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균사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 우리나라 다큐멘터리사진의 현 단계를 진단하는

‘한국사진과 권태균사진’이란 주제의 특강이 지난21일 오후4시 강남에 있는 ‘스페이스22’에서 열렸다.


그동안 이광수교수의 특강을 기다려 왔으나, 먹고 사는 일로 40여분이나 늦어버렸다.

30여명의 사진인들이 듣고 있었는데, 강의 중간에 들어가기가 좀 창피했다. 


이광수교수의 많은 이야기를 놓쳤지만, 강의의 요지는 가장 한국적 사진이라는 평가를 받아 온

권태균씨의 작품세계를 놓고, 과연 한국적 다큐멘터리란 어떤 사진이냐에 모아졌다.

대개 우리의 전통적 생활관습이나 한국적 정서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교수는 우리의 두레문화에 의미를 두었다.

끈끈한 정과 한으로 뭉친 우리민족의 정체성이란 공동체적 삶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즉 대동 문화를 말한 것이다. 88올림픽, 월드컵 등 스포츠에서부터 광주항쟁 등의 정치적 투쟁에 이르기 까지

다른 나라와는 또 다른 끈끈한 결집력을 보여 왔다는 점을 들었다.

다큐멘터리사진이란 주제나 소재가 정해지면 접근 방법, 즉 어떻게 찍을 것이냐에 많은 작가들이 고민하는데,

그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대정신, 즉 문제의식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권태균씨의 80년대 작품 ‘노마드’는 그 방법론에서 갈등의 흔적이 역역하다고 말했다.

강운구선생께 체득했을 법한 자연스럽고 정갈한 구도였던, 평소의 접근방법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이갑철씨 사진처럼 카메라앵글을 의도적으로 비뚤게 한다든지, 사람의 몸을 과감하게 잘라내는 등

서구스타일의 사진들도 뒤 섞인 걸 보면, 전통과 외래 사이에서 상당히 고민 했을거라는 거다.


결국 그의 사진적 관심은 우리의 삶의 자취가 사라져가는 아쉬움에 모아져 있었다.

“시간과 겨루기에서 슬프지 않은 것이 없다“는 강운구선생의 말처럼...

그러나 우리가 여지 것 본 권태균씨의 사진들은 대부분 80년대에 한정되어 있다.

그 이후의 작품세계가 어떤지는 앞으로 더 지켜보고, 연구할 문제다.

2시간 넘게 진행된 특강에서 김문호, 김봉규씨 등 여러 사진가들이 자신의 생각을 개진하는 등

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어갔다.

 

강의가 끝난 후 ‘북촌’으로 자리를 옮겨 이광수교수 표현대로, 또 한 잔 꺾었다.

그 자리에는 전시와 특강을 주관한 ‘눈빛출판사’ 이규상, 안미숙 내외를 비롯하여 이광수, 김문호, 엄상빈,

김남진, 정진호, 윤승준, 이은숙, 이유홍, 김 원, 마동욱, 장수진, 고정남, 노형석, 이규철, 성남훈씨가 함께했다.

사진, 글/ 조문호








































 

 

지난 24일 강원도 영월에서 제14회 동강국제사진제가 개막되었다.

비에 가리고 우산에 가려 행사 진행은 볼 수 없었지만, 군데군데 반가운 얼굴들은 만날 수 있어 좋았다.

빗속에서 마시는 막걸리 맛도 일품이었지만, 곧바로 숙소인 '동강시스타'로 들어가야 했다.

이규상씨와 동강사진제 운영위원 엄상빈씨의 안내를 받았는데, 숙소마다 사진가들 판이었다.

옆방에 들렸더니 그 자리에는 구자호, 김남진, 신동필, 이광수씨가 자리 잡고 있었다.

시간이 지나자 어떻게 알았는지 손흥주, 이규철, 김종진, 김상훈, 성남훈, 남 준씨 등 사진인 들의 발길이 줄줄이 이어졌다.

안주래야 24시 슈퍼에서 사 온 과자 부스러기가 전부이지만 모두들 잘도 마셨다.

그 날 술자리에서 1987년도에 사진기자들이 모여 창립했던 '투영'동인회 이야기를 구자호씨가 꺼냈다.

근 30여 년 전의 이야기라 젊은 사진가들은 잘 모르겠지만, 나는 그 기억이 뚜렷했다.

'한국일보'의 고명진, '조선일보'의 구자호, '동아일보'의 김녕만, 'TV저널'의 조성휘, '중앙일보'의 채흥모씨 등 다섯 명의

사진기자들이 만든 모임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포토저널리스트 동인회가 결성되었던 것이다.

바쁘게 사건현장을 쫓아다니는 사진기자가 개인적인 작업을 하기가 쉽지 않기에 그들의 활동은 사진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 이듬해인 88년에 경향신문의 우종원씨가 합류하여 여섯 명으로 늘어났지만, 6-7년 정도 활동하다 아쉽게도 해체되어 버렸다.

80년도 후반에는 '투영'동인 뿐만 아니라 이기원씨가 주축이 된 사사연(사회사진연구소)과

최민식선생을 회장으로 모시고 김문호, 김봉규, 안해룡, 이석필, 조문호, 추연공씨 등 기자들과 다큐사진가들이 모인

'사진집단 사실'이 태동하는 등 다큐사진가들의 그룹 활동이 두드러진 시절이었다.

살롱사진들이 판치는 무렵이라 다큐 동인회의 태동과 활동은 우리나라 사진사의 중요한 기점으로 판단된다.

자정이 가까워 옆방으로 돌아 온 것은 술이 취하기도 했으나 김남진씨 일행과 어울리면 밤을 지새야한다는

소문이 돌아 지레 겁먹은 것이다.

다음 날 아침 다슬기 해장국집에서 만나들은 바로는 술이 없어 아쉽게도 2시 정도에 마무리했단다.

 

"이젠 나이도 있는데 몸 좀 생각해야지"라며 혼자 구시렁거리자 뒷말이 들려온다.
"사돈 넘말 하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