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인사마당 공영주차장이 있는 인사동11길로 들어서면

‘토포하우스’와 ‘관훈미술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아리수’. ‘갤러리 The K’, ‘아라아트’ 등 여러 전시장이 나온다.

 

그 골목에는 ‘부산식당’과 ‘메밀란’, ‘초당’ 등의 술집과 찻집도 있다.

‘초당’ 맞은편에 있는 담쟁이 건물은 오래전 아지트처럼 들락거린 곳이었다.

‘일광칼라’와 ‘꽃나라’ 흑백현상소가 있던 곳인데, 사우들이 자주 들려 어울리기 딱 좋았다.

 

‘꽃나라’현상소가 충무로로 옮기며 자연스레 발길이 끊겼는데,

그 뒤 ‘목인박물관’이 들어서며 전시 보러 간 기억들만 남았다.

한 동안 빈집으로 남아 궁금했는데, 엊그제 지나치다 보니

‘담쟁이집’이라는 간판을 단 찻집이 문을 열었더라.

 

담쟁이넝쿨이 뒤덮인 뒷 건물과 길가의 1층 전시장과 연결되어 공간이 넓었다.

옛 건물을 활용하여 꾸며 놓았는데, 몰랐던 옥상 공간도 있었다.

 

옥상에서 내려다보니 공영주차장과 ‘아라아트’ 건물이 정면으로 보이는데,

오래된 기와지붕에 천막을 기와로 눌러놓았는데, 마치 판자촌을 보는 것 같았다.

눈에 자주 보이는 곳 같았으면 저렇게 둘까싶다.

 

전염병 때문에 장사가 되지않는데다 알려지지도 않았으니 손님이 많을리가 없다.

손님이 없어 그런지 주인도 종업원도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커피 한 잔 못 마시고 그냥 나왔지만, 걱정스러웠다.

이제 ‘담쟁이집’의 운명은 커피 맛이 결정할 것 같다.

 

그 맞은편에 있는 ‘아라아트’는 한 층이 100평이 넘는

9개 층 전관에 전시가 한 건도 없었다.

오죽했으면 주차공간이래야 자동차 다섯 대 남짓 들어갈 수 있는

좁은 공간에 유료 주차 안내판을 붙여 놓았겠는가?

 

중국자본이 점유한 건물이라 쉽게 망하지는 않겠지만, 한 달 관리비만도 상당할 것이다.

때로는 초대전도 열고 때로는 대관료 활인도 해주며 좋은 전시를 계속 유치하여 끌어 모아야 하는데,

정해놓은 대관료만 고집하니 될 수가 있겠는가?

 

돈 좋아하는 중국 사람이라지만, 전략도 융통성도 없었다.

하기야! 버티기만 하면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지 내려가진 않을테니까...

인사동 문예부흥을 위해 세운 ‘아라아트’의 몰락에서 인사동의 현실을 본다.

 

사진, 글 / 조문호

 




지난 4일 강민선생님이 병원에 입원하셨다는 소식에 정영신씨와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으로 문병 갔다.

병원 휴게실에는 달마선생 내외 분과 정승재교수, 서정란씨 등 여러 명의 문인들이 먼저 와 계셨다.

소설가 김승환선생은 먼저 다녀가셨고, 맹문제교수도 오실 것이라고 했다.






어디가 편찮은지 궁금해 “선생님 병명이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더니, 상사병이라고 대답하셨다.

다들 웃기에 먼저가신 사모님이 그리워 생긴 우울증 쯤으로 가볍게 여겼는데,

선생님 몰래 전해준 서정란씨의 이야기로는 심각한 상태라고 했다.

암이 곳곳에 전이되어 병원에서 손을 쓸 수 없는 상태라고 한다.





의사선생으로부터 처음 검사결과를 들었을 때는 선생님께서도 당황하셨으나, 모든 걸 내려놓았는지 여유롭게 웃으셨다.

더 가슴 아픈 것은 오래 전 입원하셨을 때, 병의 위중함을 아셨으나 병원비가 없어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해 둔 것이다.

그 끔찍한 고통을 혼자 감수하며 틈틈이 인사동에 나와 주변사람들을 걱정하신 것을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질 듯 아팠다.

무슨 말로 위안 드려야 할지 막막했으나, 내일이면 호스피스병원으로 옮긴다니 눈앞이 더 캄캄했다.






늦게 오실 분을 맞으려면 피곤하실 것 같아 병실 침대에 눕는 것을 보고 돌아왔는데, 이제 인사동도 끝장이란 생각이 들었다.

언젠가 한 번은 떠나야 할 길이지만, 불 꺼진 인사동을 생각하니 한 숨이 절로 나왔다.

인사동을 사랑하는 사람은 많으나, 선생처럼 온 몸으로 사랑하신 분은 없었다.

터줏대감이며 친구였던 심우성선생도 떠나시고, 이제 선생님까지 떠나신다면 누가 인사동을 지킬 것이란 말인가?






강민 선생의 시 ‘인사동 아리랑2’ 황혼 편을 다시 읽어보자.

“붐비는 인파 속에도
내가 찾는 이는 없다
오늘도 인사동 걷기는 허전하다
추억처럼 불빛이 켜지고 있다
열이 오르며 목이 마르다
잃어버린 불모의 사랑이 허공을 맴 돈다
어딘가 전화라도 걸까
눈시울만 시큰할 뿐
휴대전화를 만지는 손가락은 뻣뻣이 움직이지 않는다
종로 쪽 멀리 남산이 다가오고
차츰 어둠의 장막도 깔린다.
나 이제 또 어디론가 돌아가야 하리
그이의 아지트였던 찻집<보리수>도 없어졌다
진공의 거리
어디선가 그리운 이들 목소리 들리는 것 같다
돌아가리
돌아가리
그런데 이 끝없는 외로움은 무엇인가
풀리지 않는 눈물의 의미와 그리움은 무엇인가
기다리고 있을 밤의 공동(空洞)이 두렵다“





외로움과 그리움이 절절한 선생님의 시에 눈물이 절로 난다.





인사동으로 돌아와 약속한 공윤희씨를 만났다.
시간이 맞지 않아 함께 병문안드리지 못함을 애석해 하며,‘메밀란’으로 갔다.
그 자리는 ‘산타페’가 있던 자리인데, 돌아가신 여운 화백의 아지트가 아니던가?






그리고 맞은 편 잡초만 무성한 ‘목인박물관’은 흑백현상소 ‘꽃나라’가 있던 자리다.
‘꽃나라’를 운영하던 신작가도 여운화백도 다 떠나버린 인사동이 더욱 낯설기만하다.






다행스럽게 찻집 ‘초당’은 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초당보살 또한 건강이 좋지 않아 늦게 나오고 일찍 들어간다고 했다.
그렇게 한 사람 두 사람 떠나가고, 나 또한 떠나가리라.



사진, 글 / 조문호
























 

 

'초당'은 손님을 받을 수 있는 테이블이 세 개 뿐인 인사동에서 가장 조그만 찻집이다.
최정해 보살이 30여 년 동안 지켜 온 이곳은 인사동의 온갖 사연이나, 인사동을 드나드는

사람들의 많은 뒷이야기를 담고 있어, 인사동 인문학의 보물창고나 마찬가지다.

한 때는 '초당'과 쌍벽을 이루던 '수희재'도 있었으나 아쉽게도 몇 년 전 문을 닫고 말았다.

'초당'은 많은 손님을 수용할 수도 없지만 조용한 분위기를 헤칠까봐  알려지는 것 자체를 조심스러워 했다.

그러나 전통 차를 즐기는 메니아들의 요청을 거절할 수 없었음을 양해 바란다.

이 찻집의 특징은 4-5가지 차를 코스로 끓여 낸다는데 있다.
술 마신 다음날 마시면 좋다는 홍삼말차 코스,

으슬으슬 몸살기운이 있을 때는 여섯 번 끓여 낸 쌍화차와 편강이 특효다.

목감기나 기관지염에는 오미자차와 석죽차가 좋고,

거칠어진 피부를 부드럽게 하려면 백련잎차를 맛보라.

그리고 추위나 스트레스를 날리려면 솔 바람차가 적격이란다.

그 외에도 구절초 꽃차를 비롯한 다양한 차들이 있으나,

차를 달여 내는 방법이나 정성이 다른 가게와는 확연히 다르다.

무쇠화로와 맥반석주전자로 끓여내는 초겨울의 한방차효험은 보약에 버금간다고 한다.

찻값은 10,000원, 15,000원, 20,000원 등 세 종류가 있다.

가격이 만만찮은 데다 카드결재가 안 된다는 것도 유념해야 한다.

위치도 마음먹고 찾아가지 않으면 눈에 띄기 어려운 곳에 숨어있다.

조계사 맞은 편 골목으로 들어가면 서인사마당주차장이 나온다.

그 옆에 '목인박물관'이 있는데, 그 박물관의 정문 옆 건물 1층에 자리하고 있다.

인사동을 드나드는 문화계인사나 스님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분위기 또한 조그만 법당에 들어 온 듯 고적하다.

지난 18일, 우연히 방문한 '초당'에는 사천의 철오스님과 자혜등 보살이 차를 마시고 있었다.

차 이야기를 하고 있던 초당보살이  몇 년 만에 들린 나의 무정한 발길에 화들짝 놀란 것이다.

'초당'벽에는 20년 전 걸어 준 나의 '사천왕상' 사진이 아직도 걸려있었다.

사실 '초당'은 가난한 사람들이 들리기는 다소 부담스러운 집이다. 

싸구려 좌판기 커피 맛에 길들여져, 전통차를 좋아하지 않는것도 들리지 않은 원인이었다.

손님만 없었더라면 단골손님들과 초당보살의 근황에 대해 묻고 싶은 것이 많았으나,

이름도 성도 모르는 차만 마시고 나와야 했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