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경展 / LEEMEKYEOUNG / 李美京 / painting

2015_1230 ▶ 2016_0124

화요일,1월1일 휴관



이미경_감나무집가게_종이에 아크릴잉크 펜_72×91cm_2015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30628f | 이미경展으로 갑니다.

이미경 홈페이지_www.leemk.com


초대일시 / 2016_0106_수요일_05:00pm

관람시간 / 10:30am~06:30pm / 화요일,1월1일 휴관


통인옥션갤러리

TONG-IN Auction Gallery

서울 종로구 관훈동 16번지(인사동길 32) 통인빌딩 5층

Tel. +82.2.733.4867

www.tongingallery.com



구멍가게, 모성(母性), 소꿉놀이 - 유년 시절의 기억 ● 누군가는 자연 속에서 사시사철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그렇게 늙어 가는 존재로, 또 다른 이에게는 햇살 가득한 추억을 떠올리게 했던 구멍가게는 내가 20여년 동안 그려왔던 소재였다. 구멍가게는 나의 삶을 반영하는 정신적 기둥이자 버팀목이었다. 이 시대를 대변해주는 소통의 장(場)이었고 아날로그적 감성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SNS와 스마트폰의 첨단 기능들, 마천루가 즐비한 도심 지역의 대형마트의 확산과 과소비문화 등을 논하지 않더라도 불과 몇 십 년 전의 향수를 가져다주는 "그땐 그랬지" 하는 드라마 같은 이야기의 중심에 항상 구멍가게가 있었다. 퇴촌 작업실에서 우연히 관음리가게를 그리게 되면서부터 전국을 돌며 가게를 찾아 다녔다. 혹시나 사라져 버릴지도 몰라 애태우기도 하고 이미 흔적도 없이 폐허가 되어버린 재개발 지역을 지나칠 때도 있었다. 그래도 가끔 반평생을 지켜온 구멍가게에서 반갑게 맞아주시던 어르신도 있었다. 요즈음도 아직 남아있는 가게를 계속 찾아다니며 가게의 조형적 구조와 그 주변에 넓은 마당, 장독대, 텅 빈 의자, 자전거, 빨간 우체통, 돌 담벼락, 전봇대와 어우러진 나무들이 계절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느끼곤 한다. 오래되어 다소 빛바랜 구멍가게의 색감을 표현할 수 있는 색상 아크릴 펜을 선택하여 날카로운 선을 차곡차곡 쌓아가며 기품있게 나타낼 수 있었기에 내게 작업량과 작업속도는 무의미 하였다.



이미경_봄날가게_종이에 아크릴잉크 펜_100×100cm_2015



청송상회, 장자상회, 유림상회, 하팔상회, 대화슈퍼, 유구슈퍼, 내법리에서, 해남에서 등 등 많은 가게를 그렸다. 새벽과 으스름한 해질녘의 정취를 그린 작품보다는 따스한 정((情)을 머금은 한낮의 가게풍경작품이 대부분이었다. 그 외에도 정거장, 가족, 목마, 꽃가게, 인형들도 종종 그렸다. 마치 기억의 소풍을 가듯 구멍가게를 찾아다니며 그렸고 그 기억을 공유했으면 하는 바램도 있었고 또 내 작품이 일상에 쫒기는 우리들에게 조금이나마 힐링의 여유를 주었으면 하면서 작업을 하였다. ● 그러한 작업의 연장선에서 나 어릴 적에, 엄마의 보물상자, 사랑 등이 구멍가게 안에서 이루어질 것 같은 포근한 소재의 연결고리가 되었다. 그것은 모성(母性)이었다. 엄마의 품 같은 작업이 시작되었다. 차가운 밤공기를 마시며 집으로 돌아온 가족을 위해 이불속에 묻어둔 공기밥, 헤진 옷가지를 곱게 기워줄 엄마의 반짇고리, 사랑으로 덮어둔 밥상보를 그렸다. 어느 장인이 솜씨 좋게 손수 깍고 다듬은 목마 인형을 그릴 때도 나를 보는 것 같아 좋았고 어떤 형식으로든 공감할 수 있는 테마이었기에 작업하는 동안 내 자신도 행복했었다.


이미경_나어릴적에 201510_종이에 아크릴잉크 펜_50×100cm_2015


얼마 전부터 구멍가게 밖에서 놀던 어린시절의 내 모습이 아른거렸다. 마법처럼 유년의 일들을 떠올려보며 혼자 웃기도 하고 상념에 젖어 보기도 한다. 돌이켜보면 그 시간들이 그립다. 지금은 영화 박하사탕 촬영지로 유명한 공전역 부근 애련리 두메산골에서의 내 유일한 놀이는 소꿉장난이었다. 내가 가지고 놀았던 비밀상자안의 완구용 자동차나 외국 잡지를 접어 만든 딱지, 주사위, 고장난 손목시계 등의 사물들이 구체적으로 눈앞에 펼쳐진다. 소꿉장난을 할 때면 잘생긴 돌맹이, 병뚜껑, 구슬, 꿩 깃털, 나무열매, 이름 모를 들꽃, 들풀 등을 이리저리 배치하고 조합하면서 그것들을 병에 담기도 하고 붉은 벽돌 조각을 갈아 고춧가루를 만들어 보기도하고 호박꽃을 잘라 계란말이를 만들고 수저는 밤쭉정이에 나뭇가지를 꽂아 만들고 진수성찬을 차려 하루를 보내곤 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친구들이라도 있었으면 숨바꼭질, 고무줄놀이, 그림자밟기 등 함께 하는 놀이를 했을텐데 그저 혼자 하는 놀이에 익숙해져야만 했다. 그래서인지 그냥 단순히 장난스런 유희적 행위에 그치지 않고 조그마한 사물들을 섬세하게 정리하고 소중하게 다뤘었다. 지나가는 행인의 발길질에 채이지 않게 소중하게 간직한 물건들이 내 의식 속에 하나 둘 각인되어 연상되어진다. 그 놀이의 경험과 보물같은 소품들이 내 작품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흙 묻은 손으로 애틋하게 다뤘던 사물들을 그리며 순수하고 행복했던 시절을 다시금 되돌아 보게 되었다. 우연히 세월의 먼지가 쌓인 낡은 기억의 상자를 연 순간, 그때 그 시절 그리운 사람들이 시공을 넘어 달려 올 것 같다.


이미경_엄마의 보물상자 201505_종이에 아크릴잉크 펜_50×50cm_2015


이번 전시에서는 구멍가게와 함께 내 유년시절 기억들을 그린 소꿉장난 작품 몇 점을 선보인다. 온갖 잡동사니가 담긴 상자를 연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내가 애지중지하였던 소품들이 동서고금의 현자(賢者)들의 말이나 글에 뒤엉켜 다시 한 번 나를 일깨워줬으면 한다. (2015. 12.) ■ 이미경


이미경_사랑 20150505_종이에 아크릴잉크 펜_50×50cm_2015


Vol.20151230e | 이미경展 / LEEMEKYEOUNG / 李美京 / painting



서양화가 김근중씨의 NATURAL BEING展 "꽃, 이전-이후" 가 3월4일부터 오는 3월29일까지 인사동 '통인옥션갤러리'에서 열린다.

 

지난 3월4일 오후5시에 열린 오프닝 파티에는 작가 김근중씨를 비롯하여 통인가게 김완규회장, 이계선관장 등 몇몇 분이 참석하여 전시를 축하했다.

 

김근중씨는 꽃을 소재로하여 치열하고도 지독한 회화적 묘사력을 구현해 왔다. 전통 화조화와 민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의 모란꽃은 실제의 모란꽃이 아니다. 그의 모란은 마음속에 있는 꽃, 꽃이지만 꽃이 아닌 환영적 존재다. 단순한 모란꽃이 아닌 자연적 존재 Natural Being’이다.

 

그는 "그동안 천착해온 모란에 대한 재해석이 꽃 이후라고 한다면, 꽃 이전은 항상 내 안에 있지만 은폐되어 있기에 알 수 없고 드러날 수도 없는 것들에 대한 표현이다라고 한다. 모란꽃 자체가 연상시키는 욕망과 화사함의 세계를 꽃 이후의 세계, 그리고 꽃의 근원, 뿌리, 씨앗, 생명을 담고 있는 세계를 꽃 이전의 세계로 간주해 자연과의 합일 또는, 인간의 지성과 인간 본성의 근원을 찾으려는 그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근원 김양동 초대전


일시 : 2014. 2. 5- 3. 2
장소 : 통인옥션갤러리

 

 

 

 

 

 

 

 

 

 

빛의 언어 : 김양동론

생명력은 아름다움 이전의 원초적인 미의식이다. 선사시대 암각화는 생명력으로 가득 차 있다. 이들은 붓으로 쓴 조형이 아니라 쪼고 갈고 새긴 조형이다. 모필의 필획 이전에는 돌과 칼의 새김(刻)이 표현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김양동은 이러한 새김의 원초성과 그것이 내뿜는 생명력을 화폭에 거침없이 풀어 놓았다. 그는 원래 모필로 글씨를 쓰는 서예가이자 돌에 칼로 문자를 새기는 전각가 이다. 그가 젊어서부터 익히고 섭렵한 것은 부드러움에서 강함까지 무궁한 모필의 변주를 향유하는 세계이다. 모필이 부드럽기는 봄누에가 비단실을 토하는 것과 같고 강하기로는 도끼와 같다고 했다. 어느 날 그는 폭넓은 스펙트럼을 갖는 모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변화가 적고 단순하지만 보다 원형적이고 본질적인 조형을 찾아 나섰다. 그것이 바로 이른 시기 미술에 보이는 ‘새김의 선’이다. 그 선은 모필이 표현해내지 못하는, 우리의 마음 깊이 감추어진 본성에서 이끌어낸 질박한 이미지다. 도대체 무엇이 그를 모필의 세계에서 새김의 세계로 이끌고 나온 것인가? 그는 선의 원형, 더 나아가 생명력의 근원이 무엇인가를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인문학적인 호기심으로 가득 찬 그는 선의 비밀을 엉킨 실타래를 풀듯 하나둘씩 풀어나갔다.

미술평론가 최병식 경희대 교수

전통에 대한 입체적인 현대성의 구현, 문자와 그림, 조각의 일체, 불교미술의 창조적 재해석 등 노작들에서 당대 미술의 정체성에 대한 수많은 논의들에 대응하는 그만의 독자성과 가능성이 제시됐다.

 

 

 

 

 

 

 

 

 


김양동씨는 한국미술협회 서예분과위원장, 문화관광부 문화재 전문위원, 대구민학회 초대회장, 계명대 미술대학 학장 등을 지내고 현재 계명대 석좌교수로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