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운 화백이 청운을 꿈을 안고 상경한 지도 어언 반세기가 가깝다.

그가 화단에 첫 모습을 드러낸 것은, 71년 구상회 공모전에서 금상을 받으면서 다,

그리고 데뷔한 지 10년 만에 중앙미전에서 특선을 받으며 재 부상한다.

이때부터 화단의 주목을 받았으나, 시련도 따랐다.

 

박통 때인 1970년대 말에는 독제에 항거하는 ‘현실과 발언’에 합세해 혼이 난적도 있다.

정의감을 억누를 수 없어 참여했지만, 그가 표적이 된 것이다.

 

어리숙한 이화백을 만만하게 본 정보당국은 그를 납치해 무려 50일이나 감금해 버렸다.

얼마나 고생을 했던지 출감하자 말자 낯설고 먼 프랑스로 떠난 것이다.

마지못해 선택한 외유에서 의외의 성과도 얻었다.

바로 살롱도톤느 전에서 1등상을 수상한 것이다.

 

그가 주로 그렸던 그림 소재는 유년과 청년 시절을 보낸 부산 바닷가 풍경이었다

애수에 젖은 풍경들은 질퍽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어둡지만 서정적인 바다가 바로 이청운의 그림 세계다.

 

그가 아프기 전에 부산 청사포로 화실을 잠깐 옮긴 적이 있었다.

비릿한 바닷가 추억을 떠올리며 밑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그림의 완성도 보지 못한 채 병원에 입원하고 말았다.

 

그에게는 항상 10년이라는 변곡점이 따랐다.

병마와 싸운 지도 이제 10년이 가까워오니, 곧 일어날 것으로 믿는다.

 먼지 덮인 미완의 작품이 빛을 발할 날이 머지않을 것 같다.

 

지난 20일, '청운이형 병문안 가자'는 연락을 김명성씨로부터 받았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날씨에다 몸도 편치 않았지만, 누워만 있을 일은 아니었다.

코로나가 시작되며 가지 못했으니, 그를 본 지도 3년이 넘어 버렸다.

 

서울역에서 지하철을 두 번이나 갈아타 응암역에 내렸는데,

약속 장소인 서부경찰서 앞에는 김명성씨와 조해인씨가 먼저 와 있었다.

뒤이어 송상욱, 김영복, 전활철씨가 줄줄이 나타났다.

 

화실에는 부인 이상랑 여사가 기다리고 있었는데,

긴 세월동안 간병하느라 고생해서 그런지, 곱던 얼굴에 주름이 졌다.

대조적으로 이청운씨는 동자 같은 미소를 띠며 반갑다고 손을 흔들었다.

마치 양산박에 등장하는 무대의 모습이 연상되는 그런 표정이었다.

 

이청운 화백이 지병으로 자리에 누운 지도 어언 십 년이 가깝다.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이제 이청운 화백도 변할 때가 된 것 같다.

살신성인, 지극정성으로 보살핀 아내 덕이지만,

미완의 그림을 두고 눈감지 못하는 이화백의 절박함도 더 했다.

 지성이면 감천이란 말이 있듯, 어찌 하늘이 감동하지 않겠는가?

 

처음 병문안 갔을 때, ‘5년만 더 그릴 수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고 하소연 했는데,

소망을 이루고 싶은 집념에 십 년을 버텨낸 것 같다.

병상에 누워  곳곳에 걸린 미완의 그림을 바라보며 얼마나 많은 구상과 고민을 했겠는가?

이제 훌훌 털고 일어나 미완의 그림에 혼을 불어넣을 때다.

 

털고 일어나도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면, 구상한 것을 에이 아이가 완성케 하면 안될까?

 

어두운 잿빛 화실의 풍경 자체가 이청운의 오래된 자화상 같다.

이젤은 어두운 뒷골목에 버틴 전봇대 같기도 하고, 삽살개가 다리를 치켜든 정겨움도 연상되었다.

 

뒤 늦게 뮤지션 김상현씨가 등장했다.

그 역시 중병으로 투병하는 처지지만, 동병상련의 심정으로 힘들게 찾아온 것이다.

전에는 아코디온을 메고 와 셀브루의 우산을 연주했는데, 얼마나 애잔하고 슬펐는지 모른다.

그때가 생각났는지, 청운의 표정은 아쉬운 감이 역력했다.

평생을 음악과 함께 살아 온 상현씨 역시, 힘들어 악기를 가져오지 못한 심정이 어떻겠나?

 

물감이 짓이겨져 걸려 있는 팔레트 행렬도 정겹고,

이젤에 기대어 화가의 손길을 기다리는 등대 또한 얼마나 불을 밝히고 싶겠는가?

모든 게 정지된 풍경이지만, 그 자체가 이청운의 삶이고 색깔이었다.

 

김명성씨는 이청운 미완의 작품 전을 열겠다고 말하지만, 안쪽에 누운 이 화백 들을까 걱정되었다.

긴 세월 눈 감지 못한 이유가 뭔 데, 자존심 상하게 할 수는 없지 않은가? 

 

다들 화실에서 나왔지만 그냥 헤어질 수 없어, 서부경찰서 후문 쪽에 자리 잡은 마포나루로 갔다.

푸짐한 갖가지 해산물이 나왔는데, 인사동 낭인들 술자리에 어찌 소리가 없을소냐?

‘부용산’으로 시작한 음유시인 송상욱 선생의 흘러간 노래는 아련한 추억을 불러들였다.

 

'내 이름은 순이' 라는 노래인데, 가사 내용이 대폿집 작부의 신세타령이었다.

"내이름은 순이랍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에레나예요. 그냥 그냥 십팔번으로 통한답니다

술이 좋아 마신 술이 아니 랍니다. 괴로워서 마신 술에 내가 취해서 고향에 부모형제 내동생이 보고파 웁니다.

그 날밤 극장 앞에서 그 역전 캬바레에서 보았다는 뜬소문도 거짓이예요"

 

오랜만에 듣는 송상욱선생 노래도 흥겹지만, 술상 두드리는 젓가락 반주가 더 죽였다.

 

사진, / 조문호

 

 

 

 

노란 은행잎이 가을을 적신 지난 10일 오후, 종로 ‘수운회관’ 교당에서 김지하시인의 생애 첫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아우라지 미학의 길’, ‘수왕사’, ‘초미’ 등 세 권의 책을 펴낸 이번 출판기념회에는 그의 부인인 김영주 토지문화재단 이사장,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이인호 KBS 이사장, 조윤선 청와대 정무수석, 김동호 문화융성 위원장, 나선화 문화재청장, 국회의원 윤상현, 김종훈, 범시민단체연합회 이갑산대표, 이기택, 박세일, 이석연, 이거룡, 김영복씨 등 장안의 내놓라하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하여 넓은 교당을 가득 매웠다.

그러나 정작 보여야 할 김지하선생의 옛 동지들은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김지하시인은 극좌와 극우의 극복만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하셨지만, 아직은 요원한 꿈 인 듯하다.
그 날 축사에서 윤상현 국회의원은 우스개로 스스로 오적(五賊)에 해당되는 사람이라고 말했으나
많은 생각의 여운을 남기게 했다.

예술가는 정치와 돈 맛 알면 끝장이라고 생각해 왔다.
작가라면 김시인의 시제처럼 늘 ‘타는 목마름으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교당의 마당을 나오다 밟히는 은행잎이 처량했다.

사진/글 : 조문호

 

 

 

 

 

 

 

 

 

 

 

 

 

 

 

 

 

 

 

 

인사동의 음유시인 송상욱선생께서 마련한 “반야월선생 추모가요제”가
지난 13일 오후4시부터 인사동 ‘무다헌’에서 열렸습니다.

이 날 행사장에는 반야월선생 유족을 비롯해 원로시인 김남조선생, 김영복, 김의권씨 등
30여명이 참석하여 ‘무다헌’의 좌석을 메웠습니다.
뒤늦게 온 김명성씨는 앉을 좌석마저 없었습니다.

‘무다헌’ 주모 강고운 시인의 사회와 징 울림으로 시작된 가요제에서
송상욱선생은 ‘반야월선생님’이란 제목의 헌정시를 낭송하였고, 추모 춤판도 벌어졌습니다.
송상욱선생께서는 ‘세세년년’을 비롯한 반야월선생의
주옥같은 노래 10여곡이 불러 참석한 분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답니다.

 

 

 

 

 

 

 

 

 

 

 

 

 

 

 




통문관에서 “진품명품”까지 진출한 서지학자



문우서림대표
KBS"진품 명품" 감정위원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평모(소설가)  (0) 2013.03.11
박영현(시인.도예가)  (0) 2013.03.11
김의권(인테리어 디자이너)  (0) 2013.03.11
공윤희(사업가)  (0) 2013.03.11
강성수(사업가)  (0) 2013.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