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부로 살았던 아버지의 흔적을 20여 년 간 기록해 온 사진가 박병문씨의 ‘선탄부’전이 열리고 있다.

이번에는 지하 갱도에서 일하는 광부가아니라, 늘 주인공에 가려왔던 ‘선탄부’를 주연으로 내세웠다.

인명사고로 부정 탄다며, 여성을 금기시했던 탄광이었지만, 

남편 잃은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끌어들인 사람이 바로 탄을 고르는 ‘선탄부’였다.





전시장에 걸린 작품들은 무겁게 가라 앉아 있었다.
입을 가린 분진 마스크에서 삶의 무게가 느껴졌고,

그들만의 검은 공간은 마치 지옥도처럼 보는 이의 마음을 침울하게 했다.

꿀맛의 휴식시간을 즐기며 잠자거나 나른하게 앉아 있는 모습에서부터

벨트 따라 굴러가는 탄을 고르는 손길이나,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가는 등,

삶의 진한 냄새가 풀풀 풍기는 사진들이 오래된 흑백영화 돌아가듯 전시장에 펼쳐져 있었다.






그 중 분진마스크를 쓴 채 정면으로 바라 본 선탄부의 강한 눈빛이 시선을 묶었다.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마치 “사는 게 이런 것이야. 집에 가면 자식들이 기다려!‘ 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카메라로 그녀의 얼굴을 잘라내었다.


아마 힘든 순간순간마다 아른거리는 자식들 생각에 모든 것 물리칠 수 있었을 것이다.






사실 우리의 역사는 어머니의 역사다.

표 나지 않는 집안일을 다 안으시며, 묵묵히 버텨 온 어머니들이 없었다면, 과연 오늘이 가능했을까.

그 숭고한 진리를 선탄부의 눈길에서 읽을 수 있었다.

난, 장막에 가려진 삶이나 소외된 삶의 기록이 다큐멘터리사진의 가장 소중한 덕목으로 생각한다.

박병문의 사진은 아버지의 흔적에서 비롯되어 다큐멘터리 사진 최고의 덕목을 건져 올린 셈이다.






지난 20일 정오 무렵 들렸는데, 전시장에는 사진가 박병문씨와 아내 손정애씨가 손님을 맞았고,

사무실에는 김난진 관장이 일하고 있었다. 마침 점심때라 밥 먹으러가자는데 좀 난감했다.

집에서 빵을 먹고 나왔기 때문이다. 김관장이 ‘송죽 죽집‘을 소개해 이야기나 들을까하고 따라 나섰다.






박병문씨 말로는 어제 원로 사진가 윤주영선생께서 오셨는데,

사진을 둘러보다, 선탄부들이 사진 보는 사진을 가리키며, 그 사진은 선생께서 찍은 사진이라 말씀하셨단다.

아마 박병문씨가 아버지의 흔적을 기록하고 있을 무렵, 윤주영 선생께서도 다녀가셨던 모양이었다.

죽 집에 가서는 전복죽을 시켜주었다. 그것도 짜장면 세 그릇 값에 해당하는 죽을...
너무 황송해 “이 보약거튼 죽 묵고 거시기 근들거리마 우짜지 예” 그랬더니,

손여사의 눈빛은 “그건 니 사정이야”하는 것 같았다.


이 전시는 28일까지 충무로 ‘갤러리 브레송’에서 열리고,

'눈빛출판사'에서 박병문 네 번째 사진집 선탄부가 나왔다.



글 / 조문호






















나는 같은 강원도 살면서도 박병문씨를 잘 몰랐다.
장터 작업에 메 달린 십년 가까이 사진판과 담을 싸고 지냈기 때문이다.
올 해 페이스 북에 들어 와서야 이런 저런 소식을 접하며 여러 페친을 만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박병문씨 전시를 알게되어, 그의 이력이나 작품을 살펴보게 되었다.

지난 번 전시제목이었던 ‘아버지는 광부였다’와 ‘세상에 아름답지 않은 아버지는 없다’라는 카피를 보며,
확실한 주제를 잡은 작가로 생각했다. 주제 자체로 언론의 관심을 모울 수밖에 없었고,
자기 가족보다 더 잘 알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개의 사진인 들이 가까운 주변보다 먼 곳에서 소재를 많이 찾는다. 
박병문씨의 후속 작업은 뭘까 염려되었으나, 작품들을 보니 기우에 불과했다.

검은 분진에 휩싸인 탄광촌의 흔적을 찾아 지난날의 기억을 돌이키고 있었다.
검은 산 아래 버티고 선 수갱과 광차, 웅크려 앉은 저탄장과 그 뼈대를 앙상하게 드러낸 골재들이

마치 지옥의 한 풍경을 연상시켰다. 그 음산한 분위기가 주는 위압감이 너무 좋았다.
아버지와 함께 했던 현장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생물 줄이나 다름없었던 탄광의 기억들이

빛바랜 묵시록처럼 사진에 똬리를 틀고 있었다.

박병문씨의 ‘검은 땅- 우금에 서다’사진전 개막식은 지난 23일 오후6시 30분 충무로 ‘갤러리 브레송’에서 열렸다.
개막식에는 박병문씨 내외를 비롯하여 ‘브레송’ 김남진관장, ‘한겨레신문’ 곽윤섭, 노형석기자,

‘사진방송’ 김가중, 정태만씨 ‘오늘의 한국’ 임윤식씨, 사진가 은효진, 신동필, 정영신, 방종모,

유경석, 이학영, 곽명우, 남 준씨 등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축하 했다.

이날 뒤풀이는 충무로 ‘종로빈대떡’에서 시작하여 ‘첼로호프’로 옮겨가며 마셨다.
기분이 좋아, 자정이 가깝도록 술을 퍼마신 것은 좋았는데, 그만 필름이 끊겨 버린 것이다.
낑낑대다 이틀이 지나서야 사진을 꺼내보니 별의 별 것들이 다 찍혀 있었다.
하나하나 실타래가 풀려 나가니 얼굴이 화끈 거렸다.
술 취해 돌아오며 적었는지, 팜프렛 뒤에는 이런 낙서도 있었다.

“여자가 너무 예뻐 명함 꺼낸다는 게, 주민증을 꺼냈다.
그 아가씨 주민증을 들여다보고 하는 말,
'우리 아빠하고 동갑이네요'
갑자기 예쁜 여자가 예쁜 딸로 보였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