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종로 삼일대로 일대에 2개동(지상 17층과 12층)을 짓는 공평 15-16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안이 통과되어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서피맛골과 대로 사이의 금강제화 종로점, 클락스 종로점 등 노포 일부는 보존하고, 새 건물 2개동 중 12층은 누구나 이용 가능한 옥상정원으로 조성한다. 준공예정일은 2024년 3월이다.

 

개발지역 조감도

지난 16일 들린 서피맛골 현장에는 건축물을 철거한 후, 유적을 발굴하는 탐사작업이 시작되고있었다. 발굴된 유적은 아직 모르지만, 한국전쟁의 잔재인 대형포탄이 나오기도 했단다. 이제 서피맛골의 아름다운 추억도 아득한 역사 속에 파묻히고 말았다.

 

피맛골은 조선시대 서민들이 종로통을 지나는 왕이나 고관대작들을 피해 다니던 길이라는 뜻의 ‘피마 ’에서 유래되었다. 사극에서나 볼 수 있듯이 "어이 물럿거라. 좆 대감 나가신다!" 라며 앞에서 소리 소리 지르면, 이 거덜 행렬과 맞닥치는 아랫 것들은 말에서 내려 바짝 엎드려야 했다. 백성들도 양반 가마가 지나갈 때마다 길가에 개같이 엎어져 숨 죽여야 했다. 그러다보니 출근하는 하급관리들은 매번 늦어지기 일쑤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큰길 뒤편에 양반을 피해 다닐 수 있는 골목길을 만든 것이다

이 길이 피맛길로, 요즘으로 치면 '하이패스'나 마찬가지다.

 

서민들이 오가는 이러한 뒷길에 어찌 술집이 빠질 수 있겠는가?

자연스럽게 음식 파는 밥집이나 대폿집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는데, 피맛골에서 파는 빈대떡과 막걸리는 전국적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인근 관청들이 철거되면서 피맛골에 더 많은 선술집들이 들어섰다. 1930년대 중반에 이미 200개 이상의 선술집이 들어섰다는 조선총독부 기록도 남았다는데, 해방 이후에도 피맛골은 서민들의 애환을 달래주는 정겨운 골목이었다.

 

자료사진

세월에 장사 없다.  이곳의 운명이 바뀌게 된 것은 2008년부터다.

당시 서울시에서 피맛골이 포함된 종로구 청진동 일대에 대한 정비계획안을 마련하며부터 피맛골의 시련은 시작되었다.

 

 

600년간 쌓여온 피맛골의 역사는 급격한 재개발로 서서히 사라져갔다.

르메이에르 건물로 대체된 피맛골은 쇼핑몰의 푸드코트처럼 정갈한 상점으로 변신해 특유의 체취는 오간데 없이 사라졌다. 인사동 문화거리와 연결된 '서피맛골'은 살아남았으나, 그나마 재개발 열기에 대부분 문을 닫거나 간신히 연명한 상태였다. 막상 가보면 셔터가 내려졌거나, 전기사용을 해지한다는 고지서들이 나붙어 있었다. 이미 그 때부터 죽은 골목이 된 셈이다.

 

자료사진 / 고갈비 파는 이름없는 집

골목어귀에 을씨년스럽게 나붙은 '서피맛골 주점촌'이란 팻말만 흔적을 남겼다.

120년 전, 3·1 운동을 모의했던 ‘승동교회’ 옆 골목으로 들어가면 '이름 없는 주막'이 있었다.

간판도 없고 이름도 없다. 그저 '고갈비 파는 집'이라 불리지만, 오랫동안 정든 술집이었다.

처음 갈 때가 40년 가까이 되었으니, 그 집은 반세기의 풍상을 겪은 주막이다.

 

그리고 시인 박종수씨에서 수필가 한귀남씨로 이어진 ‘시인통신’에서부터 '열차집‘, '전봇대집' 등 이 집 저 집 옮겨 다니며 빈대떡과 고갈비를 안주로 밤을 지세고, 아침 일찍 청진동 해장국에서 속 풀던 추억의 장소가 바로 피맛골이다. 뒤늦게 생겼지만, 마지막으로 들렸던 곳이 김완기씨가 운영하던 ’불타는 소금구이‘였다. 그 뿐인가 지금의 '남인사마당' 옆예는 '예총' 건물도 있었다. 아는 사람들을 만나려 '사진협회'나 '문인협회'는 자주 들락거리던 곳이다. 그뒤 건물이 철거되어 순라꾼들 아지트가 되었지만, 예술가들의 사연이 녹아 있는 곳이다.

이제 고풍스러운 분위기에 정들었던 서피맛골도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인사동에 오래된 것과 정든 것들이 모두 사라지고 있으니,  기억하는 늙은이가 사라지는 일만 남았다.

사람 마주하기도 무서워하는 유령의 도시를 살아야 할 사람들이 가엽다.

돈과 물질에 눈 먼 자업자득 인 걸 어쩌랴!

 

사진,글 / 조문호

 

 

자료사진
자료사진
자료사진
자료사진
자료사진
자료사진

 

 

피맛골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맛길. 멋길이었다.

조선조 때 종로통은 양반이나 지체 높은 사람들이 말 타고 다니던 대로였다.
고관들을 만나면 엎드려 몸을 굽혀야 하기에 서민들은 그 뒤편에 있는 피맛골을 이용했다.

그래서 지명이 피맛(避馬)골이다.

80년대 피맛골 좁은 술집에는 수많은 예술가들이 들어박혀 예술과 문학을 논했다.
그중 시인 박종수씨가 운영했던 '시인통신'은 인사동 예술가들의 숱한 전설을 만들어냈다.
'열차'집, 전봇대집 등 이 집 저집 다니며 빈대떡과 막걸리, 고갈비와 소주로 밤을 지새우고,
아침 일찍 청진동 해장국집에서 속을 풀던 곳이다.

이젠 그 추억의 피맛골이 개발과 화재로 인해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종로YMCA건물 뒤편에서 인사동 초입까지 이어지는

서피맛골이 아직 남았는데, 이 지역의 행정구역도 인사동이다.

퀴퀴하고 음산한 골목이지만, 오히려 고풍스럽다.

요즘 인사동과 북촌들이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북인사마당에서 예당과 포도나무집으로 들어가던 골목 옆 갈비탕집(옛 토아트)과

'통인가게' 옆집이 철거되어 공사 중이고, '로마네 꽁띠'로 가던 윤보선로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서피맛골 역시 머지않아 개발되겠지만, 아직까지는 상권이 형성되지 않아 쉬 바뀌지는 않을 것 같다.

차라리 인사동을 관광객들에게 빼앗긴 유목민들이 이 지역을 이용하면 어떨까 싶다.
한 후배가 얼마 전 개업한 '불타는 소금구이'는 가격이 아주 저렴하다고 들었다.
기회가 닿으면 한번 들려보고, 괜찮은 술집들도 찾아 볼 작정이다.


사진,글 / 조문호

 

 

 

 

 

 

 

 

 

 

 

 

 

 

 

 

 

 

 

신축을 위해 철거된 인사동 업소

 

 

 

 

 

변신하고 있는 북촌 윤보선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