풍성하다.
'정선아리랑시장'도 축제가 열리는 동안 매일같이 장이 들어선다.
많은 사람이 찾지는 않지만, 다양한 문화공연으로 장터를 들썩이게 한다.






공연장에서 사회를 보는 정춘경씨와 시장 팀장인 임미순씨 등 반가운 분도 여럿 만났다.
임미순씨는 빈대떡과 막걸리까지 챙겨 주었는데. 공연 보며 마시는 술 맛도 꽤 괜찮더라.






구성진 정선아리랑 가락에 어깨를 들썩이다 보니, 생각지도 못한 최성월씨가 나타났다.
이분은 귤암리 분으로 그동안 몸이 아파 병원에 계셨는데,
장에 나오신 걸 보니, 어느 정도 완쾌된 듯 보였다.






이 분의 정선아리랑 소리도 귀가 막히지만, 그 특유의 꺽세 춤은 웃음이 절로 나게 한다.
아니나 다를까 무대에 나가 춤을 추기 시작하니, 등달아 다른 할머니까지 따라 추었다.
이토록 신명이 많은 분이 엉덩이가 들썩여 어떻게 병원에 누워 계셨을까?






봄이 되어 산나물이 지천에 깔리게 되면, 시장을 찾는 관광객도 나물처럼 깔릴 것이다.
이 날 공연은 곧 들어 닥칠 봄날의 성수기를 위한 워밍업 같아 보였다.






그러나 안타까운 점도 한 둘이 아니다.
정선시장은 주민들 보다 관광객들이 이용한다는 점이다.
이번 설 대목장도 대개의 주민들이 시장보다 활인매장으로 몰리는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한 곳에서 편하게 살 수 있는 장점도 있으나, 다들 상품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상품이 비싸다면 관광객인들 모를 리 없다. 부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은 없기를...



사진, 글 / 조문호





























이 사람

대 끼가 철철 흐르는 최성월씨

고추모종을 심으며 정선아리랑을 부르던, 15년 전의 최성월씨 모습

 

 

최성월씨는 동강변 귤암리에 사는, 동네 소리꾼이다.

집에 있으면 스트레스가 쌓여, 시장에 나와 춤추는 것이 유일한 낙이라고 한다.

 

15년 전 ‘동강 백성들’이란 제목의 전시와 출판 프로젝트를 진행할 무렵,

하귤화 마을의 밭이랑에서 고추모종 심는 최씨를 처음 만난 것이다.

그 날 일하며 불러 준 최씨의 구성진 ‘정선아리랑’ 노래 소리에 귀가 번쩍 띄었다.

그동안 들었던 ‘정선아리랑’에서는 잘 느껴지지 않았던 삶의 애환이 그의 소리에 배어있었다.

스스로의 삶을 담아 풀어내는 가사의 진솔함도 너무 좋았다.

 

‘동강 백성들’ 작업을 마무리한 몇 년 후, 귤암리 ‘사진굿당’에서 ‘서낭당축제’를 가진 적이 있었다.

저녁 무렵 예정되었던 최성월씨 순서 전에, 음악인들이 록음악을 연주할 때였다.

그 신나는 음악에 가만있지 못하고, 최씨가 춤을 추기 시작한 것이다.

서울에서 내려 온 예술인들과 관람객들은 눈이 휘둥그레져 입을 다물지 못했다.

 

로보캅과 공옥진 문둥이 춤을 접목시킨 듯, 짧은 변화를 주는 춤동작에 웃음이 터져 나올 것만 같았으나,

시종일관 굳은 표정을 한 그의 모습에 차마 웃을 수도 없었다. 연주가 끝나자 우레 같은 박수갈채가 터져 나왔다. 그 박수는 뮤지션들에게 보내는 박수가 아니라 최성월씨에게 보내는 박수였다.

그 때 현장에 있었던 많은 사람들은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춤추던 그 분은 어떻게 지내냐?”며

그의 안부를 묻곤 한다. 신들린 듯 추는 그의 춤을 놓고 “본래 무당이 될 팔자”라고도 말했다.

 

 

 

 

그 뒤 정선아리랑시장에서 황기막걸리 출시를 기념하는 공연 단막극에 나와 그의 정선아리랑을 부르기도 했는데,

나를 만나기만 하면 “영감이 시장에 못나게 하니 말 좀 해달라”는 것이다.

어느 남편이 마누라가 시장바닥에서 춤추는 것을 좋아할 사람이 있겠냐마는 참 안스러웠다.

농사일이 바쁘면 어쩔 수 없지만, 장날만 되면 이 핑계 저 핑계 둘러대고 나와 춤을 춘단다.

 

 지난 22일, 정선아리랑시장 문화장터에서 춤추는 최씨를 만났다.

만난 김에 인터뷰를 시도했는데, 홑겹의 한복만 입은 채 추워 떨고 계셨다.

“날씨도 쌀쌀한데, 내복이라도 입고 나오시지 그랬냐?”고 했더니 대뜸 내복을 입으면

폼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상에! “지금 연세가 몇인데, 폼만 찾냐?”고 나무랐지만, 춤꾼으로서의 프로기질도 갖고 계셨다.

그리고는 남이 들을까봐 내 귀에 속삭이듯 말했다.

“시장에 아는 사람 있으면 부탁 좀 해달라는 것이었다. ”약간의 수고비만 받아 가면 영감도 끽소리 하지 않을 거라“며...,

“아는 사람이 있긴 하지만 그런 부탁할 처지는 아니다”고 둘러댔지만 마음이 짠했다.

 

 

 

최씨는 정선 윗만지골에서 태어나 18살 무렵 개바우골의 이한옥(75세)씨에게 시집왔다.

개바우골에서 8대째 살아 온 이씨와의 사이에 4남 3녀를 두었으나 지금은 모두 객지에 나가 산다.

시집왔던 어려운 시절엔 먹을 것이 없어 끼니때만 되면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었다고 한다.

시집 온지 3년 만에 남편이 군에 입대했을 때, 군대도 산골처럼 먹을 것이 없어 고생스러운 줄 알았던

그는 늘 남편 걱정에 애태웠단다. 동내에 잔치라도 있어 떡이라도 얻게 되면 휴가 때 주려고 장롱 속에 숨겨 두다

번번이 썩혀 애석해 했다는 등, 어려운 시절 이야기들을 말 했다.

살아 온 게 한이 되어 부르기 시작했다는, 그 때 부른 최씨의 아라리 가락은 지금도 귓전에 생생하다.

 

“꽃이라도 낙화하면

오던 나비 돌아가고,

비단 옷도 떨어지면

물걸레로 돌아가네.

좋은 음식 쉬어지면

수채 구녕 찾아간다.“

 

사진,글 / 조문호

 

 

 

 

 

 

 

 

 

 

정선읍 귤암리에 거주하는 최성월(74세)씨는 정선아리랑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평생을 일하며 불러 온 그의 아라리는 꾀꼬리처럼 부르는 기능보유자들에 비할 바가 아니다.

그만의 질박하고 구수한 정선아라리 노래 속에는 민초들의 애환이 서려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씨의 독특한 춤사위도 일품인데, 타계한 공옥진여사의 문둥이 춤을 연상케한다. 

이 춤을 추게 된 사연도 재미있다. 수십 년 전 제주도에 관광여행을 떠난 적이 있는데,

머무는 숙소 지하의 시끄러운 음악소리에 끌려 나이트클럽으로 내려갔단다.

거기서 젊은이들이 추는 춤을 보고 연습한 결과 지금의 춤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앞으로 손을 뻗었다 굽히는 등의 독특한 그의 춤사위도 이채롭지만,

시종일관 무표정한 모습으로 춤을 추는 그를 지켜보면 웃음이 절로 터져 나온다.

 

춤과 마찬가지로 구성지게 부르는 아라리 노래 가사들도 대부분이 그의 삶에서 비롯된 내용으로 직접 붙이는데,

모든 것을 자기만의 것으로 만들어 내는 독창성과 광대적 기질이 남다른 분이다. 

 

   글.사진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