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종희의 '터널II'가 지난 19인사아트센터’ 2층에서 시작되었다.

 

전시장을 돌아보니, 버려진 깡통을 두들기고 오려 붙여 만든 갖가지의 형상들이 화판을 가득 메웠는데,

뻔쩍거리는 화려함 속에 도사린 짙은 그림자가 헤어날 수 없는 터널처럼 무겁게 다가왔다.

 

화려하고 편리한 삶에 의한 인간 황폐화를 비판하는 시각적 울림은 오래갔다.

3년 전 나무아트에서 열린 터널I’보다 대작들로 이루어져 그런지, 훨씬 강열했다.

 

정말 놀라웠다.

버려진 폐품에 불과한 깡통으로 물질 문명을 비판한 메시지에 앞서,

고지식하게 이루어낸 작가의 노동력에 고개 숙이지 않을 수 없었다.

 

욕망의 배설물인 코카콜라나 커피 같은 깡통에 새겨진 상품의 색깔도 각양각색이지만,

조각 조각의 이미지를 퍼즐 맞추듯 형상화한 치밀함은 미술과 조각을 넘어 과학의 경지를 넘나들었다.

 

깡통의 색깔은 말할 것도 없고 조각 조각 오려 붙힌 방향에 이르기까지 치밀하게 계산된 것 같았다.

조명 각도에 따라 달라 보이고 보는 위치마다 달라 보였다.

 

재활용품으로 만든 최고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자개의 빤짝거리는 아름다움과는 차원이 다른, 아름다움을 넘어 인간답게 살자는 메시지였다.

 

인간의 욕망이 끌어들인 블랙홀은 빠져나올 수 없는 터널 같았다.

 

때로는 웅크리거나 곤두박질하는 인체에, 해골도 모자라 똥도 벽에 붙어 놓았다.

똥을 자본으로 빗댄 작가의 직설적인 표현처럼 깡통처럼 텅 빈 자신을 보는 것 같았다.

 

한때 세상을 풍미했던 말 “Yes i can”, , 나는 할 수 있습니다가 아니라

예, 나는 깡통이로 소이다.

 

아래는 작가의 말이다.

대량 생산된 음료들의 용기인 알루미늄 캔들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가볍게 욕망을 채우고 내던져 버리는 찌끼기이자 배설물이다. 우리가 묶여 사는 체제의 똥이다. 가위로 오려내진 캔 조각을 나무망치로 반짝임을 덜어내면, 그로부터 우리가 사는 아파트와 빌딩 숲이 이끌려 들어온다. 이전의 손도끼는 힘차게 골을 내며 달렸지만, 캔 조각들은 둔탁하고 위태로운 기호로 켜켜이 포개지며 화면에 거대한 어떤 형태로 구축된다

 

전시장에서 반가운 분을 많이 만났다.

전시작가인 나종희씨 내외분을 비롯하여 주재환, 김정업, 박진화, 박흥순, 두시영, 김영중, 변대섭, 김보중,

성기준, 김윤기, 김경복, 양상용,  임정희, 이필두씨 등 화단에 내노라 하는 분들을 두루 만났.

 

이날은 동자동에서 초상사진 찍느라 큰 카메라를 들고와 찍어야 할 때 못 찍었다.

전시장을 나오다 김재홍씨를 만났으나 꺼낼 겨를이 없었다.

카메라는 손에 있어야 카메라지, 가방에 있으면 카메라가 아니라고 했던 평소의 말이 생각났다.

 

후회하며 카메라를 꺼냈더니, 약속이나 한듯 고옥룡씨가 나타났다.

 

사진:/조문호

 

나종희의 ‘터널’은 오는 24일까지 열린다.

 

지난 25일, 모처럼 정영신씨와 함께 인사동에 나갔다.

'나무아트'에서 열리는 나종희씨 '터널'전을 보기 위해서다.

 

전시장에는 나종희씨를 비롯하여 ‘나무화랑’ 김진하씨,

단양에 사는 설치미술가 김언경씨가 와 있었다.

 

뒤 이어 김재홍씨와 류충렬씨가 나타났다.

 

문명비판적 시각의 나종희씨 작품은 

폐기물인 캔을 납작하게 오려붙여 형상화했다.

알록달록한 발색이 강렬한 시각적 운동감을 주었고,

조명에 의한 반사 각도에 따라 보는 느낌도 달랐다.

 

한 마디로 물질문명에 의해 황폐화된 세상 이치를 말했다.

자본의 똥, 욕망의 바다, 붕괴, 추락, 블랙홀, 혼돈 같은 작품 제목처럼

자본과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블랙홀이자 깊은 터널이었다.

화려함 이면에 도사린 인간성 상실에 대한 메시지였다.

 

난, 형상미보다 고지식하게 이루어낸 노동에 더 의미를 두고 싶다.

예술이란 이름의 화려한 포장보다 사람 사는 노동의 가치 말이다.

민중미술의 한 궤인 비판적 리얼리즘에 초점을 맞춘 그의 작업에서

예술이 먼저냐? 사람이 먼저냐?는 근원적인 질문과도 마주쳤다.

 

반짝거리는 폐기물이 시각적 쾌감을 주었는데,

보는 각도에 따라 변하는 시각성은 또 다른 재미였다.

때로는 바닥으로 떨어지는 인체 형상으로 빈민의 몰락을 상징하거나

똥의 형상으로 자본을 탓하는 등 직설적인 어법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화려함 뒤에 오는 인간의 황폐화를 은유적으로 시사했다.

 

마치 그의 작품에서 깡통처럼 텅빈 인간상을 보는 것 같았다.

이 전시 서문에서 말한 미술평론가 김진하씨의 “Yes i can”이 떠오른 것이다.

한 때 사회에 풍미된 말 “예, 나는 할 수 있습니다”가 아니라

“예 나는 깡통이로소이다”에 빚댄 유모어 같았다.

 

미술평론가 김진하씨는 전시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캔을 집적한 바탕에 작가가 추가한 사람형상이나 여타 풍경과 같은

이미지의 결합으로 구조화된 화면이 이번 전시 작업양식의 대체적 흐름이다.

그러나 내겐 작가가 인위적으로 추가한 소재나 손맛의 서술적 형상 없이,

캔의 배열만으로 상징성을 확보한 ‘터널’이 인상적이었다.

캔의 부착 방향과 크기에 따른 배치, 그로부터 야기되는 무브먼트와 속도감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묵시적인 형상성이 설명이 아닌 울림으로 자연스럽게 다가와서다."

 

버려진 폐품을 소비시대 욕망의 배설물로 비판한

나종희의 ‘터널’은 오는 12월 1일까지 열린다.

 

사진:글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