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찬 전시장’을 주 무대로 석달 동안 열 네 차례에 걸쳐 다양한 현장미술을 펼쳐 촛불시민들과 함께했다,

자유롭게 벌인 미술 놀이판은 시민들과 쉽게 가까워 질 수 있었고,

이러한 미술과 대중의 소통으로 미술본연의 일상성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은 게 성과라면 성과다.

마지막 전시였던 ‘촛불역사’전 역시 지난날의 모습을 돌아 볼 수 있는 현장사진들이라 시민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제 박근혜 파면과 함께 ‘광화문미술행동‘의 모든 작가들이 제 자리로 돌아가게 되었다.
사진가들과 화가 ,시인, 시민들의 사진으로 마련된 ’촛불역사‘전이 ’광화문미술행동‘의 마지막을 장식하게 된 것이다.

전시가 끝나는 날은 박근혜가 검찰 조사받는 날이라 곧바로 구속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했다.

그러나 검찰은 미적거리는 것 같았고, 다들 대선에만 꽂혀 개혁이나 적폐청산은 뒤로 밀려나고 있다.

그렇지만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 이상 물길을 되돌릴 수 없을 것이다.

지난 21일 정오 무렵 전시를 철수하기 위해 미술행동 팀들이 ‘궁핍현대미술광장’ 전시장으로 모여들었다.

김준권대장을 비롯하여 류연복, 김남선, 김영배, 이광군, 김명지, 정덕수, 김가영씨,

그리고 참여사진가로는 이정환, 양시영, 곽명우, 홍윤하, 하형우, 정영신씨가 나왔다.

기념사진을 찍고 곧바로 전시를 철수했는데, 한마디로 시원섭섭했다.

다들 점심식사를 해야 하는데, 김준권씨가 광화문 음식에 질렸는지 인사동으로 가자고 했다.

‘툇마루’에 가서 된장비빔밥을 먹기로 했으나, 자리가 없어 한 참을 기다렸다.

그 자리에 사진가 이정환씨가 집에서 담근 매실주를 한 병을 갖고 나오셨다.

불편한 몸으로 무거운 술을 챙겨온 성의가 고마워 쪼록 쪼록 마시다보니, 그만 낯 술에 취해버린 것이다.

그동안 수고하셨다는 인사조차 드리지 못한 채, 횡설수설하며 이곳저곳 전시장을 돌아다녔는데,

낯 술에 취하면 지애비도 못 알아본다는 옛말이 맞긴 맞았다.

아무튼 주책 떨어 죄송하고요, 그동안 다들 고생하셨습니다.
그 고생이 결코 헛되지 않으리라 믿습니다.

사진, 글/ 조문호























































많은 시민들의 호응 속에 열리는 ‘촛불역사’전이 이제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아쉽지만 오늘 정오에 막을 내리게 된다.
그동안 전시장을 지키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대해 준 사진가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곽명우씨의 헌신적이었던 노력은 물론,

몸이 아파 진통제까지 먹어가며 전시장을 지켜준 이정환씨께는 미안한 마음 감출 수 없다.

일요일인 19일에는 박영환씨가 아침 일찍 나와 전 과정을 중계방송 하듯 알려 주며,

도시락까지 싸와서는 온 종일 지켜주는 열성을 보였다.

전시가 끝난 후 박영환, 곽명우씨와 ‘황금도야지’에서 저녁식사를 함께하며 미안한 마음 달랬다.

그 이틀 날은 너무 늦게나가 이정환씨 대신 하형우씨와 함께 저녁식사를 했다.

그동안 틈틈이 나와 교대해 준 하형우씨도 고생 많이 하셨다.


이 날은 ‘광화문 광장’ 지킴이 화가 이윤엽씨도 만났고, ‘민미협‘회장 이인철씨도 전시장을 찾아 주었다.
’광화문미술행동’ 김준권대장과 함께 인사동 '툇마루‘에서 식사하고, ’비밀정원‘에서 차 마시고, ’유목민‘에서 대포도 한 잔 했다.
뒤늦게 합류한 장경호씨와 함께, 서둘러 제작하게 될 자료집 제작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오늘 정오에 철수하며 함께한 분들과 자리를 같이 할 예정이니, 시간 있는 분들은 참석해 주길 바란다.

그동안 고생 많이 하셨다.


사진,글 / 조문호
































 

'촛불역사'전에 추가한 사진이 많으니 한 번 봐달라는 정영신씨의 문자메시지가 왔다.

모처럼 광화문광장으로 나가보니, 그 뜨거웠던 열기는 오간데없고,

최병수씨의 설치작품들이 늘린 텐트촌 분위기는 썰렁하기 그지없었다.


관객 몇 명을 앉히고 손병희씨가 노래부르고 있었고, 최병수씨는 또 뭘 만들려는지 자재를 반입하고 있었다.

송경동 촌장이나 신유아씨 등 그 곳에서 일하는 분들은 여전했고, 광장극장에서는 철거를 앞둔 쫑파티가 열리고 있었다.

이해성 극장장이나 춤꾼 장순향 교수의 모습도 보였다.



 


궁핍현대미술광장앞에는 곽명우씨와 정영신씨가 서 있었다. 광장에 사람이 얼마 없었지만,

나온 사람 대부분이 전시장을 찾으니 일반 전시장보다는 관객이 많은 편이었다.


벽에 걸린 사진들을 돌아보니, 너무 많이 걸려 답답해 보였다.

그러나 힘들게 만들어 온 곽명우씨의 성의를 무시할 수도 없지만, 어디부터 손을 대야할지 엄두가 나지 않았다.

좀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한 장이라도 더 보여주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에 그냥 넘어가자고 했다.



 


광화문미술행동의 마지막 전시인 '촛불역사'전은 정영신씨가 맡았으나, 좀 더 치밀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 했다.

촛불집회에서 만난 사진가들의 작품을 모았으나급하게 추진된 일이라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어떤 분 사진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내 와 들죽 날죽 했다.

정영신씨는 작은 전시장이지만, 촛불집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메인 전시장은 기존 사진가들이 보내 온 기록으로 채우고,

그 옆엔 광화문미술행동'의 기록과 함께 촛불시민이 찍은 사진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급히 SNS에 올려 다양한 사진을 모았는데, 화가 김진하, 이재민씨의 사진을 받기도 하고

시인 정덕수, 김명지씨 등 시인들을 비롯한 일반인들의 사진을 모았다.

광장에서 노숙하는 정덕수시인은 뜨거운 현장의 열기대신, 그 이면 생활상을 보여 주었




 
그러나 촛불시민들이 보내 온 사진은 핸드폰사진이라 크게 뽑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작은 규격의 사진을 200여장 뽑았던 것이다.

전시장이 작으니 오밀 조밀 재미있겠다 싶었으나, 막상 DP를 해보니  허전했다.


열림식을 치룬 뒤, 몇 장만 다시 크게 뽑기 위해 조율하는 과정에서 사진계 마당발 곽명우씨가 나선 것이다.

곽명우씨는 규격을 바꾸는 사진에 한정하지 않고, 더 다양한 사진들을 보여주고 싶어 

자신의 파일에서 이런 저런 사진들을 골라 내 프린트 업체에 맡겼다고 한다.

 

그 이틀 날 사진을 찾아와 곽명우씨와 빈자리를 채웠으나, 사진이 너무 많았던 모양이다.

좀 남기고 싶었으나, 빈 틈 없이 다 채워 버려 전시장이 답답해 보인 것이다





사진가의 주관이 개입된 사진도 중요하지만, 보이는 대로 찍은 순수한 사진이 대중에게 더 친숙하겠다며 자위했다.


집회 현장의 텐트전시장이니 만큼, 전시 분위기나 작품성보다 그 날의 현장을 돌아보며

촛불시민으로서의 보람을 되 세기길 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자신의 모습이나 반가운 분들의 모습도 만날 수 있으니, 책 보듯 한 장 한 장 살펴보는 재미를 느끼시기 바란다.

    

사진, / 조문호





















 

   







박근혜 파면에 따라 ‘광화문미술행동’이 해산하며 보여주는 마무리 기획전 ‘촛불역사’전이

지난14일 오후4시 광화문광장 ‘궁핍현대미술광장’에서 개막되었다.

그동안 광화문광장의 시민혁명을 기록해 온 다큐사진가들과 시인, 화가, 춤꾼을 비롯한

촛불시민들의 생생한 기록들을 한 자리에 모은 것이다. 





그 날 개막식에는 백기완선생을 비롯하여 김준권(광화문미술행동 대표), 송경민(광화문캠핑촌 촌장),

신유아(궁핍현대미술관장), 화가 신학철, 장경호, 류연복, 김진하, 이윤엽, 김 구, 박불똥씨,

시인 정덕수, 양문규, 김이하, 김명지씨, 사진가 하형우, 정영신, 양시영, 박영환, 곽명우, 이정환씨

춤꾼 양혜경씨와 가수 김가영, 홍가혜, 김남선, 차광호씨 등 참여 작가들과 관계인들이 참석하여

간단한 열림식을 가졌는데, 다들 백기완선생과 기념사진 찍느라 바빴다.







그동안 촛불시민들이 광화문광장으로 몰려 나와 박근헤 퇴진을 외쳤고,

예술가들도 다양한 예술행동으로 시민들과 어울리며 새로운 세상을 원했다.


그 위대한 시민혁명을 기록한 열세 명 다큐사진가들의 각기 다른 색깔의 기록에서 부터

화가나 시인 그리고 촛불시민들이 바라 본 순수한 시선들도 흥미롭다.

여러가지 코스프레에서 부터 대머리에 ‘탄핵’이라 쓴 스티커를 붙인 코믹한 사진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기 그지없다.






기록 사진이란 잘 찍는 것 보다 현장성이 더 중요한 건, 그 자리에 없으면 기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광화문광장’ 텐트촌에서 노숙하는 정덕수시인은 다 물러나고 없는 한가한 캠핑촌의 일상을 기록했다.

그 잔잔한 뒷이야기들은 또 다른 재미를 안겨준다. 그리고 수많은 예술가들이 펼친 ‘광화문미술행동’의 기록들도 의미가 크다.

매주 토요일마다 펼쳐온 예술행동 면면의 기록들은 예술이 대중 속에 녹아드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루에 몇 장의 사진을 보며 살까? 신문이나 인터넷을 열면 가장 먼저 들어오는 게 사진이다.

전 국민이 사진기록자이고 증언자이다. 또 다른 눈으로 역사의 현장을 지켜보았던 것이다. 

 

사진가 곽명우, 권 홍, 김문호, 노숙택, 박영환, 양시영, 엄상빈, 정영신, 조문호, 채원희, 하형우, 홍윤하씨를 비롯하여

시인 강 민, 정덕수, 김명지, 김이하, 화가 김진하, 이재민, 최연택, 부은정, 춤꾼 양혜경씨

그리고 촛불시민들이 기록한 사진까지 전시장을 가득 메우고 있다.

'





전시는 오는 21일까지다. 어렵게 찾아 온 봄 맞으러 광화문 광장으로 나가자.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내일을 준비하자.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