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인경展 / SEOINKYUNG / 徐仁敬 / painting.photography 

2014_0528 ▶ 2014_0602

 

 

서인경_그럼에도 불구하고 7_유채_130×130cm_2014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20509h | 서인경展으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7:00pm

 

인사아트센터INSA ART CENTER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관훈동 188번지)Tel. +82.2.736.1020

www.insaartcenter.com

 

아름다움의 최상위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잔혹성, 가혹함, 비극 속에서 한 가닥 희망이라는 실마리를 보았을 때 숭고의 순간을 맛 보게 됩니다. 수도-롱기누스(Pseudo-Longinos), 칸트(Immanuel Kant), 쉴러(Friedrich von Schiller), 셸링(Friedrich W.J.Schelling) 등 숭고를 이야기 했던 이들의 언급 속에서 내가 숭고를 현대적으로 명료하게 정의해 본다면"헐!!!...(잠시후), 헉! " 입니다. 그것은 커다란 충격, 감각의 소용돌이, 몰입, 공포,잔인성, 가혹함...그속에서 피어나는 희망의 반전 그것이 "숭고"가 아닐까요? 반전이라는 임팩트(impact)는 의미론적이나 결과론적으로 숭고에 있어서 하나의 요소인 것 같습니다. 감정을 뒤흔드는 낭만주의와 희망적인 반전의 메시지가 혼합된 숭고. ● 저는 미의 최상위에 "숭고" 를 두고 싶습니다. 미에는 누구나 쉽게 공감하는 객관적인 미가 있고 , 소수의 특별한 미감으로만 느낄수 있는 극히 주관적인 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비록 겉은 아름답진 안지만 심연의 아름다움이 있는 숭고가 있을 것입니다. 미의 관점에서 숭고는 미의 범주 안에 들어가기에는 버거운 개념인 것 같습니다. 숭고의 개념을 품기에 미는 상대적으로 너무 얄팍하고 가벼운듯합니다. 그러하기에 저는 미의 최상위에 숭고를 두고자 하는 것입니다. 숭고를 형상화하는 것은 참으로 힘든 작업인 것 같습니다만...

서인경_그럼에도 불구하고 9_유채_91×117cm_2014

서인경_그럼에도 불구하고 14_유채_130×162cm_2014

 

서인경_그럼에도 불구하고 16_검프린트_75×56cm_2013

 

서인경_그럼에도 불구하고 41_유채_55×79cm_2013

 

제가 해석하는 숭고는 슬픈 아름다움입니다. 저는 나약하고 자그마한 잠자리 날개를 이미지로 숭고를 표현하였습니다. 날개가 모두 부서지고 찢겨진 잠자리...몸뚱이만이 덩그러니 놓여 있는  잠자리를 보고 있다가  떠오르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분들을 보고 있노라면 신의 가혹함을 느끼게 되더군요. 하지만 당당히 자신이 품은 의지대로 살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저는 그런 분들 앞에서 많이 부끄러워 졌습니다. 너무 작은 일에 좌절하고 작은 일에 화를 내고 작은 일에 포기해버렸던 지난 일들이 떠오릅니다. 세상 속에서 힘겹게 자신의 상황을 이겨내는...그럼에도 불구하고 멋지게 살아가는 분들을 위해...좌절과 역경을 헤쳐나가는 분들을 위하여『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번 전시를 준비하였습니다. 식상한 "그래서"가 아니라... 드라마틱한 그럼에도 불구하고를 위하여...'그럼에도 불구하고 '가 있기에... 세상은 아직 살아갈 의미가 있는듯합니다. ■ 서인경

정일영 '평범한 풍경' 展



전시명: 정일영 평범한 풍경 展
일정: 2014. 06. 04 (수)~ 2014. 06. 29 (일)
Opening : 2014. 06. 04 (수) 05:00 pm
장소: 통인 옥션 갤러리 5F (문의: 02-733-4867)
개관시간: 10:30 am ~ 06:30 pm

 

 

 

전시명: Masamich Yoshikawa 도예 展
일정: 2014. 06. 04 (수)~ 2014. 06. 17 (화)
장소: 통인 빌딩 통인 갤러리 B1
개관시간: 10:30 am ~ 06:30 pm

(문의: 02-733-4867)  

 

사진작품 2점 ‘소녀’와 ‘파도’

국립 호찌민대학교와 하노이미술대학교에서 회화(옻칠화)를 전공한 정유미 작가가 28일부터 6월2일까지 서울 인사동 가나아트스페이스에서 개인전을 연다.

옻칠전문화가로 2년전 첫 개인전을 연 바 있는 정 작가는 이번 전시회에서 2년간 작업해온 옻칠화 40여점을 선보인다.

베트남선교사로 10여년 이상 활동한 정 작가는 선교사역을 하는 가운데 10여년간 옻칠화를 배워왔다,

한국에선 다소 생소한 옻칠화는 보통 목판 위에 천을 씌우고 황토칠을 한 후 다시 옻칠을 하는 것으로 여러 단계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투명한 갈색의 옻액과 안료를 섞어 그리며, 강조해야 할 부분에는 조개껍질이나 계란껍질, 금, 은가루를 사용하기도 한다.

호찌민미술대학에서 학사과정을 공부하면서 베트남의 옻칠화 역사가 오래되고 예술적인 깊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 전공하게 됐다는 정 작가는 “베트남에서는 이를 ‘선마이’(son mai)라고 부르며 래커페인팅 정도로 여기기도 하지만 많은 손길을 거치는 가운데 훌륭한 예술작품으로 탄생된다”고 소개했다.

정 작가는 “옻칠화를 일부 공예로 인식하는 부분이 있지만 일반 유화를 넘어 독특한 부분까지 터치할 수 있다”며 “안료를 섞은 옻칠을 한 후 건조를 기다렸다가 여러 차례 사포질을 함으로써 평면이면서도 여러 겹이 드러나는 느낌을 주게 된다”고 말했다.

“신비로운
천연재료가 주는 느낌이 내게는 창조주께서 주시는 구체적 사랑의 본질을 생각하게 만들었어요. 위장된 행복이 아닌 어떠한 상황에서도 공감될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작업을 했습니다.”

정 선교사는 서양화가이면서 한국미술인선교회를 창립한 정재규(서울 대석교회) 목사의 딸이다. 28일
오후 5시에 개막에배를 드리며 내달 2일까지 전시가 이어진다(02-734-1333).

[스크랩 / 국민일보]

극사실주의 화법과 다른 그만의 독창적 기법으로 세계적인 주목
김기철의 '우리 궁궐'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6월2일까지 열려..


 

 "오랜 세월동안 한 자리에 있으면서 흐르는 시간 속에 오고 가는 사람들의 삶, 그 기쁨과 슬픔, 영광과 오욕의 순간들을 지켜본 궁궐은 우리들에게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는 어떤 의미를 던져준다." 서양화가 김기철은 자신이 '궁’을 소재로 그리는 이유와 이번 전시에 대해 밝게 웃으며 이야기 한다.

한국전통의 아름다움의 집합체인 '궁(宮)'을 실제 사진보다 더 정교하고 작가가 받은 느낌 그대로 캔버스에 창조하는 화가 김기철 개인전이 오는 2014년 5월 28일(수) 부터 6월 2일(월) 까지 인사동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개최된다.

 

                       

▲    김기철 제13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우리궁궐' 중화전

  전시 개요
   전시명" 김기철 제13회 개인전 '우리 궁궐'
   전시장소: 가나인사아트센터
   전시일정 : 2014년 5월 28일(수) 부터 6월 2일(월) 까지
   관람시간 : 아침 09:00 ~ 저녁 7시 까지
   주소 :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
   전화 :  02 - 736 - 1020

작가는 그리는 대상을 탁월한 시각적 분석력으로 분해하여 캔버스에 완벽에 가깝게 표현하면서도 대상이 지녔을 슬픔과 기쁨, 영광과 오욕의 순간을 놓치지 않고 , 정확한 색과 정교한 붓터치 과정을 거쳐 사진을 재현한 차원의 그림을 넘어선 그만의 독창한 작품수법으로 화폭에 한 땀 한 땀 정성껏 빚어낸다.

 

▲    김기철 제13회 개인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우리궁궐'

그의 그림 작업은 캔버스에 밑칠을 하면서 시작된다. 자신이 원하는 바탕의 밑칠이 나올 때 까지 수 십 번 계속 반복되는 그의 작업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수도자의 길을 생각나게 한다. 그는 작품의 기초인 밑바탕 칠에 어느 화가보다 공을 들인다.

그가 이렇게 밖으로 잘 보이지 않는 밑칠까지도 공을 들이고 중요시 여기는 이유는 자신이 그리는 사물이 '궁'이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궁'은 예전에, 임금이나 대군, 왕자군, 공주, 옹주 등의 왕족이 거처하는 집을 이르던 말로써 민족의 흥망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겉으로 드러난 건축물로서의 '궁'이 아닌 오욕칠정을 담고 세월과 역사까지 오롯이 담고 있는 '궁'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법으로 캔버스에 그려내기 때문에 수 십번의 밑칠 작업을 마다하지 않는다.
 
 

▲  김기철 제13회 개인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우리궁궐'


 

지천명(知天命)을 넘어서 수 십 번 공 들인 밑색이 칠해진 캔버스 앞에 확대경과 자신이 손수 특수 제작한 가는 붓을 잡고 캔버스 앞에서 힘차게 한올한올 구슬 꿰듯 붓을 놀리는 작가의 정성은 오롯이 작품 속에 투영되어 그만이 창조한 작품세계를 빛내준다. 

 

 

▲    김기철 제13회 개인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우리궁궐'  대한문


 

작가의 독창적인 작품세계에 대해 미술평론가 진 교수는 이렇게 해석한다. "표현적인 이미지와 전통의 가치를 동시에 가져가는 그의 작품은 화폭에 돋보기를 사용하여 부분을 확대하여 작가가 만든 얇디얇은 붓으로 한올 한올 돌에 생기를 불어 넣습니다. 이렇게 작품 하나를 완성시키는데도 정말 많은 시간과 공을 들이는데요. 김기철 작가의 작품은 궁궐의 벽선 한 가닥 한 가닥까지 섬세한 터치로 질감을 표현해내는데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살아있는 듯한 경복궁의 모습과 우리궁궐의 모습을 아주 정교하게 독창적인 그림으로 담아냈습니다. 사실적인 재현을 넘어선 그 자신만의 조형적인 질서부여에 한국을 넘어선 세계적인 작가로 주목할 이유가 있습니다."

 

 

▲  김기철 제13회 개인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우리궁궐'


서서울예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대학원 출신의 서양화가 김기철의 이번 전시는 오는 2014년 5월 28일(수) 부터 6월 2일(월) 까지 인사동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개최된다

 

 

[시사코리아=권종민 기자] lullu@sisakorea.kr

양지운 도자 展

TONG-IN INVITATION




5월27일부터 6월 3일 까지 통인화랑에서 양지운 도자 전시가 열린다. 한국 전통의 연리문기법과 상감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응용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색의 흐름을 표현하고 자연스럽게 생기는 흙의 결에 금을 채워 깎아내는 금 상감을 한다. 또한 표면을 연마 하여 부드러운 감촉과 은은한 빛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채롭고 아름다운 색감이주는 시각적 즐거움, 식기 위에 놓일 음식의 다양한 맛과 향을 상상하는 미각과 후각의 즐거움, 부드러운 표면에서 느낄 수 있는 촉각의 즐거움, 고온에서 자화된 맑은 도자기의 소리에서 느낄 수 있는 청각의 즐거움까지. 리빙 오브제와 식기에 입혀진 오감(五感)을 느낄 수 있는 전시가 될 것 이다.

<전시일정 & 전시장소>
2014. 5.28 (수)– 2014.6.3(화)
110-300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32 통인빌딩 통인화랑 (B1)

Sponsored by
The Store from TONG-IN
TONG-IN International Moving
TONG-IN Safe Warehouse Company

 

 
김규헌 화가  

 

  (디지털조선/최선영 기자 = digitalhe@chosun.com)

 

가장 한국적인 그림 민화. 민화의 가치는 높지만 국내에 존재하는 민화들은 모조품이 많다. 전통을 계승하기만 한다면 모방에서 끝이 나고 만다. 예술은 창작이 앞서야 한다. 누구보다 이러한 창작의 가치 그리고 우리의 것을 강조하는 화가가 있다. 바로 김규헌 화가다. 오는 28일부터 전시회를 앞두고 한창 바쁜 그를 여의도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림에 눈을 뜨다

우연히 선배를 통해 절에 간 적이 있다. 그는 그때 ‘탱화’를 처음 접하게 되면서 불교 미술의 다양한 건축과 색깔 그리고 선에 빠져들게 된다. 현재 김 화가는 오방색을 주로 다룬다. 오방색이라 하면 적색, 흑색, 백색, 황색, 청색을 말한다. “오방색을 촌스럽게 여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오방색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색깔이며 정신이다. 특히 적색은 민간에서 액운을 방지하며 행운과 평안을 뜻한다.”

처음 그림과의 인연은 고등학교 2학년 때, 고흐의 그림을 접하면서 시작되었다. 단번에 그를 매료시켰고, 이후 ‘까미유 피사로’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그림을 독학으로 배웠다는 그. “친구 따라 화실을 가게 되면서 선생님께 어깨 너머로 그림을 배웠다. 당시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았기에 화실 청소를 하면서 그림을 배웠다. 지금 생각해도 정말 열심히 그렸던 것 같다. 화실 안에 있는 연필과 종이냄새, 물감냄새 하나하나가 다 좋았다”. 이렇게 그림은 운명처럼 다가왔다.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이 있기까지

어릴 때부터 몸이 약했던 그는 자주 잔병치레를 했다. 더욱이 그림을 그리면서 불규칙한 생활이 반복되고 스트레스를 술로 달래다 보니 건강이 점점 악화되었다. “당뇨가 심해지면서 합병증까지 가세해 그림을 쉴 수 밖에 없었다. 자그마치 십 년이다.” 하지만 그는 끝가지 붓을 놓을 수 없었다. 오히려 그의 작품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기운이 전달되길 바랐다.

김 화가는 병마와 싸우면서 민화에서 십장생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십장생의 의미가 무병장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작품 속 십장생은 기존의 십장생과 차별화된다. “기존의 십장생은 전형적인 틀에 박힌 형태인 데 비해, 내 작품은 현대 회화기법으로 그린다.” 즉, 서양화 재료인 유화 물감으로 토속적이고 해학적인 우리 민족의 정서를 담아내는 독특한 우리식의 서양화인 셈이다.


열한 번째 개인전, 우리 전통의 멋

이번 개인전은 화가 김규헌만의 색깔과 가치관을 내포하고 있다. 주제는 우리 전통의 해학적인 멋을 현대적 감각으로 되살리는 데 있다. 현대사회는 점점 우리의 것은 등한시하고, 서양의 것이 최고인 마냥 무분별하게 서구화되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우리 민화에는 해학이 살아있다. 고통이 아닌 즐거움, 분노와 절망보다는 사랑과 희망을 담아 우리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



▲ 십장생


평소 그는 영감을 보이지 않는 공기 속, 텅 빈 공간 속에서 얻는다. “물론 형태를 보고도 영감을 얻지만, 정해져 있기보다 순간 순간 얻는다. 이번 전시회도 그러한 과정을 통해 표현되었다.” 아무리 그림을 잘 그려도 철학이 없으면 아마추어다. 자신만의 뚜렷한 가치관을 담아 창작을 해야 ‘프로’인 것이다. 나만의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김 화가. 그러한 면에서 본다면 그는 프로다.

그림 그린 것을 후회한 적이 없다는 그. 하지만 건강이 나빠져 작업을 못할까 내심 걱정한다. 그에게 그림은 전부이고 삶 그 자체다. 생을 마감하는 그날까지 그는 그림과 함께 할 것이다.

전시회는 오는 28일부터 6월 10일까지 14일간 열리며, 장소는 서울 인사동 ‘미술세계 갤러리’ 5층이다. 우리 전통의 멋을 소재로 한 김규헌의 독특한 작품세계가 기대된다.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전시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화가 김기철의 '우리궁궐'  (0) 2014.05.26
양지운 도자 展  (0) 2014.05.23
민은주 한지조형展  (0) 2014.05.22
김판삼展 '못난이 미학'  (0) 2014.05.22
염수민展 '꽃을 담은 버선'  (0) 2014.05.22

민은주展 / MINEUNJU / 閔銀珠 / sculpture 

 

2014_0521 ▶ 2014_0526

 

 

민은주_기와 (봄소식)_기와에 한지, 금_38×30×10cm_2014

 

초대일시 / 2014_0521_수요일_05:00pm

 

민은주 한지조형展

KOREAN PAPER MODELING EXHIBITION

 

관람시간 / 10:00am~07:00pm

 

가나아트 스페이스GANA ART SPACE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6(관훈동 119번지) 1층Tel. +82.2.734.1333

www.ganaartspace.com

 

한지조형가인『민은주 한지조형전』이 2014년 5월 21일부터 5월 26일 까지 관훈동 가나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다. 민은주는 기존의 한지공예와는 확연한 차이를 가지고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는 작가로 대형의 한지로 만든 가구가 특히 눈길을 끌고 있다. 더구나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완전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수천, 수 만 번의 칼질로 만들어진 작품은 천천히 느리게 가는 것이 우리의 삶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하는지 스스로 뒤돌아보게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지공예라 하면 어디서나 볼 수 있고, 누구나 익히면 할 수 있는 기능이라 생각하지만 민은주 작가의 작업은 쉽게 다가설 수 없는 시간과, 본인의 의지와 기법, 그리고 전통의 명맥을 이어가는 정통성에 그 차별화가 있다 하겠다. ●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조형을 시작하기 전의 밑 작업으로 작품의 뼈대인 백골을 만드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백골과 백동 장석, 과정 중에 필요한 옻칠이나 자개 등은 전통공예 명인들로부터 비롯되었으며 작가는 그 위에 한지를 덧입히는 과정을 통해 조형을 완성하고 있다. 특히 작가의 작업은 한지 한 장을 사용하지 않고 겹치고 또 겹치는 레이어드 기법을 이용하여 판화나, 판각을 하는 기법으로 전통적인 문양을 조각칼로 조형을 해내, 사람들로 하여금 탄성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민은주_다반 (홍차 같은 시간)_나무백골에 한지, 금_64×36×10cm_2011_부분

 

 

민은주_의걸이장 (그대와 나는 한 몸)_나무백골에 한지, 금_187×85×49cm_2004

 

민은주_이층책장 (희망의 날들)_나무백골에 자개, 옻채색, 한지, 옻칠_116×117×46cm_2009

 

 

민은주_직동고리 (평화로운 마음)_종이백골에 한지, 금_18×36×29cm_2013

 

재료에 있어 다양성도 꾀했다. 한지뿐이 아니라 금박이나 옻칠, 자개의 사용, 백동의 장석 등은 한지와의 어울림으로 오묘한 우아함과 현대적인 감성마저도 나타나게 하며, 한지조형이 과거의 유형 유산으로 모던한 감각이 없는 것이 아님을 일깨워준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들은 3m가 넘는 대형작품들과 소품을 포함해 20여 점으로 한 점 한 점이 각각의 특별화 된 차별성으로 전통을 느낄 수 있으며 소장하고 싶은 마음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 ● 민은주 작가는 대학에서 조소를 전공 했으며 20여 년이 넘은 시간동안 한지에 천착해 왔다. 광주시 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그 외 다수의 수상경력과 함께 전라남도와 광주시 미술대전의 초대작가이자 대한민국 미술대전의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 범현이

 

Vol.20140520b | 민은주展 / MINEUNJU / 閔銀珠 / sculptur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