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담은 버선

염수민展 / YEOMSOOMIN / 廉修珉 / painting 

2014_0521 ▶ 2014_0526

염수민_꽃을 담은 버선_광목에 채색, 바느질_55×28cm_2013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7:00pm

 

 

인사아트센터INSA ART CENTER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관훈동 188번지)Tel. +82.2.736.1020

www.insaartcenter.com

 

 

어머니에게 전하는 나의 편지버선의 발견 작가 염수민은 어느 날, 늘 자신을 따라다니던 버선을 발견하게 된다. 자신의 어머니에게서 옷장에 간직하라 받았던 버선을 만지면서 그녀의 의문과 작업은 시작된다. 알아보니 그 버선의 사연은 "상청"에 쓰였던 천을 버리지 않고 버선을 만들어 시집가던 딸에게 대대로 주었던 오래된 것이었다. 천에 복을 실어 시집가는 딸에게 담은 엄마의 마음과 메시지가 담겨 있던 것을 이제사 알게 되고 발견한 것이 작가에겐 퍽이나 사무친다. ● 작가의 어머니가 받은 버선이 열개, 작가에게 남은 것이 세 개다. 이사 때마다 장롱에 묻어 두었던 그 버선이 작품의 모티브가 되고 작품으로 활용하는 것은 그녀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걸까. 실제 작가는 어머니에게서 받은 버선을 작품으로 활용하여 갤러리 전면에 걸어놓게 된다. 이를 형상화하고 새로운 버선작업을 하는 동안 작가는 엄마의 인생을 돌아보게 되는 시간성을 경험하게 된다. 끝없는 희생과 수용으로 수놓아진 어머니의 삶과 마주하게 되고 형상화과정을 통해 그녀 자신도 그러한 어머니를 닮아 있다는 진실을 대면하게 된 것이다. 이로서 버선은 장롱 밑에 '정지된 어머니의 삶과 역사'에서 그녀의 손길을 통해 '현재의 내가 있는 시간'으로 이동하여 작품으로 구현되기 시작하였다. 작가의 시대로 옮겨놓는 과정에서 버선은 구복을 담은 부적의 기능에서 작가의 노래로 표현되는 변주곡이 된다. 동시에 버선은 엄마와 나를 연결하는 매개이며 '어머니의 사랑과 끈'이라는 의미에 다다르게 되었다.

염수민_버선꽃Ⅰ_장지에 채색_63×63cm_2013

염수민_꽃을 담은 버선Ⅱ_장지에 채색_55×28cm_2013

염수민_타래버선_장지에 채색_90×64cm_2013

 

 

'변모'와 '항상성'의 중의적 과정 ● 이 과정을 찬찬히 살펴보면, 작가의 버선은 어머니의 그것과 사뭇 다르다. 우리네 역사 속에서 자리매김한 여성의 위치를 현재로 가져오면서 하얀 버선에는 아름다운 무늬가 그려지고 사뭇 화려한 색도 입었다. 흰색은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색이지만 작가는 채색을 통해 자신의 드러내고, 예술가의 손길로서 바느질을 통해 새롭게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 작가 또한 딸이 있는 엄마로서 이제 딸을 위해 새 버선을 만들 나이가 된 것일까. 아기만을 위해 따로 제작한 누빔 버선을 펼쳐 보이는 방식은 작가만의 양육 방법이 엿보인다. 버선을 '펼쳐 보이는' 창의적인 방식은 오늘날 여성이 자기목소리를 내는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여기서 버선은 '신는 것'에서 '보여주는' 형태의 변형을 가져다주고 전개도로 회귀하는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게 된다. ● 과거 우리의 어머니들이 그저 삶을 살아내면서 존재했고 가족의 그릇으로 기능을 했다면 작가는 이제 움직이는 여성으로서 새로운 세대를 살고 있으며 다음 세대를 살아갈 딸에게 아름다운 버선을 선물하는 어머니이자 여성인 것이다. 새로 만드는 버선은 수를 놓듯이 반복하여 매듭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자신에게, 이모에게, 그리고 어머니와 할머니에게 전해졌던 버선을 붓으로 뜨개질하면서 연결하는 역사의 고증과도 같다. 실제 작가는 바느질을 하기도 하는데 버선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선택한 종이와 천을 어머니가 했던 바느질로 재조명하고 있다. 결국 버선을 '화병'으로 삼고 버선속의 응어리를 물로 삼아 핀 '아름다운 꽃'은 작가가 살려 내고픈 우리네 엄마의 인생이자 작가의 내면의 아름다움이다. 그래서 그 아름다운 꽃은 곱디 고운 진달래에서 부귀장수를 기원했던 모란으로 확장된다.

염수민_어머니의 버선_화선지에 채색_90×64cm_2014

염수민_버선한죽Ⅱ_장지에 채색_117×73cm_2013

염수민_버선한죽Ⅰ_장지에 채색_117×73cm_2013

 

치유의 바느질 ● 붓으로 하는 바느질은 자연스럽게 조각보로 이행한다. 조각보 또한 외할머니가 엄마에게 주신 유물이다. 정성스럽게 할머니가 했던 바느질은 그 자체로 치성을 드리는 구복의 행위였다. 그렇게 한 조각, 한 조각 이으면서 이 마음, 저 마음을 잇는 연결성은 조각난 내 마음을 잇는 치유의 행위일 수 있다. 이 방법은 작가에게 새로운 길을 터주는 창의적 모티브가 된다. 평면에서 버선과 조각보를 탐독하던 것에서 종이를 염색하고 바느질로 연결하면서 새로운 버선과 조각보를 만드는데 이르게 되었다. 재미있게 구성한 놀이적 방식이 돋보이는 이 작업들은 작가 자신의 인생의 퍼즐을 맞춘다는 느낌도 든다. 그래서 염수민의 작품들은 전체가 씨줄 날줄 엮이듯 각 각의 작품이 하나의 연결된 조각보일 수 있으며 작품제작과정은 작가의 바느질 행위로 은유될 수 있다. ● 이 쯤 되니 열 개의 버선과 할머니의 조각보가 작가의 손을 통해 재현되고 새롭게 탄생되는 동안 잃어 버려서는 안 되는 것들이 그 본질을 드러난다. 딸(작가)의 세상과 그 딸의 세상은 변화되었으나 그 시간 속에 놓지 말고 부여잡아야 할 모성이 그것이다. 그 원형은 변화되지 않고 무엇에 의해서 변화될 수도 없는 것으로 우리가 온 '장소'이고 기대던 '품'이다. 그렇기에 어머니의 어제와 오늘의 다리가 된 엄마로서 염수민 작가의 손길이 소중하다. 이 이야기가 우리 모두의 어머니의 이야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염수민 작가의 전시는 어머니의 재발견이자, 곧 자신의 삶의 발견이며, 발과 같이 아래에 있다가 전면으로 자신을 보여주는 삶의 의지가 된다. 우리네 어머니가 그랬듯, 당면한 삶에 대한 수선질을 잊지 않고 재현하는 작가를 통해 우리는 근저에 존재하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보담아 주는 어머니를 만나는 치유의 시간으로 여행할 수 있다. ■ 길은영

       염수민_버선꽃Ⅱ_장지에 채색_63×63cm_2013

염수민_바늘꽃_화선지에 채색_35×37cm_2014

 

My Letter to (My) MotherA Discovery of Beoseon one day, an artist Yeom Sumin found Beoseon, which have always been followed her. While she was touching the Beoseon that she was given from her mother to keep them in the closet, her question was raised and her art work begun. It transpired that there was a story behind the Beoseon The Beoseon were very old and were made out of fabrics that were left over after they were used for "Sangcheong(Korean traditional ancestral rite)", to be handed down from mother to daughter when mother give her daughter in marriage. It was deeply pierced her heart when the artist realized and discovered her mother's heart and messages behind the Beoseon, which her mother made with an intention for them to carrying a luck for her daughter. The numbers of Beoseon that were given to her mother was ten, and what are left in hands of the artist are three. What could be a meaning of letting these Beoseon be a motif and be a part of art work after they were buried deep in the closet every time she moves from places to places? ● Actually, the artist applied the Beoseon, given from her mother, to her artwork and puts them all over the gallery. While she embodies her thoughts and works on a new Beoseon, she experiences Zeitlchkeit of looking back upon her mother's life. As the artist comes to facing a life of her mother that was embroidered with an endless sacrifice and embracement, and as she embodies them into her work, she realizes a truth that the artist herself is closely resembles her mother. Now, through the artist's hands the Beoseon, which was 'a ceased life and a history of mother' buried under the closet, moves into 'the present time of where I belong' and they are starting to form themselves as an artwork. As they move into the present time, the Beoseon change their function from 'a charm containing luck' to 'a musical variation expressing the artist's tune'. Also, the Beoseon functions as a medium between mother and the aritst and they reaches into a meaning of 'Mother's love and string'. ● Ambiguous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Constancy' If you look into the process closely, the artist's Beoseon is quite different from her mother's. In the process of bringing a settled position of women from our history into the present, a white Beoseon is getting dressed with a beautiful decoration and an evident glamorous color. A color 'white' is the color that is given from the mother, however, the artist is expressing herself through the coloringand the sewing as a touch of an artist and thusreproducing the Beoseon with a transformation. ● Maybe it is now the time that the artist should make her daughter a new Beoseon, as the artist herself is a mother now. A way of spreading a quilted Beoseon that is specifically made for a baby shows the artist's parenting style. The creative way of 'spreading' the Beoseon can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how a woman in today having her voice and being dominant as well as being active. Here, the artist gave a shape transformation to the Beoseon and changed them to a something 'displayable' from a something 'wearable'. And thus they are now having a dual meaning by returning themselves into a planar figure. ● In the past, if our mothers existed by just living on their lives and functioned as a bowl that is containing whole family, today, the artist is living in a new generation as an active woman. Also, the artistis both a mother and a woman who prepares herself to present a beautiful Beoseon to her daughter who will lives on in the next generation. ● Creating a new Beoseonby knitting them with a brush is like a studying history; the history of Beoseon, which descended to the artist, to aunt, and to her mother and her grandmother through their repeated actions of drawing knots as if they are embroider. The artist did actual needlework, which wasn't done to make the Beoseon, but to shed a new light on the papers and the fabrics of her choice through the way her mother did sewing. In the end, the artist transformed the Beoseon into a 'vase', and used sorrow dwelled in the Beoseon as water, she grew 'beautiful flowers'. And these flowers represent our mother's life and the artist's inner beauty that the artist wants to revive. Therefore, this beautiful flower expands itself from a pretty azalea to a peony that is used for wishing a wealth and longevity. ● Needlework of Cure A sewing with a brush naturally carries through on patchwork. Patchwork is another relic descended to mother from grandmother. The grandmother's sincere act of sewing indeed was an act of living itself. one by one, she put broken pieces of her heart together as she connected different patches together with sewing.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act of cure. Also, it becomes a motif that opens a new way to the artist. From studying the Beoseon and the patchwork in a plan view, she started to dye papers and connected them with sewing and thus created new Beoseon and new patchwork. These vividly playful waysof works give an impression that the artist is trying to put the puzzles of her life together. Consequently, the entire works of YEOM SUMIN can be seen as a patchwork of putting different pieces of art works in away that latitude and longitude are intertwine. And an act of sewing can be used as a metaphor for the entire process of her works. ● While the ten Beoseons and grandmother's patchwork are getting revived and reborn through a hand of the artist, the things that are not supposed to be missing reveal their quiddity. The world of the daughter-the artist has changed and the world of the artist's daughter will be changed, but maternal love is something that we should cling onto in these passages of time. It issomething that does not change and is something that cannot be changed. It is the 'place'where we came from and it is the 'arm' where we leaned on. This is why a touch of a YEOM SUMIN, a mother and an artist, is so precious. This is a story of our mothers. YEOM SUMIN's works are a rediscovery of mother, a discovery of one's life, and a will to survive – just like a foot, stayed low but shows itself in front through her works. ● Through the artist who does not forget to mend a life in fronts of her – just like our mothers, we could travel into the times of healing to meet mother who stays close to us and holds us every time she gets a chance to do so. ■ Gil Eunyoung

 

Vol.20140522g | 염수민展 / YEOMSOOMIN / 廉修珉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