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부터 인사동 갤러리 나우

섬 전문 사진가 강제윤 시인의 작품 ‘대매물도’




(사)섬연구소는 오는 8월 8일 제1회 섬의 날을 기념해 강제윤 섬 사진 전시회 ‘당신에게 섬’ 전을 7월 31일~8월 6일 서울 인사동 갤러리 나우에서 연다. 이번 섬 사진전은 섬의 아름다움과 섬에 깃든 문화, 역사 자원의 가치와 수백, 수천 년 섬을 지켜온 섬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재조명해 섬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20년 동안 한국의 유인도 400여 곳을 탐방하고 조사활동을 해온 시인이자 한국 유일의 섬 전문 사진가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강제윤 소장의 대표적인 섬 사진 작품 50점을 전시한다. 섬 길만을 걸어온 섬 전문 사진 작업의 총결산이다. 하의도, 금오도, 소리도, 가거도, 여서도, 보길도, 반월도, 욕지도, 연화도, 미륵도, 홍성죽도, 백령도, 차귀도, 마라도, 울릉도 등 한국 동서남해의 대표적인 섬들이 소개된다.


강제윤 시인은 오랜 세월 섬의 가치를 지키며 섬을 조사 연구해온 대표적 섬 연구자이자 섬 활동가다. 20여 년간 한국의 유인도 400여 곳을 답사해 섬에 대한 연구서 10여 권을 출판했으며 섬 전문 연구단체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설립을 주도해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인문학습원 ‘섬학교’를 설립해 교장을 맡아 8년 동안 매월 1회씩 연인원 3000여 명에게 섬 공부를 시켰다. 전라남도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자문위원으로 섬 가꾸기 활동을 지원 중이며 2018년에는 국가 섬 정책 컨트롤타워 설립을 위해 행정안전부, 진선미의원실 등과 함께 국회 섬포럼을 개최하기도 했다.


[스크랩] 한국경제 / 최병일 여행·레저전문기자 skycbi@hankyung.com





김수길씨의 ‘시간지우기’사진전이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나우’에서 열렸다.

난, 오래전부터 인사동에서 김수길씨를 보아 왔지만, 사진을 한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다.

80년대 중반무렵 인사동에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이란 카페가 있었는데,

그 카페를 운영한 주인이었다는 것도 뒤늦게 알았다.

일단, 그림공부를 했던 사람이라 그런지 사진들이 그림 같았다.

오래된 활동사진이 돌아가는 느낌은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중첩된 이미지는 작가의 오래된 기억을 끄집어 낸 것들인데, 암울하고 처연한 풍경이었다.

앙상한 가로수가 펼쳐있고 그사이에 실루엣의 사람이 부각된 가운데. 저 멀리 버스도 보인다.

작가의 기억이 뭔지는 알 수 없으나, 뭔가 정처 없이 떠나고 싶은 충동이 일면서도, 한편으론 쓸쓸해진다.

또한 꽃 위로 웅덩이가 있는 시골길이 정겹게 펼쳐져 있다. 애틋한 고향에 대한 기억인 것 같다.

모든 사진들이 숨은 그림 찾는 퍼즐 같다.

작가는 왜 시간을 지우는 것인가? 사라져가는 시간을 지운다고 말할 때는 잊기 위함인가?
아니, 그는 잊기 위함이 아니라, 기억하기 위해 지운다고 한다.


한 때는, 서울 사대문 안의 이화동 낙산 뒷골목을 기록한 적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번엔 사실적인 기록이 아니라 정반대의 추상적인 기억의 기록을 선보인 것이다.

단순해 보이는 현실기록보다 창의적 기록으로, 한 걸음 나아갔을지 모르지만,

세월이 지난다면 이화동의 현실기록이 더 빛나지 않을까?

어찌 보면, 그 가치기준 자체가 허망한 것인지도 모르지만...

잡지 ‘카페人’ 발행인 손한수씨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한 컷을 위해 작가는 오늘도 지운다.
 잊지 않기 위해 시간을 지운다.
 그렇게 응축된 순간들의 이야기는 울림이 크다.
 지우면 여운이 깊다”

글 / 조문호












아래 사진은 정영신씨가 오프닝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내왔습니다.

작가를 비롯하여 이순심관장, 노광래, 김구, 임경일, 편근희씨 등 낮익은 분들의 모습도 보입니다.
















사진가 박진호씨의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전이 지난 6월1일 오후6시, 인사동 ‘갤러리 나우’에서 열렸다.


이 날 개막식에는 사진가 박진호씨를 비롯하여 이순심관장, 박재호, 장일암, 류은규, 양재문, 김영태,

황규범, 노연덕, 신혜선씨 등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축하했다.

박진호씨는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서울예전에서 사진을 배웠다.
홍대 산미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을 공부한 후, 1992년‘아노미’전을 시작으로 아홉 차례의 개인전과

한국사진의 수평전 등 많은 단체전에 참가했다. 무엇보다 강하게 인식된 작업은 첫 전시‘아노미’였다.
자신의 신체를 복사기로 형상화해 존재 자체를 확인한 작업이었다.

기계적 복제나 다름없는 인간적 고뇌를 표출한 것으로 당시로서는 신선한 충격을 안겨 주었다.


그 외에도 ‘어쩌다 느낀 작은 슬픔이 있을 때’ 같은 시적 이미지들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에 내놓은 작품은 달의 흐름을 자유자재로 움직인 사진이다.
 
이사진들은 70-200mm 망원으로 스트레이트하게 찍은 사진인데, 촬영 기법과 노출 데이터를 찾기까지 7년이 걸렸고,

촬영기간은 무려 10년이 넘었다고 한다. 그 긴 시간동안 생각을 숙성시켜 온 것은 자유로움을 꿈꾸었다는 것,

좀 더 경쾌한 삶을 그리워했다는 것 그리고 50대 중반의 나이가 주는 주체적 사유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는 작업노트에서 달은 신(神)이라며, 자신도 모르는 신을 표현하려는 자체가 헛된 노력일 것이나,

신을 마음대로 움직이고 싶었다고 적었다. 자연법칙을 벗어나고 우주원리를 이탈한 자유, 그런 인생을 바라지만,

너무 슬프다고 했다.
 
예술은 결코 감각만의 영역이 아니다. 끊임없는 생각과 회의 그리고 탐구에 감각이 더해져야 한다.

그 추운 겨울바람에 떨고, 여름 날 모기에 뜯겨가며 사진을 찍은 것은 오랜 기간의 생각과 회의에 따른 사유의 결과라고 한다.

그의 친구인 한양대교수 정재찬씨는 이렇게 전해왔다.
 
“그는 도도한 외로움, 고고한 슬픔에 대해 말하고 있는 거다. 그러니 저 제목은 교만도 유희도 아니다.

어쩌면 신 앞에서 응석을 부리고 싶거나, 눈물로 간구하고 싶지만 인간의 자존심으로 간신히 버티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어찌 그를 이해하랴. 다만 거룩하진 않아도, 거짓되고 위선에 찬 신앙보다는 네가 참 되도다,

신이 말해 줄 것이다, 라고 믿을 뿐이다.”
 
난, 다큐멘터리 사진가이지 사진평론가는 아니다.
그래서 박진호의 사진을 보며 느꼈던, 지극히 주관적인 단상들을 말할까 한다.
 
보통 달을 찍으려면 장시간 노출을 주어 달의 궤적이 한 줄로 이어지는데, 이 사진들은 이리 왔다 저리 갔다 해,

마치 춤추는 달처럼 넘실댄다. 달을 소재로 택한 것은 사진으로 시를 쓰겠다는 이야기다.
 
달을 생각하니, 죽은 울 엄마가 제일먼저 떠오르고, 둘째는 이백선생이 생각나더라.
왜? 울 엄마가 생각났냐면, 살아생전 즐겨 부른 노래에 달이 나오기 때문이다.

노래 제목은 모르지만, 반세기가 지나도록 그 노래가사들이 잊혀 지지 않더라.

첫 소절이 “구름 속에 달빛만 엉큼한 줄 알았더니, 알고 보니 당신의 마음도 검구려”로 시작된다.

자연에 빗댄 사랑의 마음을 어찌나 은근하게 풀었는지, 노래가사가 바로 시였다,


즉 박진호의 사진 메시지는 자연과 사람이 하나라는 시였다.

자연과의 사랑 노래, 아니 달과의 아주 애로틱한 사랑 그 자체였다.

두 번째 떠 오른 이백 선생도 달과 인연이 너무 깊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이백선생께서도 자연을 신이라 했다
“독작(獨酌)”이란 시를 한 번 읽어보라.

“꽃 사이에 앉아 혼자 술을 마시니
달이 찾아와 그림자까지 셋이 되었다
달도 그림자도 술은 못 마시지만
그들과 더불어 이 봄밤을 즐기자
내가 노래하면 달도 하늘을 서성거리고
내가 춤추면 그림자도 춤춘다
이리 함께 놀다가 취하면 서로 헤어지니
담담한 우리의 우정, 다음엔 은하 저쪽에서 만날까“

이 정도면 가히 신선이다. 스스로 귀양 온 신선이라고 하였지만, 현실은 못내 답답하고 아팠을 것이다.

자연을 벗 삼아 술로 한을 달래지 않았나 생각된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작가의 마음이 어렴풋이 읽혀지더라.

마치 붓글씨처럼 자유롭게 그어진 달의 흔적은 풍류에 앞서 작가의 의지 같은게 느껴지더라.
뒤틀린 현실에 가슴이 미어져, 자신이 몸 담아 온 사진판부터 바로세우고 싶었을 게다.

지난해에는‘최민식사진상’대상수상작 문제점을 제기하며, 친구였던 수혜자를 강력하게 비판한 일도 있었다.

그래서 신이나 다름없는 달을 마음대로 움직여, 잘못된 세상을 바로 잡겠다는 의지 표출도 숨어 있을 것 같았다.

나아가, 자연과 더불어 사람답게, 그리고 세상을 자유롭게, 재미있게 살라는 말 같았다.

바로 갑이 없고 을이 없는 대동 세상을 만들어, 신선처럼 함께 놀자는 메시지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 전시는 14일까지 이어진다. (갤러리 나우 02-725-2930)


사진, 글 / 조문호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60*6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60*6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90*15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12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90*15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66*11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사진가 박진호씨의 열번째 개인전‘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사진전이

오는 6월1일부터 14일까지 인사동‘갤러리 나우’(02-725-2930)에서 열립니다.

초대일시는 6월1일 (수요일) 오후6시입니다.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60*60cm, 디지털프린트, 2016


-작업노트-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I Moved the Moon by Myself!

 

어느 날 - 사실 어떤 날, 무슨 상황이었는지 선명하게 기억한다. 10년 전 그 어느 날....

밤이었다. 작업실 앞산, 달이 솟아올라 내 눈을 찔렀다. 보름달은 아닌, 그보다는 조금 찌그러진 달이었다.

찔린 건 눈이었지만 피를 흘린 것은 가슴이었다.

심장이 요동쳤다. 맥박이 빨라졌다.

네 장 찍자 피가 멈췄다.

 

이후 달은 계속 내 눈을 찔렀고 나는 그 달을 계속 찍었다.

무엇이었을까.... 무엇 때문이었을까....

모른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모르는 것을 표현하려는 짓은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것 같은 헛된 노력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짓이다.

새벽, 찰나(刹那)만큼이나 짧은 0.5초라는 시간은 30초라는 시간을 영겁(永劫)처럼 느끼게 한다.

 

, 달에게 찔린다는 것, 강림(降臨)이었다.

, 달을 찍는다는 것, 그것은 주술(呪術)이었다.

달은 신()이었던 것이다.

아하, 을 나는, 내 손으로, 내 마음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었다!

 

내 말이 어려운가?

自然法則을 벗어난, 宇宙原理를 이탈한 그런 自由.... 法則, 原理도 미치지 못하는 自由로움.... 그런 人生.... 을 마음대로 움직이는 삶....

 

어쩌면 가벼운 遊戲가 그리웠던 것인지도 모른다. 쉽게 그렇게 하지 못하는 天性, 그것이 遊戲의 가벼움을 그리게 했는지도 모른다. 그토록 오랜 동안....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슬프다는 것이다. 어려운가?

나는 슬프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는 것이다. 理解되는가?

내 말이 理解된다면 당신은 내 作品理解한 것이다.

作品理解했는가? 당신, 참 훌륭하다!

당신은 나를 理解한 것이다.

 

, 당신 참 고맙다!!

 

2016. 6. 1. 박진호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60*6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90*15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12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90*15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66*110cm, 디지털프린트,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70*70cm, 디지털프린트, 2016



박진호(朴鎭浩. Park, Jin-Ho. 1962-)

 

 E-Mail : parkjjinho@naver.com

홈페이지 : www.parkjinho.com

<학 력>

1985 한양대학교 졸업

1989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졸업

1997 홍익대학교 산미대학원 졸업(사진디자인 전공)

 

<개인전>

2016 내가 저 달을 움직였다 (갤러리 나우, 서울)

2010 영가(靈家)의 초상(肖像) (이룸 갤러리, 초대, 서울)

2008 어쩌다 느낀 작은 슬픔이 있을 때 (갤러리 나우, 서울)

2005 나를 보다-길을 잃다 (김진혜 갤러리, 서울)

2003 언타이틀드 (KCAF-한국현대미술제, 예술의 전당, 서울)

2001 지금(只今)(이정희 갤러리, 초대, 서울)

2000 몸 너머 (대안공간 풀, 서울)

1997 언타이틀드 (관훈 갤러리, 서울)

1995 노이로제 (삼성 포토갤러리, 기획, 서울)

1992 아노미 (소나무 갤러리, 서울)

 

<단체전 및 기획전>

2016 FIVE TYPES OF expression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15 태백팔경 경관-검은 땅에 꽃피다 (철암탄광역사촌, 태백)

2014 Art of Photography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AFFINITY 90 (갤러리 조선, 서울)

2013 Thinking MEDIA (충무아트홀, 서울)

2010 서로를, 호흡하다 (포네티브 스페이스, 파주)

두 겹의 부정 - 명료함에 반()하다 (갤러리 조선, 서울)

2009 다시 개항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빛의 노래 (제비울미술관, 과천)

2TWOSee - 두 가지 시선 혹은 이중성에 관하여...(대안공간 눈, 수원)

서울포토 2009 (코엑스, 서울)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2008 한국현대사진 601948-200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비전-2008 (토포하우스, 기획, 서울)

2007 夜動 (갤러리 룩스, 기획, 서울)

Text in Bodyscape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대진대학교 교수전 (모란갤러리, 서울)

Good Life (GS타워, 서울)

2006 1회 서울국제사진페스티발 (관훈 갤러리, 서울)

6 Make-Up (나우 갤러리, 서울)

나우 갤러리 개관기념전 (나우 갤러리, 서울)

현대미술의 현장 (갤러리 호, 서울)

비전 - 섬김과 나눔 (빛 갤러리, 서울)

2005 상생과 명상 (아티스트 갤러리, 일본 동경)

사람의 도시, 어울림 (고양어울림 미술관, 고양)

경계의 꽃 (숲 갤러리, 서울)

2004 5 Make-Up (조흥 갤러리, 서울)

4 Make-Up (갤러리 디프, 서울)

상생과 명상 (이공 갤러리, 대전)

국립고양미술스튜디오 개관전 (고양미술스튜디오 전시관, 고양)

2003 3 Make-Up (고도 갤러리, 서울. 스페이스 빔, 인천)

뉴 프론티어 (대구문예회관, 대구)

2002 교환 (김영미&박진호 2인전, 조성희 갤러리, 서울)

프린지 페스티발 (쌈지 스페이스, 서울)

2001 거실로 다가간 미술 (마이아트, 서울)

2001 고양 현대미술제 (호수공원 전시관, 일산)

2001 독립예술제 (쌈지 스페이스, 서울)

2000 다가가다 (서남미술전시관, 서울)

엿보기 (공화랑, 서울)

오감도 (이정희 갤러리, 서울)

1999 기념사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98 한국현대미술 신세대흐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서울사진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신체와 의식 (21세기 갤러리, 서울. 대구문예회관, 대구)

1997 2Make-Up (인데코 갤러리, 서울)

신체와 의식 (코닥 포토살롱, 서울)

강원대학교 교수 작품전 (공평아트센터, 서울)

1996 사진-새로운 시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Make-Up (관훈 갤러리, 서울)

정치 밖의 정치 (보다 갤러리, 서울)

1994 한국 사진의 수평전 - 세계의 눈 (공평아트센터, 서울)

1993 여름 설악전 (한마당 갤러리, 서울)

 

* 작품소장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6)

* 국립고양미술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2004-2005)

* 출간 : <춘천, 마음으로 찍은 풍경>(문학동네 간. 촬영담당. 200

 


인사동을 우리나라 미술시장 메카로 만들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참 많다.
‘통인가게’의 김완규씨, ‘아라아트’의 김명성씨, ‘아리수’의 김준영씨 등 갤러리를

운영하는 분들은 물론이고, 장경호씨를 비롯한 수많은 작가들과 기획자들이 머리를 맞대어 그 방법을 찾고 있다.

그 중 사진계의 한 사람으로는 단연 ‘갤러리 나우’ 이순심 관장을 꼽을 수 있다.

그는 대학에서 사진을 가리키다, 10년 전 인사동에 ‘나우’라는 이름의 사진전문 갤러리 문을 열었다.

교육자 경험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리뷰, 전시기획, 전시 카운슬링 등의 갤러리와 관련된 일도 열심이었지만,

사진의 대중화를 위한 노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척박한 사진 시장을 타개하려 “아트 나우”의 작가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도 꾸준히 운영 해왔다.

그리고 해외 아트 페어 참여로 한국 작가와 사진을 알리는데 주력해 우리나라 사진시장을 형성, 확장하는데도 기여했다.

그 중 사진 대중화를 위해 벌인 ‘한 방에 한 작품 (ONE ROOM onE PHOTO)’ 캠페인은

여러 언론매체에 소개되며 대중의 호응을 받기 시작했고, 기업체를 비롯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강의에서도

사진작품에 대한 해외의 위상 사례를 들며 사진이 대중화에 다가가는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그 공적을 인정받아, 오늘 시상되는 제2회 ‘수림사진문화상’의 공로상도 받게 되었다.


지난 13일 거리에서 손님 배웅하는 그녀를 만나, 차 한 잔 하자는 권유에 전시장으로 따라 들었다.

차를 마시며, 사진가들의 중구난방식 작품가 형성과 일반인들의 사진에 대한 오해를 물었더니,

팔리지도 않는 작품에 가격만 높여 놓은 게, 사진 대중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작가가 아무리 비싸게 불러도 소용없어요. 갤러리에서 거래된 가격이 기준이지요.

그리고 사진은 한 컷으로 수없이 프린트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았어요.”

그래서 판화처럼 작가마다 프린트 할 수 있는 에디션 넘버가 정해져 있다며 고객을 이해시킨다는 것이다.

 

아트마켓 확장을 위해 꾸준히 판로를 개척하며 인사동 미술시장 대중화 에 이바지하는

이순심관장의 수림사진공로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앞으로 더 큰 발전 있기를 바란다.

 

사진,/ 조문호




 




 

 

 

 

 

 

 

호주 노던 테리토리(Northern Territory)의 자연풍광과 삶을 담은 호주 아웃백 사진전 개막식이 지난 8월27일 오후6시 인사동 ‘갤러리 나우’에서 열렸다.

이 날 개막식에는 월리엄 패터슨 주한 호주대사를 비롯하여 사진가 한정식, 김광수, 조문호, 김가중, 이순심 관장 등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호주의 붉은 심장부 ‘노던 테리토리’ 지역의 자연과 삶을 담은 전시작 28점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작가 11명이 촬영한 작품들이다.

일명 호주의 붉은 중심부라고 불리는 ‘노던 테리토리’ 지역의 Outback과 그 지역에 거주하는 호주 원주민 문화는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다. 호주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역으로 험준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기존에 가졌던 호주에 대한 인상과는 달리 새로운 호주에 대한 탐험 심리를 불러일으킨다.

젊은 원주민 사진작가들이 삶의 환경을 세밀하고 진정성 있게 기록해, 그들의 문화와 삶의 모습에 한결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전시는 오는 9월2일까지 개최되오니 많은 관람 있기를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