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되어 숙제처럼 머리에서 떠나지 않은 것이 안창홍의 ‘유령패션’전이었다.

인터넷에서 대략의 작품이미지는 보았지만,

하나하나의 작품이 어울려 안겨주는 감흥이 기대되어서다.

더구나 전시장 가려다 코로나에 발목 잡힌 전시가 아니던가?

 

지난 16일 정동지와 은평구 진관동의 ‘사비나미술관‘을 찾아갔다.

때 마침 안창홍 작가와 이명옥 사비나관장 등 여러 명이

전시 보러 온 에콰도르 대사 일행에게 작품을 설명하고 있었다.

 

지난해 ‘한국과 에콰도르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안창홍의 ‘유령패션’이 초대되었는데,

에콰도르 최고의 미술관인 '과야사민미술관'과

'인류의 예배당'에서 성황리에 전시를 마친 귀국 보고 전이었다.

에콰도르와 교류의 물꼬를 턴 문화외교의 좋은 선례였다.

 

안창홍의 '유령패션'은 옷만 있고 사람은 없는 그야말로 유령 같은 작품이다.

삼개 층에 나누어 전시된 작품들은 물질문명에 병든 현대인의 자화상 같았다.

쇼윈도나 걸려있을 원색의 옷들이 난무하지만, 얼굴도 팔도 다리도 없다.

허공을 부유하듯 옷만 떠도는데, 더러는 옷깃에선 붉은 피가 뚝뚝 떨어진다.

 

자신을 드러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자 부와 계급을 상징하는 패션을 통해

인간 존재 자체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유령패션’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욕망과 인간 허상의 단면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사람 사는 것이 아니라 허깨비의 삶이라는 것이다.

 

'유령패션' 작업은 먼저 인터넷에서 그림의 바탕이 될 패션 이미지를 수집한다.

디지털 펜으로 사람의 형상은 지우고 옷만 남긴 위에 그림을 그려 넣는다.

이를 캔버스에 전신 크기의 유화로 옮기고, 입체 작업으로도 확장한다.

 

그리고 폭력적 억압에 의해 잃어버린 개인의 정체성과

현대 사회의 집단 최면 현상을 담은 ‘마스크’ 연작인상적이다.

눈을 가린 붕대와 이마에 뚫린 열쇠구멍은 상실된 자아와 무의식을 상징한다.

마스크는 최면에 걸린 듯 집단적 무의식에 빠져들게 한다.

 

안창홍 작업의 밑바탕에는 부패한 자본주의에서 소외된 사람들과

역사 속에 희생된 이들에 대한 울분의 시선이 깔려 있다.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을 통찰력 있게 꿰뚫어보며 까발린다.

 

이번 귀국전을 위해 평면에서 입체로 확장한 새로운 시도의 작품 3점도 선보였다.

스마트폰으로 '유령 패션'을 그린 디지털 펜화 약 150점은 OLED 디스플레이로 설치됐고,

디지털 펜화를 유화와 입체 작업으로 옮긴 작품 32점이 전시되었다.

그리고 4층 전시실에는 자화상을 비롯한 드로잉 85점을 내 걸었다.

 

자화상

안창홍은 1953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제도적인 미술 교육을 거부하고 화가로서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현대 한국 사회를 비판하며 권력에 저항해온 작가다.

1970년대 중반 '위험한 놀이'연작을 시작으로 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을 주도한 ‘현실과 발언’도 참여했다.

가족 해체를 다룬 ‘가족사진’ 연작을 비롯하여 '봄날은 간다', '사이보그' 연작 등을 발표하며

50여 년간 ‘권력’이란 괴물의 속성을 꿰뚫어보며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해왔다.

 

거침없고 저돌적인 작업 방식에서 야성의 끼를 느낄 수 있듯이,

원초적 본능이 꿈틀거리는 강열함이 작품의 주조를 이룬다.

첨예한 비판 의식을 지니면서도 항상 새로운 시도로 돌파한다.

 

그는 1989년 카뉴 국제회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2009년 이인성 미술상에 이어

2013년 이중섭미술상과 부일미술대상을 수상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기획한 '2019 원로작가 디지털 아카이빙 자료수집·연구지원' 작가로 선정되는 등

국내 대표 작가로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잘 나가는 작가다.

 

이 전시는 5월 29일까지 이어진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