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같은 강원도 살면서도 박병문씨를 잘 몰랐다.
장터 작업에 메 달린 십년 가까이 사진판과 담을 싸고 지냈기 때문이다.
올 해 페이스 북에 들어 와서야 이런 저런 소식을 접하며 여러 페친을 만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박병문씨 전시를 알게되어, 그의 이력이나 작품을 살펴보게 되었다.

지난 번 전시제목이었던 ‘아버지는 광부였다’와 ‘세상에 아름답지 않은 아버지는 없다’라는 카피를 보며,
확실한 주제를 잡은 작가로 생각했다. 주제 자체로 언론의 관심을 모울 수밖에 없었고,
자기 가족보다 더 잘 알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개의 사진인 들이 가까운 주변보다 먼 곳에서 소재를 많이 찾는다. 
박병문씨의 후속 작업은 뭘까 염려되었으나, 작품들을 보니 기우에 불과했다.

검은 분진에 휩싸인 탄광촌의 흔적을 찾아 지난날의 기억을 돌이키고 있었다.
검은 산 아래 버티고 선 수갱과 광차, 웅크려 앉은 저탄장과 그 뼈대를 앙상하게 드러낸 골재들이

마치 지옥의 한 풍경을 연상시켰다. 그 음산한 분위기가 주는 위압감이 너무 좋았다.
아버지와 함께 했던 현장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생물 줄이나 다름없었던 탄광의 기억들이

빛바랜 묵시록처럼 사진에 똬리를 틀고 있었다.

박병문씨의 ‘검은 땅- 우금에 서다’사진전 개막식은 지난 23일 오후6시 30분 충무로 ‘갤러리 브레송’에서 열렸다.
개막식에는 박병문씨 내외를 비롯하여 ‘브레송’ 김남진관장, ‘한겨레신문’ 곽윤섭, 노형석기자,

‘사진방송’ 김가중, 정태만씨 ‘오늘의 한국’ 임윤식씨, 사진가 은효진, 신동필, 정영신, 방종모,

유경석, 이학영, 곽명우, 남 준씨 등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축하 했다.

이날 뒤풀이는 충무로 ‘종로빈대떡’에서 시작하여 ‘첼로호프’로 옮겨가며 마셨다.
기분이 좋아, 자정이 가깝도록 술을 퍼마신 것은 좋았는데, 그만 필름이 끊겨 버린 것이다.
낑낑대다 이틀이 지나서야 사진을 꺼내보니 별의 별 것들이 다 찍혀 있었다.
하나하나 실타래가 풀려 나가니 얼굴이 화끈 거렸다.
술 취해 돌아오며 적었는지, 팜프렛 뒤에는 이런 낙서도 있었다.

“여자가 너무 예뻐 명함 꺼낸다는 게, 주민증을 꺼냈다.
그 아가씨 주민증을 들여다보고 하는 말,
'우리 아빠하고 동갑이네요'
갑자기 예쁜 여자가 예쁜 딸로 보였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