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전통문화축제인 인사동 박람회'가 지난 달 28일부터 3일까지 인사동 전 지역에서 열렸다.

마지막 날인 3일에서야 구경 갈 수 있었는데, 좀 늦었던지 이미 거리 행진 퍼레이드가 끝나고 있었다.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가 있었던지, 우산을 들고 있는 사람들은 많았으나 비는 오지 않았다.

하릴없이 거리를 떠도는데, 미술평론가 최석태씨가 나타나 정영신씨를 보더니 이산가족 만난 듯 반가워했다.






이번 축제는 전통문화업소들을 소개하는 인사동 박람회와 인사동 주민ㆍ문화예술인들이 함께하여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인사전통문화축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고 한다.

인사동 전 지역의 전통문화업종 업소 171개 모두가 박람회장이 되었는데,

고미술업체와 화랑에서는 특별전을 열었고, 표구ㆍ지필묵ㆍ공예업소들은 각 업소 특화 품목을 50% 할인하여 팔았고,

전통차음식업소(총 30개소)도 주 메뉴를 50% 할인하는 행사를 벌였다고 한다.

그러나 얼마나 사람들이 몰렸는지, 얼마나 팔았는지는 모르겠다.





박람회장인 대개의 업소들을 아는데다, 마땅히 구입할 물건도 없는 터라

전인경씨의 ‘비욘드 만다라’전시가 열리는 'ARTSPACE H'에서 이광수교수를 만나보고, 다시 동자동으로 돌아갔다.

동자동에서 일을 보고 저녁에는 강제훈씨의 “THE PLANET"전이 열리는 강남 ‘스페이스22’로 가야하기 때문이다.





강제훈씨 사진전에서 반가운 분들 만나 뒤풀이장소로 옮겨 한창 술판이 벌어졌는데, 김명성씨의 전화가 빗발쳤다.

빨리 인사동으로 넘어 오라는 것이다.

전주로 이사 가신다는 송상욱선생과 기다린다기에 마지막 이별주라도 마셔야 할 것 같아 또 다시 인사동으로 갔다.

 




유목민에는 반가운 사람들이 여럿 있었다. 윤승길씨와 박영수씨도 있었고, 안 쪽 자리에는 노형석기자도 있었다.

김명성씨와 송상욱선생은 이미 많이 취해 있었다.

인사동을 떠나는 송상욱 선생이나 떠나보내는 김명성씨의 마음이 편할 리가 없었다.

인사동 골방 얻어 사무실로 쓰며, 없는 돈에 ‘멧돌’이란 시지까지 펴내며 인사동 골목골목을 풍미한 세월이 어언 몇 십 년이던가?





인사동을 짝사랑하는 분이 어디 송상욱선생 한 분 뿐이겠냐 마는, 인사불성된 인사동을 차마 지켜볼 수 없었던 것 같았다.

변하는 세상, 변하는 인심을 누가 잡을 수 있으랴!

옛 시인은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네”고 한탄했지만, 산천도 인걸도 간 데 온 데 없는 곳이 되고 말았다.

어찌 취하지 않고 버틸 수 있겠나.

사진, 글 / 조문호





















 



오랜만에 인사동에 나갔다.
지난 14일은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열리는 마동욱씨 사진전도 도와야 하고,

인사동 사진축제에 대한 논의도 있었으나, 장모님 병원 모시느라 시간이 지체되었다.

오후 6시 무렵의 인사동 거리는 여느 때와 달리 한산하였는데,
길거리에서 퓨전피아니스트 윤강욱씨를 만나기도 했다.






‘토포하우스’에 들렸더니 이미 DP가 마무리되고 있었다.
전시장에는 작가인 마동욱씨를 비롯하여 엄상빈, 이규상, 박진화씨 등 몇몇 분이 계셨다.
작품들이 크고 많아 다소 답답한 느낌은 들었으나, 잘 정리되어 있었다.
좀 있으니, ‘한겨레’ 노형석기자도 들렸다.









그러나 서둘러 모임이 있는 ‘허리우드’로 자리를 옮겨야했다.
그 자리에 엄상빈, 이규상씨를 비롯해, 이규철, 이한구, 강제훈씨도 나왔다.
사진전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이 나왔고, 일할 사람들도 추천했다.
구체적인 기획안은 나오지 않았지만, 큰 틀만 짜고 헤어졌다.







엄상빈, 이규상, 강제훈씨와 마동욱씨가 있는 '토포하우스'로 찾아가,
이야기 나누고 있던 노형석씨와 함께 ‘사동집’에서 만두전골에 막걸리 한 잔 했다.
신방과에 제학 중인 마동욱씨 아들 마일훈군도 함께 했다.

마동욱씨의 파라만장한 삶과 사진이야기 듣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으나,
문 닫으려 기다리는 주인장 송점순씨가 안 서러워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었다.





















같은 방향으로 가던 노형석씨와 ‘유목민’에도 잠시 들렸다.
그 곳에서 김명성, 전활철씨와 어울려 소주 한 잔 했다.
오랜만의 만남이었으나, 막차시간이 임박해 더 머물 수 없었다.


사진,글 / 조문호
















내일 인사동 ‘토포하우스’에 열리는 마동욱씨 전시개막식에서 한 잔 합시다.


마동욱의 ‘고향의 사계’ 사진전
장소 : 인사동 ‘토포하우스’
일시 : 2016년 6월15일부터 21일까지
초대일시 6월15일 오후5시



노형석 (한겨레 문화부기자)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충렬 (전기 문학가)  (0) 2016.03.10
이태호 (대학교수)  (0) 2016.03.06
우찬규 (학고제 대표)  (0) 2016.03.06
박 건 (서양화가)  (0) 2016.03.06
김정헌 (서양화가)  (0) 2016.03.06

 

 

 

 

 

 

올해로 열네 번째 맞는 '동강국제사진제'가 지난 24일 오후7시 영월 사진박물관에서 개막되었다.
차가 밀려 개막시간 한 참 지나 당도하였고, 장대비가 쏟아져 진행 과정을 제대로 지켜보지 못했다.

사실 개막식보다는 오후1시30분부터 시작된 '오늘의 한국사진과 사진문화를 진단한다'라는 주제의 

워크샵에 참여하고 싶었으나 시간이 맞지 않았다.

나머지 워크샵을 위해 2박3일 동안 머물며 '동강사진제'의 이모저모를 유심히 살펴보게 된 것이다.

정선 갔다 오는 길에 영월 사는 장꾼 정수옥씨를 만나 '동강사진제'에 대한 주민 반응도 접할 수 있었다.
정씨에게 사진축제는 가봤냐고 물었더니 아는 손님이라도 오면 같이 가 볼 생각이란다.

그런데 해마다 가지만 뭐가 좋은지 모르겠다는 하소연을 했다.

“어린 조카 놈이 사진 보며 물어 보는데 뭘 알아야 답을 하지..."

하기야 사진하는 우리도 이해 안 되는 작품이 많은데, 어찌 시골 장꾼의 눈높이에 맞겠는가.

그러나 최소한의 궁금증은 풀어주어 소통할 수 있도록 해 줘야한다.

전시장을 지키는 도우미라도 교육시켜 궁금증을 풀어주게 하면 안될까? 

그리고 '동강사진제' 문제점을 지적한 '한겨레신문' 노형석기자의 글을 흘려들어서는 안 된다. 제대로 본 것이다.

'동강사진제' 집행부에서는 이 지적을 불쾌히 여기지 말고, 시정할 수 있는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나 역시 '동강사진제' 만의 뚜렷한 색깔, 즉 정체성이 없다는 생각은 늘 했었다.

타 도시에서 열리는 사진축제들과의 변별력도 없었다.

오히려 기록사진에 초점을 맞추었던 2002년 출범 당시가 더 나았다.

무분별한 현대사진의 수용으로 마치 양공주 낯짝에 분칠한 격이었다.

작가주의로 시상되어 온 역대 수상작가 선정도 마음에 걸렸다.

한 때는 오형근씨와 노순택씨가 받아 뭔가 제대로 되나 싶었는데, 다시 원상복귀 되길래 그건 양념이란 걸 알았다.

'한국사진의 현재와 미래'란 주제를 내걸고 시작한 워크샵은 주제 자체가 너무 포괄적인 것 같았다.

좀 더 부분적이고 집중적으로 논의해 대안을 찿아내야 하는데, 노기자 말처럼 용두사미 꼴이 되고 말았다.

 

마지막 날 진행된 '사진전문지, 사진전문 출판의 현황과 문제'는 들을 만 했다.

그러나 참석률이 너무 저조했다. 다른 워크샵에는 200여명 가까이 되었으나 그 곳은 불과 20여명 밖에 참가하지 않았다.

마지막 날은 두군데서 동시에 열려 분산되기는 했으나 기실 사진 책에 대한 관심이 적다는 뜻 일게다.
참석자는 적었으나 가장 눈높이에 맞았고, 현실적인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발제자들의 워크샵에 임하는 자세도 달랐다.

발제문들을 프린트해 나누어 주는 것은 물론, 오래된 사진 책까지 들고 와 참석자들의 이해를 높였다.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동강사진제'에 초를 쳐 미안하다.
그렇지만 대꾸없는 침묵이 더 무섭다. 부정적이라고 여론을 수렴하지 않으면 자멸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사실 새로 구성된 '동강사진제' 운영위원회에 커다란 숙제가 안겨진 것이다.
각계의 의견을 수렴 논의하여 이 사진제를 반석 위에 앉힐 방법을 찿아 내야 하기 때문이다.

 

정체성 있는 성공적인 '동강사진제'가 되기를 다시 한 번 기대한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