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사람들이 한 달에 한번 만나는 지난 셋째 수요일은 봄비가 부슬부슬 내려 술 맛 나게 만들었다.

그 전날은 이청운 화백 문병 온 울산의 오세필씨를 만나 한 잔했는데,

사람 핑계에다 날씨 핑계까지 대며 매일같이 술 마실 핑계를 찾는다.




먼저 이명희씨가 출연하는 ‘기타리스트’ 리허설 사진 찍으러 갔으나,

인사동에서 죽치고 있을 오세필씨 생각에 리허설이 끝나자 바로 달려갔다.

서울 온 김에 셋째 수요일의 만남에 함께하려는 마음이 얼마나 고마운지...




인사동 ‘시골밥상’으로 갔더니 무용가 이재은씨 내외와 저녁식사를 하고 있었다.
이재은씨 내외는 너무 오랜만의 만남이었다. 한 때는 정선 만지산 작업실까지 온 적이 있었다.

근황을 물었더니, 토종씨앗 지키는 일에 몸 바치고 있단다.

토종 씨앗을 파종한 마을을 찾아다니며 잘 자라도록 춤도 춘다는데, 기회가 되면 한 번 보고 싶어졌다.




좀 있으니 정영신, 공윤희씨가 나타나 ‘유목민’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손님을 젊은 층으로 바꾼다는 전활철씨의 이야기를 들은 바 있지만, 다들 아는 장소라 들릴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만나는 장소를 어디로 정해야 할지 걱정스러웠다.




생태탕이 맛있는 ‘부산식당’이 좋겠지만, 수요일엔 전시뒤풀이가 많아 앉을 자리가 없다.

그리고 ‘풍류사랑’은 골목 깊숙이 있어 오가며 들리기가 까다로워 들어가는 초입에 있는

‘사동집’과 ‘풍류사랑’ 두 곳을 연계하면 어떨까 생각되었다.

여러 사람의 의견을 집약해 보기로 했는데, ‘유목민’에는 윤강욱, 김기영씨 일행이 자리잡고 있었다.




좀 있으니, ‘나무화랑’에서 열린 강행복씨 오프닝에 참석한 분들이 줄줄이 들어왔다.
강행복씨를 비롯하여 김진하, 손기환, 홍성미, 이태호, 김 구, 한상진씨가 나타났고,

나중에는 장경호, 안완규, 김윤기, 박세라씨도 왔다.
그런데 좀처럼 빠지지 않는 김명성씨와 이인섭선생이 보이지 않았다.




그 날의 술상 안주는 화가 손연칠씨였다.

얼마 전 ‘서울문화투데이’에 인터뷰기사가 실렸는데, 문화대상을 수상했다는 것이다.

축배라도 들어야 할 것 같아, 오세필씨가 전화로 왜 나오지 않았냐고 추궁을 했다.

그 또한 나처럼 미투의 언저리를 들락거리지만, 별 탈 없는 요시찰 인물이다.




술이 취하니 피로가 몰려와 먼저 일어났는데. 정영신씨 했던 말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내일은 오늘 못 가본 강행복씨 전시와 사진전 오프닝 두 군데 가려면 바쁘게 되었다는 걱정에 돌아 온 말이다.

“누구를 위해 사냐? 제발 스스로를 위해 살아라”

사진, 글 / 조문호












인사동 ‘나무화랑’에서 한상진씨의 드로잉전 ‘스침’이 열리고 있다.
먹물로 사물의 스침을 표현한 한상진씨의 드로잉 작업은 앙상하게 마른 낙엽처럼, 부서질 듯 애잔하다.
좀처럼 눈길 받지 못하는 하잘 것 없는 사물을 통해 현대인의 고독감이나 소외감을 말하고 있다.
특히 쓸쓸한 한기를 끌어내는 담백한 표현이 압권이다.
작가는 “사물과 나, 풍경과 나 사이에 틈입한 찰나의 촉감‘이라 적고 있다.
3,27일까지 연장 전시되니, 놓치지 말고 관람하기 바란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