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 너머: 강릉관노가면극

구본창展 / KOOBOHNCHANG / 具本昌 / photography 

 

2022_0602 ▶ 2022_0904 / 월요일 휴관

 

구본창_탈 너머: 강릉관노가면극展_강릉시립미술관_2022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강릉시립미술관 기획展

주최 / 강릉시

관람시간 / 09:00am~06:00pm / 월요일 휴관

 

 

강릉시립미술관

GANGNEUNG MUSEUM OF ART

강원도 강릉시 화부산로40번길 46(교동 904-14번지) 제2전시실

Tel. +82.(0)33.640.4271

www.gn.go.kr/mu

 

 

강릉시립미술관 기획전시 『구본창 – 탈 너머: 강릉관노가면극』展은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를 바꾼 사진작가 구본창의 「강릉관노가면극」 시리즈를 선보이는 전시다. 구본창은 독일 유학 후 1980년대 작업에서 사진 매체를 통해 조형성을 실험하며 예술의 표현방식을 확장하였다. 그는 2000년대 초반부터 '탈', '조선백자'와 같은 한국 고유의 소재를 특유의 회화적 기법으로 프레임 안에 담아내면서 세계적 작가로서 자리매김하였다.

 

구본창_강릉관노가면극 GNC 02 (양반광대, 소매각시)_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113×90cm_2002
구본창_강릉관노가면극 GN 13-1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113×90cm_2002

구본창의 「탈」 시리즈는 강릉관노가면극을 비롯하여 가산오광대, 양주별산대놀이, 하회탈놀이, 봉산탈춤 등 조선 연희극의 가면을 중심 소재로 다룬 작업으로, 주로 2000년대 초반에 촬영한 사진이다. 구본창은 「강릉관노가면극」 작품으로 2003년 강원다큐멘터리 작가상을 수상하였으며, 해외에서도 크게 주목받았다. 이번 전시는 기존에 알려진 작품 외에도 미공개 작품 19점 가량을 최초로 선보이며 「강릉관노가면극」 작품을 대거 감상할 수 있는 자리다. 관노가면극은 강릉단오제의 연희극의 탈로서 한국 전통 가면극 중에서 유일하게 대사가 없는 무언극이다. 극의 등장인물인 양반광대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그리고 장자마리의 가면과 몸짓에는 많은 이야기가 함축되어 있으며, 그만큼 이미지의 상징성이 강하다. 이러한 특징은 대상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구본창의 작업과 맞닿아 있다.

 

구본창_강릉관노가면극 GN 09 (장자마리)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113×90cm_2002
구본창_강릉관노가면극 GN 08 (시시딱딱이)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113×90cm_2003

구본창이 담아낸 강릉관노가면극의 장면은 본래의 극의 모습과는 다르다. 사진 속의 탈을 쓴 사람들은 그가 연출한 상황에 놓여 있다. 그 프레임은 관노가면극을 위해 작가가 깔아놓은 또 하나의 판인 셈이다. 탈의 이미지에 내재된 고뇌와 해학은 구본창 특유의 방식을 통해 드러난다. 그들은 어딘가 모르게 기괴하거나 어색하다. 특히 사진의 하단, 인물의 발 부분은 초점이 흐릿한데, 이 때문에 몸이 붕 떠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그의 사진은 익숙한 소재를 낯설게 만들어 초현실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사진은 다른 조형예술과 달리 사람이 발 딛은 현실에서 출발하는 매체이기 때문에 역으로 초현실적 감각을 담아내기에 가장 효과적이기도 하다. 그는 사진 매체의 역설적인 속성을 활용하여 탈이라는 소재 너머의 정신성에 주목한 것이다.

 

구본창_강릉관노가면극 GNC 13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39×58cm_2003
구본창_강릉관노가면극 GN 11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113×90cm_2003

또한 그의 「탈」 시리즈는 주로 흑백으로 인화된다. 이러한 형식은 소재를 기록하는 것이 아닌 내면세계를 투사하기 위함이다. 탈은 얼굴을 가리고 개인의 정체를 숨기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사회집단의 성향, 공동의 정신세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탈의 이미지는 그 자체로 무의식과 욕망에 대한 상징이다. 구본창은 탈이라는 문화의 근원적인 형태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구본창_탈 너머: 강릉관노가면극展_강릉시립미술관_2022
구본창_탈 너머: 강릉관노가면극展_강릉시립미술관_2022
구본창_탈 너머: 강릉관노가면극展_강릉시립미술관_2022

한편 이번 전시에서는 탈에 가려진 얼굴이 공개된다. '강릉관노가면'뿐 아니라 다른 '탈' 연작에서도 볼 수 없었던 모습이다. 그들은 당시 강릉관노가면극 보존회(現 강릉단오제 보존회 산하)의 회장을 비롯한 회원들이다. 구본창은 탈을 쓰는 사람을 일종의 박제품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존재로서 바라보았다. 감춰져 있었던 그들의 민낯은 탈의 본연의 기능을 강조하며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일깨운다. 또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지켜온 수많은 사람들과 그로 인한 유구한 역사를 상기시킨다.

 

오래된 것, 사라지는 것, 또는 감춰진 것에 대한 애틋한 시선은 그의 작업을 관통하는 주제다. 대상의 어떤 불완전한 속성은 그의 사진을 통해 영속성을 부여받고 온전한 지위를 갖게 된다. 한국 전통문화 유산의 미적 가치를 새로이 담아내고, 강릉의 지역성 및 역사성을 재해석한 구본창의 작품 「강릉관노가면극」은 한국 사진사의 업적이자, 강릉의 또 하나의 기념비로 남을 것이다. ■ 임은우

 

 

Vol.20220605e | 구본창展 / KOOBOHNCHANG / 具本昌 / photography

'눈빛출판사’에서 발행하는 시리즈 ‘눈빛사진가선’은 

한국인이 살아 온 삶의 흔적을 기록 표현한 사진집이다.

 

일관된 주제로 작업해 온 국내사진가들의 작품을 바탕으로

유 무명을 구분하지 않고 오로지 완성도와 작품성 위주로 만들어진다.

 

‘눈빛사진가선’은 이제 사진인들의 필독서로 자리매김하였다.

책이 안 팔리는 현실에 양성우의 ‘청춘길일’과 조문호 ‘청량리588’은

재판을 찍을 정도로 인기서적이 되었다.

 

1호로 나온 구본창씨의 'DMZ'가 2014년도에 출판되었으니,

7년 가까운 사이 무려 64권이 발행되었다.

‘눈빛사진가선’ 시리즈에 거는 출판사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한국사진계의 대표적 작가들이 망라된

‘눈빛사진가선’은 한국사진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지침서다.

 

그동안 한국사진가들이 외국 사진가들의 작품집을 구해보며

서구의 가치를 따라 배우기에 급급하였으나,

사라져가는 우리의 모습이나 현실은 뒷전이었던 게 사실이다.

 

그리고 아마추어 사진인의 의식전환도 절실한 시점이다.

아직도 사진작가협회에 가입하기 위해 공모전사진에 급급 하는가?

이 사진집 시리즈를 살펴본 후 자신의 진로를 개척해야 한다.

작품해설과 작가노트도 좋은 안내자 역할을 할 것이다.

판형이 작아 휴대하기도 편하지만, 가격도 12,000원이라 부담 없다.

 

독창적인 국내 사진가들의 작업을 통해

한국사진의 새로운 미학을 제시하는 ‘눈빛사진가선’에

많은 분들의 관심과 구독을 바랍니다.

 

글 / 조문호

 

ㆍ원로부터 신진 작가까지 주제가 있는 사진집… “사진, 편식하지 마세요”

 

이미지 가공이 범람하는 시대에 ‘기록과 재현’이라는 사진의 본질에 충실한 미공개 신작 중심의 사진집 ‘눈빛사진가선’ 1차분 10권이 출간됐다.

사진전문 출판사인 ‘눈빛’이 펴내는 ‘눈빛사진가선’은 원로부터 신진 작가까지 각자 일관된 주제 아래 작업한 작품 50여점을 싣고, 사진비평가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 필자들의 해설을 수록한다.

​1차분은 구본창의 ‘DMZ’(해설 신수진), 김금순의 ‘동해남부선’(이광수), 김문호의 ‘온 더 로드’(최옥정), 김병훈의 ‘산책이 그리운 이유·동물학’(진동선·박영택), 김지연의 ‘삼천원의 식사’(김영춘), 민병헌의 ‘잔설’(김화자), 변순철의 ‘전국노래자랑’(최범), 신은경의 ‘가마미해수욕장’(송수정), 임재천의 ‘소양호 속 품걸리’(강영숙), 임재천의 '소양호 속 품걸리'(강영숙), 전민조의 '손에 관한 명상’(미재 김원숙)이 나왔다.

눈빛의 이규상 대표는 “사진계가 디지털 사진문화의 거대 소비집단이 되고, 현대미술에 매몰돼버린 상황이지만 오늘도 사진 본질을 구현하는 열정적 작업을 하는 사진가들의 작품세계를 널리 알리고, 용기를 주고 싶다”며 “유명 사진가 몇명에게만 관심을 두는 대중의 ‘편식’을 변화시키는 데도 사진가선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사진출판의 어려움이 가중되지만 보다 많은 이들이 즐길 수 있도록 사진집 단가는 낮추고, 사진의 질적 수준은 높이려 했다”며 “사진가선이 향후 100권, 200권을 넘어서 한국 사진사의 1차 사료이자, 사진에 대한 개념과 사진미학의 재정립에도 이바지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각권 110쪽 내외·1만2000원.

 

[경향신문]


한국 아날로그의 현재

한국근대사진과 현대사진의 만남 Ⅱ展

2014_0110 ▶ 2014_0304 / 월요일 휴관


 

정해창_뒷모습여인_젤라틴 실버 프린트_1995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2014_0110 ▶ 2014_0128

참여작가 / 정해창_구본창

 

2014_0206 ▶ 2014_0304

참여작가 / 서순삼_민병헌

관람시간 / 11:00am~06:00pm / 월요일 휴관

 

 

트렁크갤러리

TRUNK GALLERY

서울 종로구 소격동 128-3번지Tel. +82.2.3210.1233

www.trunkgallery.com

 

2014년 트렁크갤러리는 이제 7주년을 맞는다. 앞만 바라보며 Contemporary Art 만으로 사진의 현재를 대변하겠다는 트렁크갤러리의 의지가, 오늘 여기에 이렇게 이르게 되었습니다. 지난 7년을 뒤돌아보면서 미술시장이 갖는 사진에 대한 편견과 몰이해에 도전하겠다는 그 의지의 미숙함에 스스로 부끄럽지만, 그 겁 없음으로서 오늘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아직 할 일들이 많아 기쁘게 생각한다. 2013년에 이어『한국 근대사진과 현대사진의 만남』展, 그 두 번째 전시를 또 진행하게 되었다.『한국 아날로그사진의 현재』라는 소주제로 사진 3세대, 구본창과 민병헌의 아날로그 프린트 사진전을 기획하였다. 한국미술시장에서 아날로그사진의 컬렉션문화, 그 싸늘함의 원인을 잘 모르지만 그래도 그 이유를 찾아내 보려 한다. 그 간 "Contemporary Art"로의 사진과 우리시대의 PhotoArtist들에 대한 지지와 지원만이 관심이었던 트렁크갤러리가 아날로그 프린트의 소중함을 호소하고 새롭게 관심을 모아보기 위해서다. 급속한 사진산업의 디지털 프로세스화된 오늘, 아날로그로 프린트된 여러 작가들의 작품들에 대한 소중함을 새롭게 일깨워 내는 것도 트렁크갤러리의 할 일 같아서다. 사진선배들의 Photo Art Work을 재조명 한다는 것, 우리시대의 아날로그 PhotoArt Work들을 선보인다는 것, 다시 말해 우리의 사진1세대와 사진2세대를 거처 사진3세대로 불리는 작가 두 분의 작품, 아직도 아날로그작업을 꾸준히 해 온 바로 사진3세대 두 분의 Art Work을 자랑하며 1세대와 3세대의 만남 전을 하려 한다. ● 어제는 오늘의 표본이다. 어제 없이 오늘을 이루어 낼 수 없었다는 것 그 것은 너무 당연한 생각이다. 그 것은 1세대사진가들이 당대에 어떠한 상황에서 작업해 왔는가를 살피며, 이제 3세대는 그들과 어떻게 다른 사유체계 갖고 있는지를 살피며 그 차이들을 비교해 보는 계기가 되기도 할 것 같아서 이다. 이 차이의 비교는 오늘의 과제를 새롭게 받아들이는데 또 다른 창의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들의 선배인 1세대들은 오늘에 비해 모든 것이 풍부하지 못하였지만 당대에 최대의 창의력 주체들 이였다. 부단한 노력으로 풍성하지는 못하나 극한 의 노력으로 해 낸 작업들일 것이다. 그런데 그 작품들이 제대로 보존되어지지 못해 겨우 일부만의 유작이 보존되어 있다는 것만을 다행으로 감사 할 뿐이며, 또 그 시대 창작활동이 어떠했나를 감지 해볼 수 있다. 그리고 지금도 미처 인식하지 못해 오늘의 컬렉션문화에서 소외 되어지고 있는 아날로그사진 그 Photo Art Work들을 자랑하고 싶다. 우리의 근대사가 복잡했었기에 1세대의 작업이 잘 보존되지 못 했음을 반성하며 아날로그사진들을 위한 보존의 소중함을 더더욱 강조하며 컬렉션문화에 새로운 과제, 바로 "한국 아날로그사진의 현재"가 바르게 소통되어지기를 희망 한다. ● 오늘 사진산업은 아날로그사진을 위한 모든 미디어들이 완벽하게 무너져 가고 있다. 필름도, 인화지도 그리고 약품들까지 그 생산이 미미하다. 우리들에게 오늘의 디지털이미지시대를 가능하게 한 바로 그 아날로그이미지로의 미디어들에 대해 감사와 예찬을 말 해 보지도 못한 체 묻혀버릴 것만 같아 트렁크갤러리는 할 수 있는 최선을 다 할 생각이다. 한국의 모던한 Photo Artwork들이 아직도 각 작가들의 Photo Box에서 깊은 잠을 자고 있다. 참으로 안타깝다. 세계적 옥션들에서는 아날로그사진의 컬렉션이 활발하다. 그런데 우리 미술시장의 컬렉터들은 잠잠하다. 이해가 부족해서 인지 반응이 너무 냉랭하다. 수공이미지로의 회화에 대응해 발명된 화학이미지로의 아날로그사진, 그에 대한 예찬이 있어야 마땅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갈 길, 그 앞이 안보인다. "한국 아날로그사진의 현재"라는 전시는 그래서 또 다른 도전이 된다. ● 트렁크갤러리는 2013년 1월에 민충식과 현일영에 강운구와 주명덕을 조우 시켜내었다. 한국사진 1세대가 어떤 2세대를 배출 해 냈었나를 살폈던 것 이다. 이제 2014년 1월은 정해창과 구본창의 "정물"에 대한 사유의 비교와 작업의 형식차이를 살펴볼 수 있고, 2월은 서순삼과 민병헌의 '누드'에서도 역시 서로 다른 두 세대가 여성의 몸에 대하는 사유와 작업의 형식의 비교는 매우 흥미로울 것이다. 사진작품을 아직도 아날로그프린트를 고수하는 작가 구본창과 민병헌은 작업의 본질, 내용과 이미지로의 효과를 위해서 아날로그 인화지가 주는 그 깊은 맛을 포기할 수 없다고 고집한다. 이 작가가 작품을 통해 전하고 져 하는 '멋'을 그래서 더 자랑하고 싶다. 지금 오늘의 현실에서 너무나 귀한 아날로그사진. 그 컬렉션에 대한 바른 질문을 유도하려는 의도에서 이기도 하다. ■ 박영숙

 

 

구본창_Breath 01_젤라틴 실버 프린트_1995

 

 

구본창_Object 07-1-C_젤라틴 실버 프린트_2004

 

2014 / 01. 정해창 : 구본창의 '정물'사진 조우 ● 트렁크갤러리에서 2014년 1월전으로는 정해창의「인형의꿈 (1),(2)」그리고「정물 (1),(2)」를, 구본창의「정물」시리즈를 조우시켜 내려 한다. 정물이란 본래 한 개인이 한 사물에 대한 사유에서 시작된다. 작가가 그 오브제에서 느끼게 되는 어떤 상징적 너레이티브를 읽어 내어, 그 이야기를 이미지로 표현 해 내고 싶은 충동이 곧 '정물'작업이다. 그 대상과의 사유에서 말 하지 않는 대상의 이야기를 들여다 보는 작가가 있는가 하면, 또 다르게는 작가의 정신세계나 은밀한 내면세계를 반영하듯 그 작가와 작품이 등가적으로 느껴지는 은밀함이 정물사진의 큰 묘미로 흥미로운 지점이다. 우리민화들에서 활용되는 오브제들은 기원의 상징체계로 이미 깊게 자리 맥임 하고 있음도 미학적 관점에서 받아드릴 수 있어 '정물'작업의 본질을 읽게 한다. "...예술사진 운동시대(1920~1940)의 작가 정해창의 작업은 "우리문화가 온통 외래문화홍수에 허우적 거릴 때 사진을 통해서 진정 우리체질에 맞는 아름다움이 무엇인가를 실험하고 표현하려 애썼다..." (박주석, 새롭게 태어난 근대작가 5인의 사진세계 한미출판 글에서) ● 정해창의 "인형의 꿈"은 그 시대의 불가능을 가능으로 읽어내려 한 정해창의 꿈, 그 것 이었다 싶다. 반면 구본창의 '정물' 시리즈는 그가 유럽유학시절 만났던 벼룩시장의 오브제들로 작가의 정서, 또는 그 감각반응을 읽어내게 한다. 작가 만의 내면세계, 그 비밀스러운 세계를 캐어 내 볼 수 있어 더욱 흥미로울 수 있어 즐겁다. "죽음 앞에 힘겨워하시는 아버지의 모습을 지켜보며 '숨'이라는 단어를 떠 올렸다. 나는 사멸 될 수 밖에 없는 모든 것들을 기리며, 이 시리즈를 제작했다. 스페인 여행 중 벼룩시장에서 우연히 발견한 시계, 망가진 시계이지만 그 가냘픈 시계바늘이 내 시선을 끌었다." (구본창)

 

서순삼_누드_젤라틴 실버 프린트_1950년대

 

2014 / 02. 서순삼 : 민병헌의 '누드'사진 조우 ● 서순삼 선생님은 1903년 생으로 1928년 평양사진조합을 창설하고 서울에 결성된 경성사지협회의 회원들과 교류를 활발히 했었다. 1930년에 평양에서 개인전을 한, 그는 정해창 다음으로 그 시대에 개인전을 한 작가였다. "많은 작품이 지금 보존 되어지지 못해, 다양한 작품을 볼 수 없어 안타깝다. 릴리프기법 또는 고무인화기법, 브롬오일 인화들 다양한 사진기법적 실험을 많이 한 작가로 직업적으로는 저널리즘을 추구하였지만 예술사진에 많은 실험들을 한 기록이 남아있고, 그의 작품세계를 대변하는 이곳 저곳에서 발견되어 서순삼의 작품세계를 대변하고 있다..." (박주석, 새롭게 태어난 근대작가 5인의 사진세계 한미출판 글에서) ● 서순삼의 '누드'와 민병헌의 '누드' 그 조우는 또 다른 차원, 사진예술에 대한 그 맥락은 다양하다. '누드'란 남성사진가들이 제일 좋아하는 작품 소제이다. 여성을 대상화 한 오브제로의 전통 또한 회화에서나 사진에서 그 양상은 다양 하다. 여성의 몸이 벗겨진다는 것은 남성들에게는 섹스에 대한 호기심에 기초하여 발생하기에 그 형식도 서로 차이가 많다.

 

민병헌_74MG187 BHM_젤라틴 실버 프린트_2010

 

민병헌_MG247 BHM_젤라틴 실버 프린트_2010

 

그런데 오늘날에는 여성의 몸, 그 것, 몸이라고 하는 대상은 같지만 'Nude' 와 'Naked'의 언어적 개념은 미학적 차이를 크게 다른 맥락으로 읽게 한다. "누드(Nude)"가 여성의 몸을 대상화 한, Sexuality와 관계 맺고 있다면. 옷을 벗은 '여체' "Naked Bod"는 Sexuality 와 관계 맺기 보다는, 몸을 통한 성 정체성이거나 정신에 대한 육체를 말하려 하는 몸, 그 몸 담론의 장 으로의 기능하는 미학적 태도로 읽히게 하는 그 차이가 크다. 두 사진가 '서순삼'의 '누드'는 다분히 여체를 탐하는 남성의 시각이 분명한데 비해, '민병헌'의 '누드'는 여체의 조형성과 그 몸에서 묻어나는 표현의 수단, 몸을 통한 감성적 표현에 호소함이 더 강하다. "...민병헌의 '누드'는 신체가 아니라 피부가 중요하다. 피부가 대지처럼 펼처져 있거나 공기처럼 흐르고 있는 사이사이에 체모나 유두가 자리하고 있다. 섬세한 피부의 질감이 더 잘 보이도록 톤을 조율했다..." (박영택, 열화당 출간 민병헌 책 글에서) ● 두 작가의 삶의 시대가 다르므로 여체에 대한 관심과 여체를 통해 표현되어짐의 그 차이가 우리들의 사유체계와 사유의 실체로 들어나, 그 다른 지점을 만날 수 있어 참 좋은 조우의 표본이었다. 두 작가 모두가 여성을 생각하는 방식, 그 여성의 몸을 다르게 읽는 차이에서 'Nude' 와 'Naked'의 그 차이를 밝힐 수 있는 이 기회 또한 좋았다. ■

      

Vol.20140110e | 한국 아날로그의 현재-한국근대사진과 현대사진의 만남 Ⅱ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