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택사업 등 개발이익 분석 결과 발표
참여연대 “윤석열 정부식 민간주도 개발 추진 안 돼”

27일 오전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열린 ‘공공주택사업 및 도심복합개발사업 개발이익 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뉴스클레임]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을 미간 개발시 토지주 개발 이익은 최대 10배로 확대되는 반면, 공공임대 환수 규모는 8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참여연대는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자동 쪽방촌, 공공·민간 개발방식별 개발이익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동자동 쪽방촌 사업은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공공주택지구 사업이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8월 민간 도심복합개발사업 추진을 예고했다.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은 ‘도심 복합개발 지원에 관한 법’ 제정안을 발의했다. 여기에 정부는 오는 11월까지 도심복합사업 후보지의 토지소유자 동의유을 재조사해 동의율이 30% 미만인 사업장에 대해 후보지에서 철회하겠다는 계획이다.

참여연대는 사실상 공공 주도의 사업을 취소하고 민간 개발사업으로 넘기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박현근 변호사는 “쪽방 주민들과 공공임대주택 수요를 충족하려면 동자동 쪽방촌 개발사업은 전체 공급 주택 수의 50% 이상을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부가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기한을 넘겨 차일피일 미루는 동안 토지주들이 민간 개발사업으로 변경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민간 도심복합개발사업으로 전환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동자동 쪽방촌 개발이익 분석 조건. 사진=참여연대

동자동 쪽방촌이 민간 주도로 개발될 경우 땅주인이 개발이익을 독식하는 상황이 초래된다는 분석결과도 발표됐다. 참여연대는 기존 계획대로 동자동 쪽방촌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해 공공이 개발할 경우 전체 2410세대 중 공공시행자가 공공임대주택으로 환수하는 1250세대를 제외한 1160세대에서 총 2273억원의 개발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 중 ▲토지 소유자(200세대)가 284억원(세대당 1억4198만원) ▲최초 수분양자(960세대)가 518억원(1세대당 5397만원) ▲공공사업자는 1250세대의 공공임대주택으로 개발이익을 환수하는 것 외에 공공분양(960세대) 등을 통해 1471억원의 개발이익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참여연대 측 주장이다.

또 동자동 쪽방촌을 민간주도로 개발할 경우, 공공임대주택 156세대를 제외하면 총 2757억원의 개발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임재만 교수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할 경우 토지소유자에게 돌아가는 개발이익이 2112억원으로 줄어들게 된다”며 “이처럼 민간 주도로 개발할 경우 토지등소유자와 건설사가 세대당 최소 11억원에서 최대 14억원에 달하는 개발이익을 독식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이강훈 변호사는 윤석열 정부의 민간 도심복합개발사업은 상업지역과 저층 주거지, 공업지역 등에서 투기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변호사는 “윤석열 정부는 이미 도심고공주택 복합사업 지구로 지정됐거나 후보지를 선정된 지역의 사업 추진을 철회, 민간 도심복합개발 사업으로 유도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며 “공공임대, 공공자가, 공공상가 등의 공급을 위해서는 공공주도의 공공주택사업 또는 도심 공공주택사업을 확대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민간 도심복합개발사업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뉴스클레임 / 김성훈 기자 shkim@newsclaim.co.kr

 

 

월요일은 일찍부터 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서울역 가는 지하철을 타려면 은평평화공원을 거쳐야한다.

그 곳에는 세월호 아픔에 휩쓸려 간 김관홍 잠수사를 추모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운평사람들이 마련한 자리였다.

고 김관홍 잠수사의 4주기 추모제 세월호 기억과 약속

오는 17일 저녁7시 참여연대 1통인카페에서 열린다고 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민간잠수사로 실종자 수색에 참가했던 김씨는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하는 등 진상 규명을 위해 노력해왔다.

참사 당시 구조하지 않고 수색도 못한 현장을 목격했으나 정부는 인정하지 않았다.

고인은 국정감사장, 청문회장, 광화문 광장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정부의 기만적 태도를 비판하며 진실을 폭로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현장 수색 이후 잠수병을 앓아 온 김씨는 더 이상 잠수도 못하고

대리운전으로 생계를 이어가다, 4년 전 세상을 비관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제 그가 염원했던 명예회복과 세월호 진실규명만이 그가 평안히 영면하는 길이다.

 

아픔도 쉽게 잊어버리는 무심한 세상, 그를 통해 다시 한 번 세월호를 되돌아보았다.

고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하며,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는 의미있는 시간이 되었다.

 

은평평화공원은 시원한 저녁시간에는 사람이 많아도, 낯 시간은 비교적 한산하다.

마스크로 무장한 몇몇이 시간을 보내거나, 화초에 물주는 관리인 뿐이었다.

 

많은 분들이 고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하며. 그의 영면을 빌어주길 바란다.

 

사진,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