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되어 숙제처럼 머리에서 떠나지 않은 것이 안창홍의 ‘유령패션’전이었다.

인터넷에서 대략의 작품이미지는 보았지만,

하나하나의 작품이 어울려 안겨주는 감흥이 기대되어서다.

더구나 전시장 가려다 코로나에 발목 잡힌 전시가 아니던가?

 

지난 16일 정동지와 은평구 진관동의 ‘사비나미술관‘을 찾아갔다.

때 마침 안창홍 작가와 이명옥 사비나관장 등 여러 명이

전시 보러 온 에콰도르 대사 일행에게 작품을 설명하고 있었다.

 

지난해 ‘한국과 에콰도르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안창홍의 ‘유령패션’이 초대되었는데,

에콰도르 최고의 미술관인 '과야사민미술관'과

'인류의 예배당'에서 성황리에 전시를 마친 귀국 보고 전이었다.

에콰도르와 교류의 물꼬를 턴 문화외교의 좋은 선례였다.

 

안창홍의 '유령패션'은 옷만 있고 사람은 없는 그야말로 유령 같은 작품이다.

삼개 층에 나누어 전시된 작품들은 물질문명에 병든 현대인의 자화상 같았다.

쇼윈도나 걸려있을 원색의 옷들이 난무하지만, 얼굴도 팔도 다리도 없다.

허공을 부유하듯 옷만 떠도는데, 더러는 옷깃에선 붉은 피가 뚝뚝 떨어진다.

 

자신을 드러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자 부와 계급을 상징하는 패션을 통해

인간 존재 자체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유령패션’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욕망과 인간 허상의 단면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사람 사는 것이 아니라 허깨비의 삶이라는 것이다.

 

'유령패션' 작업은 먼저 인터넷에서 그림의 바탕이 될 패션 이미지를 수집한다.

디지털 펜으로 사람의 형상은 지우고 옷만 남긴 위에 그림을 그려 넣는다.

이를 캔버스에 전신 크기의 유화로 옮기고, 입체 작업으로도 확장한다.

 

그리고 폭력적 억압에 의해 잃어버린 개인의 정체성과

현대 사회의 집단 최면 현상을 담은 ‘마스크’ 연작인상적이다.

눈을 가린 붕대와 이마에 뚫린 열쇠구멍은 상실된 자아와 무의식을 상징한다.

마스크는 최면에 걸린 듯 집단적 무의식에 빠져들게 한다.

 

안창홍 작업의 밑바탕에는 부패한 자본주의에서 소외된 사람들과

역사 속에 희생된 이들에 대한 울분의 시선이 깔려 있다.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을 통찰력 있게 꿰뚫어보며 까발린다.

 

이번 귀국전을 위해 평면에서 입체로 확장한 새로운 시도의 작품 3점도 선보였다.

스마트폰으로 '유령 패션'을 그린 디지털 펜화 약 150점은 OLED 디스플레이로 설치됐고,

디지털 펜화를 유화와 입체 작업으로 옮긴 작품 32점이 전시되었다.

그리고 4층 전시실에는 자화상을 비롯한 드로잉 85점을 내 걸었다.

 

자화상

안창홍은 1953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제도적인 미술 교육을 거부하고 화가로서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현대 한국 사회를 비판하며 권력에 저항해온 작가다.

1970년대 중반 '위험한 놀이'연작을 시작으로 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을 주도한 ‘현실과 발언’도 참여했다.

가족 해체를 다룬 ‘가족사진’ 연작을 비롯하여 '봄날은 간다', '사이보그' 연작 등을 발표하며

50여 년간 ‘권력’이란 괴물의 속성을 꿰뚫어보며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해왔다.

 

거침없고 저돌적인 작업 방식에서 야성의 끼를 느낄 수 있듯이,

원초적 본능이 꿈틀거리는 강열함이 작품의 주조를 이룬다.

첨예한 비판 의식을 지니면서도 항상 새로운 시도로 돌파한다.

 

그는 1989년 카뉴 국제회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2009년 이인성 미술상에 이어

2013년 이중섭미술상과 부일미술대상을 수상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기획한 '2019 원로작가 디지털 아카이빙 자료수집·연구지원' 작가로 선정되는 등

국내 대표 작가로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잘 나가는 작가다.

 

이 전시는 5월 29일까지 이어진다.

 

사진, 글 / 조문호

 

 

요리 조리 코로나를 피해 다니다 기어이 덜미 잡혀버렸다.

정동지가 먼저 걸려, 뒷바라지 하다 보니 나까지 걸린 것이다.

병원에서 처방받아 녹번동 정동지 집에 함께 격리되었는데,

뼈마디가 쑤시는 고통보다 호흡기가 나빠 숨이 가빠 죽겠더라.

 

금주 금연에다 먹을 수 있는 것이라고는 죽 뿐이고,

둘 다 환자라 덜 아픈 사람이 일할 수밖에 없는 비상사태였다.

좁은 공간에서 몇 날 며칠을 붙어 지내는 호사도 소용없었다.

몸 아픈 것 보다 대선 결과의 실망감과 죄책감에 더 죽을 맛이었다.

할 일은 많았지만 몸이 아프니 컴퓨터도 켜기 싫었다,

 

불쌍하게 보였는지 정동지가 냉동실에 숨겨 둔 대마 나물을 꺼내 볶아 주었다.

반찬 씹는 것 조차 거슬려 대마 나물을 죽에 넣었더니, 맛도 있고 몸도 덜 아팠다.

중요한 것은 하루종일 행복하게 만들어 주었다는 것이다.

정동지는 책에 파묻혀 힘들게 견뎠으나, 난 자성의 시간을 가지며 여유롭게 지낸 것이다.

 

아픈지 일주일만에 약속이라도 한 듯, 둘 다 털고 일어날 수 있었다.

출감 기념으로 첫 나들이 한 곳은 연신내 ‘사비나미술관’이었다.

그 곳에서 안창홍씨의 ‘유령패션’이 열리고 있었다.

 

가는 날이 장날이 듯 안창홍씨를 비롯하여 이명옥관장 등 여러명이

에콰도르 대사 일행에게 작품을 설명하고 있었다.

얼마 전 에콰도르에서 초대한 안창홍 '유령패션'전에 대한 답례 형식의 방문인 것 같았다.

 

삼개 층에 나누어 전시된 안창홍씨의 수많은 작품에 입을 다물 수가 없었다.

 바로 물질문명에 병들어 유령처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자화상이었다.

코로나에 죽어 가는 오늘의 현실같기도 했다.

 

전시장에서 나와 모처럼 ‘음암동 돈까스’에 들려 외식하는 시간도 가졌다.

죽다 살아난 정동지를 밝은 곳에서 보았더니, 화색이 진달레처럼 피어났다.

죽을 때가 가까워 헛것이 보이는 줄 알고 눈을 비벼보았으나 사실이었다.

아파 누운동안 얼굴에 아무것도 바르지 않았더니, 피부가 살아난다는 것이다.

코로나로 힘든 시간이었지만, 전화위복의 기회가 된 것 같다

 

대마는 마약이 아니라 약이다.

하루속히 대마를 합법화해 필요한 사람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라.

모두 치료하고 행복할 권리가 있다.

 

사진, 글 / 조문호

 

 

 

 

 

 

 

 

 

 

 

 

 

 

 

 

 

 

 

 

 

 

 

 

 

 

 

 

 

 

 

 

 

 

 

 

 

 

 

 

 

 

 

 

 

 

 

 

 

 

 

 

 

 

 

 

 

 

 

 

 

 

 

 

 

 

 

 

 

 

 

 

 

 

 

 

 

 

 

 

 

 

 

 

 

 

 

 

 

 

 

 

 

 

 

 

 

 

 

 

 

 

 

 

 

 

 

 

 

 

 

 

 

 

 

 

 

 

 

 

 

 

 

 

 

 

 

 

 

 

 

 

 

 

 

 

 

 

 

 

 

 

 

 

 

 

 

 

 

 

 

 

 

 

 

 

 

 

 

 

 

 

 

 

 

 

 

 

 

 

 

 

 

 

 

 

 

 

 

 

 

 

 

 

 

 

 

 

 

 

 

 

 

 

 

 

 

 

 

 

 

 

 

 

 

 

 

 

 

 

 

 

 

 

 

 

 

 

 

 

 

 



화가의 심장2, 138×138×150(h)Acrylic on FRP, Aluminum, 2019



서울 ‘아라리오 갤러리’에서 두 달 동안 열리는 안창홍 ‘화가의 심장’전이 이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그동안 작가를 찍지 못해 미루어 왔지만, 더 이상 미룰 수가 없었다.
부득이 십년 전 ‘인사동 사람들’ 작업 때 찍은 작가의 입상사진을 호출했다.



화가 안창홍



화단의 이단아 안창홍씨의 작품을 처음 본 것은 25년 전 강릉에 있는 조각가 최옥영씨 집이었다.
개 두 마리가 흘레붙은 모습을 보며 자위하는 그림인데, 웃음이 절로 나는 파격적인 작품이었다.
그의 작품은 하나의 틀에 묶이지 않고 자유분방하다.


1970년대 중반 위험한 놀이연작을 시작으로 봄날은 간다’, ‘사이보그 등을 발표했고,

2009년에는 우리 일상에서 흔히 마주칠 수 있는 소시민들의 알몸을 그린

‘베드 카우치’ 연작을 발표하는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왔다



화가의 손1, 2019, acrylic on FRP, 300X220X45(d)cm



한 때는 사진을 활용한 작업도 했다.
산업화 사회의 와해된 가족사를 다룬 ‘가족사진’ 연작이었다.
그리고 눈을 감은 인물 사진 위에 덧그려 진 역사 속 개인의 비극을 다룬 ‘49인의 명상’도 발표했다.
익명의 개인에 투영된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인간의 소외를 이야기했다.


2016년부터는 매체를 입체분야로 넓혀, 눈이 가려진 거대한 얼굴 마스크 조각을 선 보였다.
그 무렵 국내 유수 갤러리와 전속 계약을 맺으며 뜨는 작가로 부상했고,

'맨드라미' 연작이 완판 되는 등 팔리는 작가로 자리 잡았다.




화가의 손3, 2019, acrylic on FRP, 300X220X45(d)cm



경남 밀양에서 태어 난 안창홍은 제도권 미술교육을 받지 않았다.
"그림은 누구에게 배우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 언어"라며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해 갔다.

81년 공간화랑 개인전 이후 40여 회의 개인전과 수많은 단체전에 참여하였고,
국립현대미술관 등 중요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1989년 카뉴 국제회화제 심사위원 특별상을 비롯하여 이인성 미술상과 이중섭미술상 등을 받았다.



화가의 손2, 2019, acrylic on FRP, 300X220X45(d)cm



안창홍 작업의 밑바탕에는 부패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과

역사 속에 희생된 이들에 대한 울분의 시선이 도사리고 있다.

이번에 내놓은 ‘화가의 심장'은 40여 년 동안 작업 해 온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작업이다.
“화가는 그림 그리다 죽는 것”이라며 화가로 죽겠다는 결심이 담긴 대작들이다.




화가의 심장1, 300×220×60(d)Acrylic on FRP, 2019



2m가 넘는 초대형 부조가 몇 점이나 되는데, 이전과 달리 장식적 요소도 강해졌다.
부조와 마스크, 그리고 회화 소품까지 총 30여 점을 선보인다.


‘화가의 손’ 3점은 붓, 물감튜브, 롤러, 인형, 물감찌꺼기 등 쓰다 버린 물건들이 뒤엉켜

어수선한 가운데 백골의 손이 걸려 있는 부조 신작이다. 



  

화가의 손4, 184×130×29(d)Genuine gold leaf on FRP, 2019



한 점은 작업에 열중하는 형형색색의 빛깔이 담겼고,
다른 두 점은 평가에 따라 달라지는 화가의 삶에 빗대어 황금빛과 잿빛으로 그려졌다.
즉 성공한 예술가와 인정받지 못한 예술가의 삶을 반영한 것이다.

'화가의 심장 1'은 고통과 아픔에 기반 한 삶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화가의 심장 2'는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화가의 삶을 그려냈다. 


 




2층엔 대형 마스크 2점과 익명의 얼굴들이 그려진 작은 캔버스 16점이 전시됐다.
작년에 시작한  연작 '이름도 없는…'에는 몰 개성화된 얼굴들이 거친 붓 터치로 그려졌다.
이 표정 없는 인물들은 "단지 이름만 없는 이들이 아니라 존재 자체가 묻혀버린 익명의 인물들"이다.
제주 4·3사태나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당한,
모두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 슬픈 사실을 작품에 투영시켰다. 



 
'이름도 없는...' 2018-1 Sad Evaporation oil on canvas 38X38cm



2점의 '마스크-눈 먼 자들' 연작은 눈동자가 없거나 붕대로 눈을 가린 채 무표정한 얼굴을 하고 있다.
부조리한 현실 속에 눈은 뜨고 있지만 진실을 보지 못하는 눈 뜬 장님을 그려냈다. 


작가는 "대부분의 화가들이 이러한 고통을 안고 있다. 이런 모습은 일반 소시민들의 삶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작들은 화가의 삶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름도 없는...' 2018-2 Sad Evaporation oil on canvas 38X38cm



현실에 대한 냉철한 시선과 비판적 사유를 평면과 입체 작품에 담아 낸 이번 개인전은
서울 소격동 ‘아라리오 갤러리’(02-541-5701)에서 오는 6월30일까지 열린다.
몇 일 남지 않아 서둘러야 한다.



사진, 글 / 조문호











 

수요일만 되면 별 볼일 없어도 인사동에 나가고 싶어진다.

전시장들은 새로운 작품들로 교체되고, 거리에선 반가운 인사동 사람들을 쉬 만날 수 있어

모처럼 인사동 기운이 충천하기 때문이다.

지난 27일엔 사진가 변홍섭씨와의 오찬약속을 수요일로 잡아두어, 일찍부터 작정하고 나올 수 있었다.
변홍섭씨는 정선같이 한적한 곳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다며 자문을 구해왔으나

내가 사는 곳은 이미 관광지화 되어 추천할 수가 없었다.

‘툇마루’에 식사하러 가서는 음유시인 송상욱선생을 만났고,

‘귀천’에 차 마시러 가서는 민속학자 심우성선생을 만났는데, '귀천'엔 빈 자리가 없었다

인사동거리에서는 사진가 이갑철, 육명심씨, 시인 강 민, 이행자, 서정춘씨, 소설가 구중관씨,

서양화가 안창홍, 이종송씨, 미술평론가 윤범모씨, 사진평론가 최건수씨, 무이도 예술촌장 정중근씨,

예당국악원 조수빈원장 등 많은 분들을 만났다.

평소 인사동거리에서 아는 사람을 만나기란 고작 한 두 사람에 불과한데,

짧은 시간에 이렇게 많은 분들을 만난다는 것은 그의 대박수준이다.

그러나 대개 술을 마시고 집에 가는 길이거나, 금주령이 내려 진 분들이 많아 술 한 잔 하자는사람이 없었다.

무더운 날씨의 낮 술에 취하면 힘들 것 같아 점심식사 때부터 사양했지만,
막상 그냥 지나치려니 맹숭하고 허전했다.
그래도 반가운 사람들을 많이 만났으니 여한은 없었다.

사진,글 / 조문호

 

 

 

 

 

 

 

 

 

 

 

 

 

 

 

 

 

 

 

 

 

 

 

 

 

 

 

 

 

 

 

 

 

 

 

 



인간성의 불구를 화려하게 드러낸 서양화가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혁발(행위미술가)  (0) 2013.03.11
김완규(통인가게 대표)  (0) 2013.03.11
민건식(변호사)  (0) 2013.03.11
주명덕(사진가)  (0) 2013.03.11
육명심(사진가)  (0) 2013.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