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의 동자동 새꿈 공원에는 김정호, 유영기, 정재헌, 이재화, 김원호,

이홍렬, 강병국, 강재원, 김용만씨 등 반가운 분들이 나와 한담을 나누었다.

이 날은 빨래줄 전시로 사진을 돌려주기로 약속한 추석이 다가와서인지,

영정사진을 찍어달라는 분이 의외로 많았다.

 


주민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사람에 대한 불신의 골이 깊었다.

박성일씨는 몇몇 사람들은 양심을 전당포에 맡긴 사람들이라며 흥분하기도 했다.

그런 이들 때문에 동자동 빈민을 지원해 온 명성도 손을 끊었다고 한다.




 

그리고 한정민씨는 크게 마음의 상처를 입은 것 같았다.

영정사진을 부탁해 찍어주었는데, 사진은 언제 줄 것이냐는 것이다.

추석에 빨래줄 전시 때 가져가라니, 그 때는 없다고 말했다.

육개월 정도 동자동을 떠날 것인데, 어쩌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며 슬픈 표정을 지었다.

이젠 사람이 무섭다며, 갑 질하는 꼴을 더 이상 못 보겠다는 말도 덧 붙였다.

착한 정민씨가 무엇에 저렇게 마음을 다쳤을까?



 


짐작은 가지만, 더 이상 묻지 않았다.

나 역시 실태를 알고 나니, 회의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누굴 위해, 뭘 위해 개고생을 하는지 한심한 생각도 들지만,

그래도 선량한 주민들이 더 많다는데, 위안을 갖고 산다.

 

제일 시급한 것은 빈민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당당하게 나서야 한다.

주민들이 민관단체의 잘 못된 관행이나 갑 질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한다.

이제부터 내가 할 일도 빈민들이 발 벗고 나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다.

힘없다며 포기해버리고, 알고도 모른 척 한다면, 절대 개선할 수 없다.



 


지탄받고 부끄럽게 생각해야 할 사람은 돈 없고 가난한 사람이 아니라 정작 가진 자들이다.

그 많은 돈을 정당한 노력에 의해 벌었겠느냐? 전두환, 이명박 같은 도둑놈들이 가진 자들의 대부분이다.

요즘 일부 언론에서 빈민들의 인권 운운하며, 빈민들을 가두고 소외시키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몰지각한 사진인들의 가시적인 접근도 문제이긴 하지만, 빈민들은 숨어야 할 사람들이 아니라,

당당하게 나서야 할 사람이기 때문이다.


빈민들이여! 자부심을 갖고 우리들의 권익을 되찾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자.

오는 4일 추석날 펼치는 동자동 새꿈공원의 합동차례도 함께하자.

첫 빨래줄 전시였던 5월 어버이날 이후에 찍은 사진을 다시 빨래 줄에 걸어 당사자에게 돌려주려 한다.

영정사진은 물론 지난 5‘5,18민주묘지 참배에서 찍은 사진과 도끼상소 등

각종 행사에서 찍은 사진들도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란다.

 

사진, / 조문호





















 

 

 








나이가 들수록 보폭을 좁히라고 했으나, 그게 잘 안 된다.
독하게 마음먹고 동자동에 살라고 왔으면, 동네사람들과 어울려 놀아야하는데,
맨날 천방지축 돌아다닌다. 아니 끌려 다닌다.
어디 세상 연을 끊는 게 그리 쉬운 일이던가?
인사동이나 사진판에 대한 연도 그렇지만, 가족에 대한 연도 마찬가지다.

요즘 나를 더욱 바쁘게 하는 것은 바로 박근혜다.
내가 무슨 투사도 아니고, 세상살이에 그리 신경 쓰지 않고 살았다.
열 받으면 아무 일도 되지 않기 때문에, 아예 신경을 끊은 것이다.
티비나 신문 한 장 보지 않았으니 가능했으나, SNS에 접하며 달라졌다.

나 하나쯤이야 하는 개인적이고 방임적인 처신으로, 여지 것 하나도 바뀐 게 없다는 자책 때문이다.

나야 머지않아 사라질 테지만, 자식들에게는 이런 세상을 물려 줄 수 없는 것이다.
그도 그렇지만 함께 사는 빈민들을 위해서라도,
싸울 수 있는데 까지 싸워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데 힘을 보태야 한다고 생각했다.
바쁘다는 이야기 한다는 게, 박근혜만 나오면 말이 길어진다.

지난 연말에는 동자동사랑방 공제협동조합 홍보위원회의에 참석했다.
홍보위원 김정호씨가 홍보위원으로 같이 일하자며 나를 끌어들인 것이다.
나야 하는 일이 홍보하는 일이니 못할 것도 없다는 생각에서 승낙했는데,
할 바에는 제대로 한 번 해봐야겠다는 욕심이 생겼다.
대외적인 홍보도 홍보지만, 그보다는 세상과 단절해 사는 사람들을 밖으로 끌어내는 게
더 중요한 홍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200여명 중에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조합원 수만 보더라도,
폐쇄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들의 말벗이 되어주어 함께 어울릴 수만 있다면, 그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그 날 ‘동자동사랑방’ 사무실에서 가진 홍보위원 회의에는 차재설 홍보이사를 비롯하여

김정호, 허미라 홍보위원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었다.

주로 우리가 할 일은 홍보물이나 소식지를 제작하는 일이지만,

그보다는 후원자를 늘리고, 잘 모르는 분을 설득하여 함께 하는 것이었다.

결의를 다지는 식사자리도 만들어, 다 같이 소주 한 잔했다.

그리고 한정민씨도 꼽사리 끼었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