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연복씨의 ‘온 몸이 길이다’ 판화전이 지난 11일 오후2시 ‘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에서 개막되었다.




기다리던 전시라 만사를 제쳐두고 갔다.
다시는 전시장 돌아다니며 일 만들지 않겠다는 다짐한지가 오래지 않건만,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북한산을 거닐다2, 2013, 1,38X165cm,소멸다색목판

류연복씨의 작품을 띄엄띄엄 보았지만, 36년 동안의 전 작업을 한꺼번에 볼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다.


풍악산 일만이천봉,2009, 1,23X180cm다판다색목판


그의 작품을 처음 만난 것은 80년대 민주화투쟁을 형상화한 끝내 이루리라 이루어 내리라’였다.
민중적이고 투쟁적인 판화에 매료되어 그의 이름은 각인 되었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사뭇 선동적인 작품이었다.



끝내 이루리라 이루어 내리라1,1989,37X37cm,채색목판


그 이후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90년대 후반 동강 댐 건설을 막으려는 환경단체의 목소리가 높을 때, 다시 류연복이란 이름을 찾아냈다.
초창기 보았던 투쟁적인 작품과는 달랐다.
국토에 대한 애정과 자연을 향한 따뜻한 시선이 묻어있었다.


동강전도, 1999, 180X110cm, 다판다색목판


그 당시는 동강을 찍기 위해 정선 귤암리에서 일할 때다.
백운산에 올라가 동강 물줄기를 부감으로 찍기도 했는데, 그 장면을 사진처럼 극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동강(고성산성에서)1999, 57X107cm, 단색목판


바세와 연포마을을 굽이굽이 휘감는 강줄기 사이로 박혀있는 집들은
동강사람들의 삶처럼 아름답기도 하고 애절하기도 하고 역동적이기도 했다.



바로, 현장 답사에 의한 실경산수였다.
“아! 민중미술가 류연복씨 작품이 실경산수로 바뀌었구나. 역시 대단한 작가다!”며 다시 흠모했다.
주제만 바뀌었지 민중정서를 반영하는 태도는 똑 같았다.


외암골 전도, 2002, 120X84cm, 다판다색


풍경을 이루는 산과 강의 흐름은 강력하고 마을의 경계는 선명했다.
넓고 탁 트인 시선에서 부터 작고 가까운 곳을 바라보는 섬세함에 이르기까지 모든 게 명료했다.
국토에 대한 형상성은 두드러지고, 부분적인 독자성은 분명했다.


서운산-겨울, 2003, 65X123cm, 다판다색목판


그러고는 또 잊고 있었는데, 6년 전 인사동 ‘부산식당’에서 그를 처음 만난 것이다.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었는데, 첫 인상이 소탈하고 겸손했다.
그 이후 광화문광장‘의 ’광화문미술행동‘팀에 함께하며 유심히 지켜볼 수 있었는데, 사람이 진국이었다.


꽃 한송이 2018, 97X72cm, 소멸다색목판


허허실실 웃으며 바람처럼 살지만, 늘 말보다 행동이 앞서고 잔머리 굴리지 않았다.


나는 온몸이 길이다-봄, 2012, 91X91cm, 다판다색목판.


류연복씨는 사람과 작품이 똑 같았다.
대개 작품을 먼저 알고 나중에 작가를 만나는 경우가 많은데, 실망스러운 경우를 종종 접한다.
작품은 좋으나 인간성이 형편없는 작가는 사람이 아니라 작품 만드는 기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사람 나고 작품도 있는 것이다.




작가와의 만남이 있는 지난11일 오후3시 무렵, 정영신씨와 함께 전시장을 찾았다.
‘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은 처음 가보았는데, 시골에 이렇게 좋은 전시장이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개성없는 비슷비슷한 전시장이야 가는 곳마다 늘려있지만, 판화만 보여주는 전문미술관을 어찌 시골에서 볼 수 있겠는가?
아마 진천에 사는 판화가 김준권씨의 노력에 의한 산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런데, 그 멀리까지 많은 사람들이 왔더라.
류연복씨의 작품성이나 인간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대목이다.
아는 분으로는 평창에서 온 화가 권용택씨 내외를 비롯하여 미술평론가 김진하, 이태호씨,
화가 변정섭, 박불똥, 박진화, 김 억, 송용민, 김 구, 임정희, 김건희, 김가영씨가 참석했다.

판화가 이윤엽씨는 아들 땅을 데리고 왔는데, 뒤늦게는 김준권씨도 나타났다.




개막식은 끝나고 작가와의 만남이 시작되고 있었는데,
류연복씨는 마치 장터 약장사처럼 너스레를 떨었다.
“날이면 날마다 오는 기회가 아니예요”라며 흩어진 관객들을 불러 모았다.




류연복씨의 목판화에는 힘이 흘러넘쳤다.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모든 현실적이고 역사적인 문제를 토해냈다.
저항적이고 비판적으로 칼을 휘두르기도 하고 때로는 서정적으로 다독였다.
국토를 온 몸으로 누비며 체득한 산하지만, 풍경 에너지와 사람의 삶을 응결시키려는 속내가 엿보였다.


도피안사 전도,2003,110x80cm,다판다색

류연복씨의 근작은 국토풍경을 담은 목판화다.
분단풍경인 DMZ에서 부터 독도,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 무등산, 북한산 등
방방곡곡을 누비며 국토의 아름다움 속에 민중의 비애를 버무렸다.
여러 번의 칼질이 아니라 단칼의 칼질이 빚은 선명한 골격이 돋보였다.
풍경조차 서민적이고 민중적이라 풍경의 수려함 속에 비극적 슬픔이 깔려 있었다.


갈라치며 나아가자,1989,28X49cm, 채색판화


미술평론가 김진하씨는 서문에 이렇게 썼다.
“류연복의 목판화는 일도양단의 칼질로 그 이미지가 선명하다.
구사된 칼은 주저하거나 돌아가거나 에둘러 여운을 남기지 않는다.
전통적인 목판화의 원초적인 칼 맛의 연장선상에서 대상의 특징을 포착해내면서
그 내용의 핵심을 도드라지게 만든다. 명료하다. 강하다. 그래서 류연복스럽다”


가난한 사랑 노래,1998, 37X27cm, 채색목판


이 전시는 12월 31일까지 열리니 진천을 지나치는 걸음에 꼭 한 번 보시기 바란다.

두번째 작가와의 대화가 열리는 11월22일(금) 오후3시에 가면 금상첨화다.
작가의 말처럼 날이면 날마다 오는 기회가 아니다.

사진, 글 / 조문호


모자,1992, 27X18cm, 소멸다색


붓을 들어 육천만 가슴에, 1989,30X30cm,채색목판.


백골단과 전사,1991,37X25cm, 다색목판

빈들 생명-딛고 선 땅, 2004, 45X124cm, 소멸다색목판

해방춤1,1986, 45,5X53cm,채색판화

숲2, 2017, 92X92cm, 소멸다색목판.

전각판화(책표지),2016-2018, 16X16cm X54

달밤-금강산외 열두폭 평풍, 2007, 61 X30,5cm X12



[전시 개막식날 작가와의 대화에서 찍은 사진이다]






























































황재형작 '알혼섬' 2016 캔버스에 연필 162.2X112.1cm



‘춘천시문화재단’에서 기획한 “강렬하게, 리얼하게” -바이칼에서 강원 춘천까지-가 26일까지 ‘춘천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열린다. 지난13일에는 역사학자 주재혁의 ‘바이칼과 아리랑’에 대한 강연도 있었다.
“바이칼호반 원주민 부리아드 코리족은 코리안(고려인)이란 종족이름을 가졌다, 이태리인처럼 가창력이 뛰어난 바이칼호반 코리족들은 ‘아리랑’가락이 본래 당신네 가락이 아니고 우리 가락이었다고 말했다”며 우리 민족의 뿌리였음을 강조했다.



길종갑작 '바이칼 답사기' 2016 캔버스에 아크릴 130X160.5
 

개막식에는 참여작가인 권용택, 김대영, 김용철, 길종갑, 서숙희, 신대엽, 이재삼, 황재형, 황효창씨를 비롯하여 미술평론가 최형순, 춘천문화재단 상임이사 이치호, 화가 함 섭, 장경호, 노용춘, 전강호, 도예가 신동여, 사진가 정영신, 하재은, 최용주, 목공예가 류정호, 시나리오작가 최근모 등 100여명이 참석했으나, 대개 모르는 분이 많았다.



권용택작 '바이칼-오대산천까지' 2016 캔버스에 아크릴, 먹 324X260.6



이 전시는 바이칼 현장답사를 해가며 우리민족의 정체성과 뿌리를 찾으려는 기획 의도는 좋았으나, 준비 일정이 너무 촉박했다. 그러나 절반의 성공은 거두었다고 생각한다. 우리민족 원형의 동질성이 작품 여기 저기 드러나 있고, 작품 곳곳에 선조들의 영혼이 떠도 는 것 같았다. 



이재삼작 '달빛' 2016 charcoal on canvas 80x194cm


 
이재삼의 작품 ‘달빛’은 ‘저 알혼섬이 영혼의 섬은 아닐까?’하는 몽환적 분위기로 끌어들였다. 물안개의 미묘한 질감 또한 이재삼의 목탄화가 아니면 아무도 살릴 수 없을 것만 같았다. 황재형 역시 목탄으로 그린 작품이 있었다. 높은 절벽아래 이는 물빛을 담은 알혼섬’이란 작품은 대자연의 위엄 속에 마치 선조들의 혼이 일렁이는 것 같았다. 권용택의 작품 ‘바이칼-오대산천까지’는 바이칼에서 시작된 우리민족의 이동경로가 느껴지고 있었다. 수원화성과 오대산, 바이칼에 이르는 대서사가 한 프레임에 나누어지고 있었지만, 이질감 없는 동질성으로 응축되었다.
 


황효창작 '바이칼의 혼' 2016 캔버스에 유채 100X100cm



인형을 통해 우리 삶의 모습을 드러내는 황효창의 ‘바이칼의 혼’은 나무에 얼 킨 오방색 천으로 우리 무속신앙의 원형을 보여주었으며, 길종갑의 작품 ‘바이칼 답사기’의 강렬한 원색적 터치는, 알혼 섬이 맑고 깊은 생동의 기운으로 넘치게 했다. 김대영의 ‘알혼섬의 사랑바위’는 그의 방식대로 오방색과 왕관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바이칼을 시원의 의미를 가진 민족의 양수로 표현하고 있었다. 김용철의 ‘바이칼의 노래’는 아리랑이라는 음악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동질성을 나타냈다.



김용철작 '바이칼의 노래' 2016 한지위의 아크릴릭 250x90cm



  서숙희작 '바이칼 가는 길-샤먼을 부르는 바람' 2016 리넨에 아크릴채색 117x73cm



또한 서숙희의 ‘샤먼을 부르는 바람’이라는 작품은 바이칼에 이는 바람을 그렸는데, 그 시적 분위기가 독창적이었다. 신대엽의 ‘아무 것도 아닌, 그러나 모든 것인’이란 작품은 옛 풍속도나 신선도처럼 시간을 초월하는 묘미가 있었다. 우리민족 고유의 가락 잡힌 낙천성이 깃들어 있었다. 난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사람에서 찾았기에, 실 한 올 걸치지 않은 남자의 몸을 바이칼 호수 변에 세우기도 했다. 




 신대엽작 '아무 것도 아닌, 그러나 모든 것인' 2016 리넨에 먹과 채색 210x400cm



전시장을 메운 작품들은 텅 빈 가슴을 어루만지는 한 구절의 시, 내면에 깃든 잠재력을 일깨우는 음악, 새로운 힘이 솟게 하는 춤사위 같이 감상자들을 피안의 세계로 끌어들이며, 우리의 장대한 역사를 말해주고 있었다.



김대영작 '알혼섬의 사랑바위' 2016 캔버스 위 아크릴 193,9x130,3cm



전시를 기획한 미술평론가 최형순은 서문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작가들이 바이칼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담은 아리랑으로 펼치는 우리민족의 이야기가 다채롭다. 강원도 작가들의 전국적인 유명세도 상상이상이다. 불의에 기웃대지 않는 작가적 자존심도 그 크기에 못지않다. 살아있는 땅의 역사에 살을 부비며 그 안에 깊숙이 배어있던 모습들도 그대로 들추어냈다.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려하는 진실의 태도를 거기서 배운다. 미래를 맞는 준비도 거기서 가능하다. 이들이 펼치는 그 미술 자체가 겨레의 노래이며 아리랑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글 / 조문호



조문호 작 '바이칼에서 길종갑' 2016 잉크젯프린트 110x 210cm








 


황재형작 '칸차르다흐 2016 캔버스에 유채 162.2x112.1



"강렬하게, 리얼하게"

-바이칼에서 춘천까지-


최형순 / 미술평론가







황효창



바이칼의 혼 2016 캔버스에 유채 100x100


광화문에서 2016 캔버스에 유채 200x200


광화문에서 2016 캔버스에 유채 100x100 / 광화문에서 2016 캔버스에 유채 100x100




길종갑


바이칼 답사기 2016 캔버스에 아크릴 130x160.5


화전 2014-2016 캔버스에 아크릴 130x160.5(7점)


화악산기 2015-2016 캔버스에 아크릴 130x160.5





김대영



알혼섬의 사랑바위 2016 캔버스 위 아크릴 193.9 x 130.3


숲길 2016 캔버스 위 아크릴 193.9x 97


상춘의 봉의산길 2016 캔버스 위 아크릴 193.9x 97




김용철



바이칼의 노래 2016 한지 위의 아크릴릭 250x90







조문호



길종갑 2016 바이칼 110x210


김의권 1991 울산 언양 110x210


전강호 2008 양주 송추 110x210





권용택



바이칼-오대산천까지 캔버스에 아크릴, 먹 324.4x 260.6


오대천의 수달 2011 캔버스에 아크릴 162x 130


산불 2000 캔버스에 아크릴  184x 73





황재형


알혼섬 2016 캔버스에 연필 162.2x 112.1


역사는 선비와 함께 흐른다 2014,7 캔버스에 목탄과 짚신 259,1x 162,1


아! 이르쿠츠크 2016 캔버스에 유채 아크릴릭 97x162.2 /  33,4x53





이재삼



달빛- moonscape- 2016 charcoal on canvas 80x 194


달빛- moonscape- 2013 charcoal on canvas 227x 543


달빛- moonscape- 2009 charcoal on canvas 259x 582






서숙희



바이칼 가는 길 - 샤먼을 부르는 바람 2016 리넨에 아크릴 채색 117x 73


바이칼 가는 길 - 샤먼을 부르는 바람 2016 리넨에 아크릴 채색 162x 97


반짝이는 나무 2016 리넨에 아크릴 채색 116x 73





신대엽


아무 것도 아닌, 그러나 모든 것인 2016 리넨에 먹과 채색 210x 400

 번개시장 2007 순지에 먹과 엷은 색 200x 250


백작도 2015 순지에 먹과 엷은 색 162x 127





-황재형의 '터'-



강원도의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해 강원도 리얼리즘 작가 열 명이 모였다.


꿈틀대는 진경산수와 질곡의 삶을 살아온 민초들의 모습으로,

 통한의 산천에 둥지 튼 사람사는 이야기를 담았다.

    

200평에 가까운  전시장을 채운, 이 대규모 기획전이 그 흔한 지원금 한 푼 없이

가난한 작가들의 주머니를 털었다는 것도 뜻하는바가 크다.

 

산과 함께한 격동의 강원 70년”전은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30일까지열린다.



태백의 황재형 작품이다.

그는 광부생활까지 하며 작업 한, 치열한 작가다.

작가 아버지의 슬픈 모습에 내가 눈물이 난다.

 


터줏대감 격인 해방둥이 황효창의 작품이다 


 인형으로 현실 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가려진 삐에로의 표정이 더 슬프다.


화천의 길종갑 작품이다.

만화경같은 초현실적인 풍경은 작가가 사는 마을의 한 풍경일 것이.

상여행렬도 보이고 운동장도 보이는, 삶의 당대 현실이 충실하게 재현되고 있다.


신대엽의 삶의 풍경이다

우리 시대사를 아홉 폭에 응축하였다.

이 한국화 역시 이웃의 평범한  모습과 주변 풍경을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정선의 조문호 사진이다.

얼굴은 개인의 정체성 표식이자 문화적, 사회적 징후다.

이들의 얼굴과 몸에서 우리의 전통과 역사를 확인해 보는일은, 새삼 강원도의 정체성을 사유해 보는 일에 다름아니다.



영월의 백중기는 산이 품은 강과 그 강이 품은 마을을 그렸다.

 산길 따라 물길 따라, 붓 길까지 살아 꿈틀거린다.


 "수 만년 세월을 지켜 본 이 준령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고 작가는 적고 있다.


평창 진부의 권용택은  허리 잘린 국토의 아픔을 말하고 있다.

겸재와 단원이 실경을 위해 찾아갔던 곳,

금강과 강원의 산하를 화폭에 담았다.

.

춘천의 김대영 작품이다.

꿈틀대듯, 울부짓듯 에너지가 느껴진다

 

김용철은 나무판에 그림을 새겼.

거대한 판화의 목판 원본같은 작품으로, 살아 움직이는 조각에 다름아니다.

광복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김구선생의 모습도 새겼다.

그리움의 감성을 끌어내는 서숙희 작품이.

눈을 부라리고 보아야 보이는 정선가는 산길에 버스 한 대만 보일 뿐, 아득하다.

 아스라한 삶의 풍경이 조용하다.



 



길종갑 / 음력7월20일(장삿날) 2008 아크릴릭 300X194cm


강원도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미술에 담은 우리강원 “산과 함께 70”기획전이
오는 11월 25일부터 30일까지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립니다.
전시오프닝은 25일, 오후3시입니다.

춘천 오시는 걸음이 있으면 한 번 들려주십시오.

 아래는 전시도록을 옮겼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