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도 초반 사진공모전에 관심을 가지고 도전했던 적이 있다.
한국사진작가협회에 가입하려면 공모전 수상 실적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당시 30여점의 점수를 득한 후, 최초 입상일자에서 2년이 지나야 준회원 자격이 주어졌는데,

그 공모전으로 몇 년 동안을 허송세월 보낸 후회감과 그로 인한 자책감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사협"에서 개최하는 사진공모전들은 그 동안 수십 년 동안 지속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만들었고,

공모전의 폐해 또한 심각한 지경에 이르러 진작 없어져야 했는데도 아직까지 승승장구하고 있으니

사진인의 한 사람으로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출품료 수입과 심사에 대한 이권을 누리기 위해 '사협' 각 지부마다 공모전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지만,

아직까지 포토 포트폴리오를 심사하여 한 작가의 역량을 가늠하는 공모전이 있다는 얘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그동안 심사에 대한 부정은 언론에 대서특필되어 아는바와 같이, 그 수준이 저질이라 재론할 가치도 없다.

문제는 심사하는 사람들의 사진을 보는 안목이나 자질이다.

출품하는 사람들도 복권처럼 입상되는 행운을 즐기거나 상금을 노린다면 할 말 없지만,

처음 사진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떠나 앞길을 가로막고, 늪에 빠져들게 하는 독소도 있다. 

스스로의 사진세계를 정립해 가야 할 중요한 시기에 공모전에 몰입하다보면 영영 자신의 사진은 할 수 없다는 말이다.

주관적인 시선보다 심사위원들의 기호를 쫓게 되고,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연출을 마다하지 않는 등

공모전에 적합한 소재만 찾아 나서게 되기 때문이다. 아마 사협 회원 대부분이 그 피해자일 수도 있다.

 

자격이 되어 입회하려면 입회비와 년 회비가 상당한데, 그 만큼 회원들에게 돌려주는 것도 있어야 할 것 아닌가?

여지껏 '사협'에서주목할 만한 기획전 한 번 개최하는 걸 보질 못했고, 좋은 전시를 유치하여 사진계 반향을 일으킨 적도 없었다

그리고 회원들에게 내 주는 회원증에 사진작가증이라고 적힌 글귀가 더 웃긴다. 아마추어 사진인들을 유혹할 미끼는 될지 모르지만,

지금은 회원 수 가 만 명이 넘는 공룡집단이 되었고 그 이권도 대단할 것이 아닌가.
그 결과 사진을 전공한 사람이나 교수, 작가 의식이 있는 사진가 대부분이 탈퇴하거나 협회를 기피하는 지경이 되고 말았다.

전문적인 사진가들이 모두 등을 돌렸으니 한국사진을 대표할 만한 기획전이나 단체전에는 원로 작가를 제외한

'사협' 소속의 회원들은 찾아 볼 수가 없게 된 것이다.

 

이제 더이상 순수한 사진인들을 볼모로 기득권자들이 이득을 보게하는 일은 중단되어져야 한다.

그 들이 자신만의 사진세계를 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개인은 물론 사진계 발전에 이바지하는 길이다. 

 

 

1984년 부산진의 한적한 골목에서 만난 장면입니다.
하릴 없는 사람들이 모여 앉아 끼리 끼리 화투를 치고 있었지요.
동전 따먹기 고스톱이 무료한 시간을 보내기는 그지그만이지만,

사람들이 지나치는 길거리라 좀 그러네요...
요즘은 동네마다 노인회관이 있으니 길거리까지 나올 필요도 없겠지만,

텔레비젼 끼고 사는 것 보다야 낳다고 생각합니다.

 


1995년 여의도 광장에서 만난 노부부의 모습입니다.

 

자전거를 빌린 할아버지께서 주위를 의식해 타지 않으려는 할멈을 억지로 태우고는
드라이브를 즐기는 재미있는 장면입니다.
할머니 말씀으로는 젊은 시절 한량이셨던 할아버지께서 속을 무척 태웠다면서도 은근히 좋아하시더군요.
두분이 아직까지  건강하게 사시는지 궁금합니다.

여의도광장이 아니라 시골길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프라다나스 향기 퍼지는 그늘을 지나서 달린다 달려간다 젊은날의 로맨스..."

 

 

 

 

 


 

                                                 2013년3월9일 한미사진미술관에서 열린 홍순태선생 사진전에 모인 사진가들 (사진: 김녕만)

                                                 사진 왼쪽부터 사진예술 윤세영편집장, 권태균, 김남신, 이완교, 조문호, 강운구, 황규태, 송영숙 한미

                                                 사진미술관장. 민병헌, 홍순태, 김한용, 주명덕, 한정식, 구본창, 박영숙, 최봉림씨

 

 

이 사진들은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중위였던 조지 플러가 기록한 사진들입니다.

당시의 생활상을 흑백사진으로만 보아왔던 우리들에게 또 다른 감흥을 일깨워 주었는데,

연한 분홍빛과 초록저고리를 입은 소녀들의 옷차림에서, 그 시절의 의복들을 제대로 볼 수 있었습니다.

 미군장교가 취미로 찍은 사진이지만, 기록에 대한 소중함을 다시 일깨워 주는 소중한 사료였지요.

 

본인 사후에 일본에서 동거했던 여인을 통해서 들어오게 된 필름들은

슬라이드 필름의 변색을 막기위해 오동나무상자에 잘 보관되어 있었답니다.

1996년 6월, 통신사 기자를 통해 들여 온 필름들을 인화해 삼성포토갤러리에서 전시회도 가졌고,

눈빛출판사에서 '끝나지 않은 전쟁'이란 제목의 사진집을 출판하기도 했습니다.

 

 

 

 

 

 

 


[신수진의 사진 읽기] [2]

 

대공황 온몸으로 버텨낸 '어머니'의 얼굴

 

1929년 뉴욕 증시가 붕괴되면서 찾아온 미국 경제 대공황의 폭풍은 거셌다. 도로테아 랭(Dorothea Lange·1895~1965)의 사진 속 여인처럼 대도시는 물론이고 농촌 지역에 이르기까지 집을 잃고 먹을거리를 찾아 떠도는 사람들이 넘쳐났다. 그들이 짊어져야 했던 삶의 무게를 상징적으로 기록한 이 작품은 사진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인물사진 중 하나가 되었다.

그녀의 이름은 어머니이다.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떠나온 그녀에게 세 아이는 운명처럼 주어진 벅찬 고단함이자 살아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쭈그려 앉은 양 어깨에 얼굴을 파묻으며 매달리는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그녀는 살아야 한다. 혼자가 아니기에 그녀의 하루하루는 더 가혹했겠지만, 혼자가 아니기에 그녀는 반드시 살아남았을 것이다. 홀로 어딘가를 응시하는 그녀의 눈빛에는 운명에 순응하는 자의 허망함과 결연함이 함께 깃들어 있다.

당시 미국의 행정부는 경제 위기로 양산된 이주민 노동자들을 재정착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경제학자 로이 스트라이커의 지휘로 경제 침체를 겪고 있는 지역을 순회하며 현장을 기록하는 일을 사진가들에게 의뢰했다. 도로테아 랭은 1935년부터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14개 주를 돌며 1700마일에 달하는 여정을 소화해 냈다. 본래 꽤 인기 있는 인물사진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던 그녀는 이 일을 계기로 안락한 일터를 등지고 거리로 나아가 사회적 다큐멘터리에 집중하게 된다.

열정적인 그녀의 카메라에 포착된 수많은 장면 중에서도 이 사진이 유독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는 이유는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도로테아 랭은 길에서 만난 사람들을 촬영하면서 스스로 세운 원칙을 고수했다고 한다. 억지로 꾸며대지 않고 자신이 마치 그들의 일부인 것처럼 현장에 남은 과거의 흔적과 현재를 고스란히 담고자 했던 것이다. 덕분에 이 사진에는 영원히 살아있는 어머니의 모습이 남게 되었다. 오래전 낯선 아이들에 둘러싸인 여인의 모습에서, 우리의 어머니를 본다. 비록 남루하고 초라할지라도, 가족을 위해 기꺼이 젊음을 헌신한 모든 어머니에게 이 사진의 감동을 바치고 싶다.

신수진(사진심리학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