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종희의 '터널II'가 지난 19인사아트센터’ 2층에서 시작되었다.

 

전시장을 돌아보니, 버려진 깡통을 두들기고 오려 붙여 만든 갖가지의 형상들이 화판을 가득 메웠는데,

뻔쩍거리는 화려함 속에 도사린 짙은 그림자가 헤어날 수 없는 터널처럼 무겁게 다가왔다.

 

화려하고 편리한 삶에 의한 인간 황폐화를 비판하는 시각적 울림은 오래갔다.

3년 전 나무아트에서 열린 터널I’보다 대작들로 이루어져 그런지, 훨씬 강열했다.

 

정말 놀라웠다.

버려진 폐품에 불과한 깡통으로 물질 문명을 비판한 메시지에 앞서,

고지식하게 이루어낸 작가의 노동력에 고개 숙이지 않을 수 없었다.

 

욕망의 배설물인 코카콜라나 커피 같은 깡통에 새겨진 상품의 색깔도 각양각색이지만,

조각 조각의 이미지를 퍼즐 맞추듯 형상화한 치밀함은 미술과 조각을 넘어 과학의 경지를 넘나들었다.

 

깡통의 색깔은 말할 것도 없고 조각 조각 오려 붙힌 방향에 이르기까지 치밀하게 계산된 것 같았다.

조명 각도에 따라 달라 보이고 보는 위치마다 달라 보였다.

 

재활용품으로 만든 최고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자개의 빤짝거리는 아름다움과는 차원이 다른, 아름다움을 넘어 인간답게 살자는 메시지였다.

 

인간의 욕망이 끌어들인 블랙홀은 빠져나올 수 없는 터널 같았다.

 

때로는 웅크리거나 곤두박질하는 인체에, 해골도 모자라 똥도 벽에 붙어 놓았다.

똥을 자본으로 빗댄 작가의 직설적인 표현처럼 깡통처럼 텅 빈 자신을 보는 것 같았다.

 

한때 세상을 풍미했던 말 “Yes i can”, , 나는 할 수 있습니다가 아니라

예, 나는 깡통이로 소이다.

 

아래는 작가의 말이다.

대량 생산된 음료들의 용기인 알루미늄 캔들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가볍게 욕망을 채우고 내던져 버리는 찌끼기이자 배설물이다. 우리가 묶여 사는 체제의 똥이다. 가위로 오려내진 캔 조각을 나무망치로 반짝임을 덜어내면, 그로부터 우리가 사는 아파트와 빌딩 숲이 이끌려 들어온다. 이전의 손도끼는 힘차게 골을 내며 달렸지만, 캔 조각들은 둔탁하고 위태로운 기호로 켜켜이 포개지며 화면에 거대한 어떤 형태로 구축된다

 

전시장에서 반가운 분을 많이 만났다.

전시작가인 나종희씨 내외분을 비롯하여 주재환, 김정업, 박진화, 박흥순, 두시영, 김영중, 변대섭, 김보중,

성기준, 김윤기, 김경복, 양상용,  임정희, 이필두씨 등 화단에 내노라 하는 분들을 두루 만났.

 

이날은 동자동에서 초상사진 찍느라 큰 카메라를 들고와 찍어야 할 때 못 찍었다.

전시장을 나오다 김재홍씨를 만났으나 꺼낼 겨를이 없었다.

카메라는 손에 있어야 카메라지, 가방에 있으면 카메라가 아니라고 했던 평소의 말이 생각났다.

 

후회하며 카메라를 꺼냈더니, 약속이나 한듯 고옥룡씨가 나타났다.

 

사진:/조문호

 

나종희의 ‘터널’은 오는 24일까지 열린다.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 정신

 

김윤수 선생 3주기 추모展 

2021_1124 ▶ 2021_1130

손장섭_우리가 보고 의식한 것들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82×291cm_2011
                             

초대일시 / 2021_1124_수요일_05:00pm

 

참여작가

권순철_김건희_김기용_김보중_김선동_김영중

김우성_김윤기_김은숙_김재홍_김정헌_김채린

김천일_김태희_나선우_나종희_남궁산_남미희

노원희_노정숙_두시영_민정기_박건_박금만

박대석_박불똥_박세라_박신영_박용빈_박윤진

박은태_박재동_박진화_박한진_박흥순_변사무엘

서수경_성낙중_성효숙_손금식_故손장섭_송주웅

송창_송효섭_신미란_신학철_신현경_신희경

심정수_엄순미_故오윤_위종만_윤은숙_이경미

이기홍_이돈순_이동주_이명복_이문희_이봉금

이상호_이성완_이승곤_이영선_이인철_이재민

이종구_이종희_이철재_이해균_이홍원_이희원

임옥상_장순일_전정권_전진현_정봉진_정세학

정철호_정하영_정희승_조순현_주재환_진창윤

최대주_최선희_최수환_최연빈_최현미_탁영호

한숙_한이랑_황은주_황의선_황재형_황효창

 

주최 / (사)민족미술인협회주관 / 김윤수 선생 3주기 추모전 추진위원회

후원 / 창비_김윤수재단준비위원회

 

관람시간 / 10:00am~06:00pm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INSA ART PLAZA GALLERY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34-1 2층

Tel. +82.(0)2.736.6347

insaartplaza-gallery.com

 

김윤수 선생 3주기 전시 기획에 부쳐 ● 김윤수 선생님은 30대 청년 시기에 발표한 『리얼리즘 소고』(1970년 34세), 『회화에 있어서 리얼리티』(1971년 35세), 『예술과 소외』(1971년 35세), 『20세기 예술과 사회배경』(1974년 38세) 등 수많은 글을 통해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예술론의 정수를 발표하였습니다. ● "사회체제의 구조적 모순과 인간소외" 등에 대한 실제적 현실 인식과 예술표현의 총체적 자세로서의 리얼리즘(현실주의) 개념을 정립하고 예술의 '인간적 공감'과 '휴머니즘·건강성' 등 예술 실천을 깊이 강조하며 '선생님의 청년 정신'을 고스란히 담았습니다. ● 그리고 격변하는 사회 속에서, 수많은 사회 활동을 통해 민주주의적 삶을 일관한 이 땅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의 참 스승입니다. ● "서구 현대미술의 체험과 시각과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면서 자기의 시각과 자기의 언어를 찾고 나아가 민중의 언어로 높여나가는 일이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한다." (...) "한편 서구로부터 제3세계로 눈을 돌려 그들과의 민중적 동질성을 확인하고 상호유대를 강화하는 노력도 게을리 말아야 할 것이다." (『한국미술의 새 단계』(1983년 47세) 중에서) ● 2019~21년 코로나19 대유행, 기후 위기 등 인간 활동 이면에 드리운 그림자 - 신자유주의가 구축한 금융자본 지배 사회, 관료 사회의 카르텔, 사회 불평등 확대, 자본의 지구 생태 파괴, 미래 세대가 향유할 지구 생태 고유성 회복, '생물다양성·생태공존의 유대'까지 - 2016~17년 광화문 촛불광장에서 직접민주주의가 외친 '민중의 언어'와 함께 '선생님의 청년 정신'이 말한 사회 제 현상의 본질 톺아내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선생님의 청년 정신은 글을 생산한 당대뿐만 아니라 항상 도래하는 시대 현실에 필요한 물음입니다. ● 이에 이번 3주기 추모 전시는 김윤수 선생의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을 고취하고 그 정신을 전파하는 데 중점을 두어 '김윤수 선생의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과 예술론 찾아가기'의 주제를 담고자 합니다. 그래서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 정신'을 부제로 달았습니다. ● 민족예술의 고갱이자 민족미술인협회가 향하는 현실주의(리얼리즘) 정신에 입각한 작가의 예리한 눈과 풍부한 창작 역량을 기대합니다. ■ 김윤수 선생 3주기 추모전 추진위원회

 

 김윤수 선생 3주기 추모전 추진위원회-

추진위원장: 두시영- 자문위원: 강연균 강요배 강행원 권순철 권용택김건희 김인순 김정헌 김종례 노원희 민정기박석규 박재동 박한진 성완경 손영익 송창신학철 심정수 유홍준 윤석남 이사범 이성완이종구 이홍원 임옥상 주재환 황재형 황효창- 추진위원: 김방죽 김선동 나종희 민경준 박대석박응주 박흥순 신현경 안만욱 엄순미 위종만 이승곤이종헌 정낙묵 정세학 탁영호 한이랑 홍선웅강문석 김성심 김인순(강원) 류연복 박용빈박태규 성춘석 윤은숙 이기홍 이종희 조순현김성수 김우현 김유하 김지영 김창수 박성호신구경 신미란 신승녀 이지윤 정광희 정의 정춘일- 기획위원: 두시영 신현경 이승곤 김윤기 김선동- 실행위원: 이기홍 이승곤 이종희 탁영호- 집행위원: 김영중 김준권 김천일 박불똥 박진화 백창흠양상용 이명복 이인철 이종률 이철수 이철재 최석태

 

 전시 취지

김윤수 선생의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을 고취하고 그 정신을 전파하는 데 중점을 두어 '김윤수 선생님의 현실주의(리얼리즘) 미학과 예술론 찾아가기'의 주제를 담고자 합니다.

 김윤수 선생님의 현실주의 미학·예술론- 사회 현상의 객관적 총체성- 현상과 본질의 일치된 현실성- 지금 여기 시대성- 생각과 표현의 건강성(휴머니즘)

 

 

전시 작품과 개막식 후 인사동 '풍류사랑'에서 열린 뒤풀이

 

대개의 전시가 시작되는 수요일의 인사동은 길거리에서 쉽게 예술가를 만날 수 있다.

 

지난 25일의 수요일에는 ‘인사아트프라자’에서는 김윤수선생 2주기 추모전이 열렸고,

‘나무아트’에서는 나종희씨의 ‘터널’전이 열렸다.

그래서 인지 두 전시장 사이의 짧은 거리를 지나며 반가운 화가를 여럿 만났다.

 

난 안면은 있지만 마스크에 가려 헷갈릴 때가 많다.

화가 박흥순씨와 두시영씨도 만났고 김재홍씨도 만났다.

 

‘나무화랑’에 올라 가려니, 버스킹 나온 번개가 시비 걸었다.

 

“형은 좋아하는 노래가 뭐요?”

기다렸다는 듯이 ‘봄날은 간다’ 아이가‘ 했더니,

바로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렸다.

 

아무리 갈길이 급해도 청성 맞은 그 노래를 2절까지 다 들었다.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알뜰한 그 맹서에 봄날은 간다.”는 마지막 대목에서 눈물을 짠다.

 

사진, 글 / 조문호

 

진정한 독립은 통일이다

 

2020, 새로운 독립운동의 원년展

2020_1118 ▶ 2020_1124

 

두시영_안중근 아리랑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16.7×91cm_2020

 

 

초대일시 / 2020_1118_수요일_05:00pm

 

참여작가

강기욱_강충모_고재춘_김선동_김수영_김영중

김윤기_김은숙_나선우_두시영_류충렬_박건재

박신영_박은태_박장근_박재동_박흥순_전진현

정세학-주재환_최병수_최연택_탁영호_황의선

 

주최  (사_(사)민족미술인협회 서울지회후원 / 경기문화재단_경기도기획 / 이종희

 

 

관람시간 / 10:00am~06:30pm

 

갤러리 아리수

GALLERY ARISOO

서울 종로구 인사동11길 13 2층 2전시장

Tel. +82.(0)2.2212.5653 / 070.8848.5653

galleryarisoo.com

 

 

평화와 비폭력의 3·1운동 정신을 통해 통일 조국으로 ● (사)공공예술 들로화 집단과 (사)민족미술인협회 서울지회는 2019년 5월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천로에 위치한 '갤러리 와부'에서 『남양주 독립운동 100주년 기념전』을 개최하였다. 2019년은 3·1운동이 1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로서 대한민국 전국에서 관련된 문화 예술 행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었다. (사)공공예술 들로화 집단과 (사)민족미술인협회 서울지회는 3·1운동 당시 독립 만세 시위의 불을 당겼던 미금면 평내리(현 남양주)의 독립 운동을 재조명하고, 독립운동에 대한 예술가들의 다양한 연구와 참여를 독려하여 남양주 독립운동의 100년 역사를 되돌아보는 전시를 진행하였다. 물론 지역적 문화 인프라의 부족으로 협소한 갤러리와 관람객 확보 및 시민들과의 소통, 문화 행정의 부재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악조건 속에서 진행된 프로젝트로 많은 숙제를 남긴 것은 사실로 보인다. 다만 현재를 살고 있는 예술인 집단이 역사의 범주안에서 공통된 고민을 하였고 계속하여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은 큰 소득이라 할 수 있겠다. ● 2019년『남양주 독립운동 100주년 기념전』이 남양주 지역이라는 국한된 장소성에 머물렀다면 이번에 기획되어진 전시는 지역적 한계를 넘어 준비되었다. 일제에 항거하던 독립 운동의 시작부터 현재와 미래에 대한 거시적 통일 담론을 내포하는 이번 전시에서 기획자는 '지난 100년의 기간 동안 우리는 진정한 독립을 하였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김은숙_하늘이 바다이고 바다가 땅이듯_천에 아크릴채색_162.2×112.1cm_2020

 

 

1부; 1919, 대한민국 원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3·1운동(1919-1945) / 2부; 2019, 독립운동 100주년(1946-2019) / 3부; 2020 새로운 독립운동 (2020-미래) 총 3부로 기획된 이번 전시에는 40명의 다양한 작가들이 참여하여 3·1운동 100년을 넘어가고 있는 이 시기의 진정한 독립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작품으로 보여 줄 것이다. 또한 2020년을 대한민국의 완벽한 독립이 시작되는 원년으로 선포함으로서 과거의 부끄러움을 씻고 나아가서는 분단의 벽을 허물어 자주통일의 원대한 꿈을 실현시키는 것에 전시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40여점의 그림과 조각, 설치, 만화, 글씨 등이 '갤러리 와부(남양주시)'와 '갤러리 아리수(서울시)'에서 연속하여 전시가 열린다. ● 주지하다시피 역사라는 테마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명하는 기획 전시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작가의 주제의식 등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과거와 현재, 미래의 역사적 문맥 속에 작품을 놓고 본다는 것이 설사 가능하다고 쳐도, 결국 그 작품이라고 하는 것은 그 시대의 물질 내지는 정신적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기획자의 역할은 얼마나 작가들로 하여금 주제의 틀로 접근시킬 수 있느냐가 전시의 성패를 가름할 것이다.

 

박장근_영원한 약속_합성수지, 화강석_87×45×23cm_2019

 

 

1. 1919, 대한민국 원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3·1운동(1919-1945) ● 1919년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탄생한 해이다. 3·1운동을 시작으로 1919년 한해에만 1500회가 넘는 만세 시위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 정신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후 1945년 해방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암흑과의 사투와도 같은 기나긴 시간이었다. 우리는 때로 역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행복의 정원에서 소일하는 나태한 자가 필요로 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필요로 한다. 역사적 인식의 주체는 억압받는 계급 자신이기 때문이다. ● 1부의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강충모, 고재춘, 김선동, 김영중, 김윤기, 두시영, 박은태, 박재동, 이석숙, 이영학, 탁영호, 황의선)의 역사 인식은 몇 가지로 분류되어 지는데, 절망적인 시대에 직면하여 아직도 책임질 수 있는 예술이 있다면 그것은 모든 역사를 구원의 관점에서 관찰하려는 태도가 그 중 하나다. 또 다른 유형은 직접적이며 분노하는 형태와 희망의 빛을 찾아나서는 표현방법을 구현해내는 작가들이다. 김선동 작가는 「나는 독립운동가다」라는 테라코타 작업에서 비현실적인 거대한 꽃나무 아래 외로이 서 있는 여성을 통하여 독립에 대한 희망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작가 박재동은 「어머니.... 분이야...대한독립만...」, 「들어 가세요 어머니」, 「귀향」의 연작에서 외롭게 지켜내야만 하는 조국의 현실을 어머니라는 모티브를 등장시켜 구원자 내지는 피안의 안식처로서 묘사해 내고 있다. 다소 정돈되지 않은 붓질의 질감은 비현실적이며 꿈꾸는 듯한 상황을 재현해 내고 있다. 두시영의 「안중근 아리랑」은 대동여지도 위에 안중근의 초상화를 그려 넣었다. 우리에게는 너무나 아픈 안중근의 형상은 그가 죽기 전에 남긴 글들로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즉 텍스트로 구성된 텍스트화인데 한반도의 지형과 안중근의 강인한 이미지가 오버랩 되며 역설적이게도 한반도의 불안한 미래를 암시하는 듯 보인다. 이영학과 박은태는 「칼의 나라」, 「우남의 초상」에서 각각 날카로운 분노와 역사의 죄인을 희화하여 단죄하고 있는 것이 흥미롭다.

 

박재동_1.어머니..... 분이야......대한독립만.._유채_72.7×91cm_2019

 

 

2. 2019, 독립운동 100주년(1946-2019) ● 광복 후 73년은 포스트 일제의 시기였다. 기득권으로 세습된 친일잔재가 권력과 언론, 관료, 기업, 교육, 문화, 군, 경찰 등 곳곳에 흘러 국민들에게도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이시기는 외세가 아닌 동족에 의해서 수난을 당하고 육체와 정신을 혹사당한 시기이다. 성장제일주의라는 미명하에 철저하게 숨겨진 일제의 잔당들이 국토를 유린하며 득세하여 온 아픈 역사의 기록이다. 과거를 역사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그것이 원래 어떠했는가를 인식하는 과정일 것이다. 그것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역사의 순간을 기억으로서 붙잡는다는 것을 뜻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현대 예술론의 중요한 과제는 기억과 경험으로서 역사적 사실들에게 예기치 않게 나타나는 과거의 이미지를 붙드는 일이다.

 

박흥순_남북동색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81×117cm_2019

 

 

광복 후 분단의 아픔을 표현해 낸 작품들(박신영, 박흥순, 류충열, 손장섭, 이동주, 이승곤, 정세학)과 평범한 현대 회화의 재현방법으로 7.80년대의 고속성장 시대를 살아온 모습들을 표현한 (변대섭, 서수경, 손금식, 양형규, 최연택)작품들은 대부분 아픈 과거와 현실이 교차되어 묘사되어 있다. 다음 유형은 시대를 향한 분노와 저항, 슬픔 (나선우, 박건재, 변사무엘, 송효섭, 엄순미, 주재환)등을 표현한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박신영의「선과 선을 넘어서」는 분단의 3·8선을 넘나드는 잠자리가 연상되는 서정적 슬픔이 느껴진다. 박흥순은 「남북 동색」에서 철조망에서 피어난 엉겅퀴를 통하여 분단국가의 아픔을 노래하고 있는듯하여 다소 아프면서도 화면 뒤쪽 섬 주변에 배치 되어 있는 군함 같은 형상들은 전면의 꽃과 예리한 각을 이루어 긴장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손장섭의 「DMZ」 연필 드로잉은 비무장지대의 풍경을 한 폭의 풍경화처럼 재구성함으로서 전혀 새로운 이미지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작가의 전혀 진지하지 않은 작업 태도는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강대국들의 태도와 어느 정도 맞닿아 있는 것처럼 보여 씁쓸함을 감출 수 없다. 붉은색으로 강하게 써놓은 글자 위로 잘 자란 소나무를 그려놓은 송효섭의「문자도-혈-민주주의 나무」는 "The tree of liberty must be refreshed from time to time with the blood of patriots and tyrants"-Thomas Jefferson의 무서운 말이 생각나는 그림이다. 전체적인 구조는 분재의 분위에 놓인 잘생긴 분재처럼 보이나 그 보색의 대비에서 전달되는 힘은 그림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역할을 넘어 일견 사회주의식 포스터를 보는 것 같은 착각이 들게 한다. 이승곤의 「어머니」는 한 화면에 여러 가지 상황을 배치하여 다큐멘터리 효과를 준 그림이다. 어머니의 사실적 묘사를 화면의 중심에 배치한 후 전쟁의 참혹한 상황들을 흑백으로 배열함으로서 과거와 현재를 구분 짓고 있다. 역사는 야누스와 비슷하여 두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 과거를 바라보건 현재를 바라보건 우리는 늘 하나의 역사를 선택하여 바라보는 습관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것이 진실이건 거짓이건 그리 중요해 보이지 않는다 . 다만 자기가 정한 것만 보려고 한다는 것에서부터 늘 비극은 시작되어 진다. 「비무장새」를 그린 정세학은 다소 아름다운 그림으로 분단의 현실을 고발하고 있다. 블루와 그린으로 병치된 화면의 구성과 만리장성이 연상되는 철책의 구조는 너무나 장대함으로 다가와 도저히 파괴할 수 없는 물질로 느껴져 좌절감을 안기는 듯하다. 주재환의 「어머니 영웅」은 베트남전에서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슬픔을 베트남 금성홍기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줄거리와 함께 배치한 작품이다. 한 어머니의 슬픔은 그 시대의 아픔을 대변한다. 텍스트 말미에 쓰여진 '역사는 윤리와 만나야 한다'라는 진실에 가까운 글이 뼈를 때린다. 우린 너무 안 좋은 시절을 지나온 것 같다.

 

정세학_비무장새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1×75cm_2019

 

 

3. 2020 새로운 독립운동 (2020-미래) ● 잃어버린 100년의 시간을 되찾는 방법은 그 시대를 지켜온 역사를 올바르게 기억하는 일일 것이다. 2020년 대한민국은 잘못된 역사를 청산하고 적폐를 청산하는 원년으로 삼았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민족의 대 부흥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여야 한다. 대한민국의 진정한 독립은 분단으로부터의 독립, 즉 통일이다. 외세의 도움 없이 스스로 만드는 완벽한 통일만이 이 암울한 시절을 끝장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백두산 호랑이의 기백을 전통적 민화의 기법으로 형상화하여 독립적인 통일의 염원을 묘사한 강기욱의 「독립! 통일」, 화면을 흑과 백으로 분할하여 전쟁의 흔적을 희망의 언어로 승화시킨 김수영의 「안식의 언덕」, 인상주의풍의 서정적인 풍경에 한반도 지형의 여백을 만들어 새로운 역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김은숙의 「하늘이 바다이고 바다가 땅이듯」, 신현경은 흙으로 만든 종이 위에 찢긴 풍선을 매단「우리의 통일」을 통하여 불안하고 힘겨운 미래, 통일 등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이동주는 「종전고지」라고 명명된 작품에서 만개한 꽃들을 전장에서 피어나게 하는 긍정적 화법을 선보인다. 이종희와 박장근은 각각 「휘영청 뜬 보름달처럼 통일이여 아침 빛으로 찬란히 오라」, 「영원한 약속」에서 통일에 대한 염원을 숨기지 않고 직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종희의 8광 화투에 보름달처럼 환하게 뜬 달빛은 희망의 횃불처럼 찬란하다. 이영선의 「통일의 실을 잣다」는 한올 한올 실을 자아 통일을 기원하는 진정이 묻어난다. 임진택의 「아리랑애국가」는 새롭게 제작되어야 할 애국가를 제시하고 있다. 전진현의 「하나되어」, 「숨쉬다」는 옻칠재료기법이라는 독특한 제작방식으로 영토와 국가라는 인식에 한발 다가서고 있는 듯 보인다. 최병수의 금속작업인 「평화통일」은 완전한 형태의 완성체로서의 한반도를 표현해 내었다고 본다.

 

최병수_평화통일_철_35×20×0.5cm_2014

 

 

새로운 독립운동의 원년인 2020년 가을, 그 어느 때보다도 희망과 절망이 공존하는 한반도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것도 예술가라는 이름으로. 청산해야 할 적폐는 산적해 있고 예술가로서 이 시대를 양심적으로 살아내야 한다는 숙명도 함께 안고 가야 한다. 또한 통일을 이루기 위한 예술인으로서의 지분을 감내해야 하며, 희망의 메시지도 제시할 의무가 있다. 어려운 문화 인프라 여건에서도 지속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사)공공예술 들로화 집단과 (사)민족미술인협회 서울지회의 이번 전시가 의미 있는 영감의 원천으로 작동되기를 기대해 본다. ■ 이종호

 

 

Vol.20201111h | 진정한 독립은 통일이다-2020, 새로운 독립운동의 원년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