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사진의 대부 김한용(92세)선생께서 하늘나라로 떠나셨다.
지난28일 숙환으로 운명하신 것이다.

1956년 문을 열어 반세기가 넘도록 함께해 온 ‘꿈의 공장’ ‘김한용사진연구소’도 문을 닫았다.
충무로 2가 52-3번지를 주소로 둔 그 꿈의 공장은 우리나라 광고사진의 요람이었다.
“안 놀고, 안 자고, 안 먹고, 안 쓰고, 사진에 투자하자”. “춥다. 덮다. 피곤하다. 바쁘다는 말도 하지말자”.
“남보다 세 배는 더 일하자”라는 억척스러운 각오로 일궈 낸 역사의 자리 아니던가?

70년 전, ‘국제보도연맹’ 기자로 역사적 현장들을 기록하며 시작한 사진과의 일생은 지난했다.
그러나, 한 평생 광고사진을 개척해 낸 선생의 위대한 업적만은  길이 남을 것이다.

28일 늦은 오후 무렵, 사진계 큰 별이 떨어졌다는 갑작스런 부음에 가슴이 미어졌다.
어차피 한 번은 가야할 길이고, 죽음 자체가 축복이라 생각하지만, 슬펐다.
술이 취한 상태였지만, 인사동의 작은 풀꽃 꺾어, 세브란스병원 영안실로 찾아갔다.

영안실은 상주인 사진가 김대수씨와 따님 두 분이 지키고 계셨다.
국화 속에 묻힌 선생의 영정사진에서 평소처럼 호탕한 웃음소리가 터져 나올 것만 같았다.
선생께서는 크리스찬이셨지만, 존경의 마음으로 큰 절을 올렸다.

빈소에는 모르는 분들이 더 많았다.
‘사진예술’을 끌어 왔던 사진가 김녕만씨와 그의 아내 윤세영씨가 있었고,
뒤늦게 한정식선생과 사진평론가 이영준, 광고사진가 박상훈씨가 모습을 드러냈다.

김녕만씨는 특유의 말솜씨로 지난 날의 일화를 들려주었다.
선생님의 작품을 팔아 드렸더니, 큰 소리로 '잠간만!' 하시면서 ‘사진예술’ 평생구독을 신청하셨던 일,
한정식선생께서 밥값을 내려니, '잠간만!' 하시면서 계산을 하셨던 일 등,

젊어 못 베푼 마음을 골고루 나누어 주셨다고 한다.

한정식선생께서는 마지막까지 새로움을 추구하는 열의도 보였다고 한다.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계속 찍기에 왜냐고 여쭈었더니,

초점이 정확해야 하는 광고사진의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란다.
이제, 오랜 세월동안 이루어 온 선생의 업적은 모두 역사가 되고 말았다.

“선생님! 그동안 고생하셨습니다. 이제 편히 영면 하십시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