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인사동 엔틱&아트페어에 나오는 ‘궁중화조도’. 인사전통문화보존회 제공

■ 10~14일 첫 ‘엔틱&아트페어’ 개막

23개 古미술 업체 참여 사상최대
서화·목가구 등 엄선 作만 전시
신진작가 초대전도 별도로 열려

인사동 전통문화 무한확장 위해
17~21일엔 ‘亞 호텔 아트페어’
이우환 작품 등 4000여점 선봬

 

“인사동이 한국 최초의 문화지구로 지정된 지 20년이 돼 가는데 큰 발전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퇴조하는 분위기가 있어요. 특화된 아트페어를 통해 새로운 기운을 만들어 전통문화 르네상스를 이루고자 합니다.”

신소윤 인사전통문화보존회 회장은 이렇게 고미술 축제 의미를 설명했다. 보존회는 오는 10∼14일 ‘2021 인사동 엔틱&아트페어’(IAAF)를 연다. 복합문화공간 ‘안녕인사동’을 중심으로 인사동 일대에서 진행하는 아트페어엔 23개 고미술 업체가 참여한다.

다보성, 단청, 류화랑, 통인가게 등 인사동에 자리한 갤러리들뿐 아니라 전북·대구·동부·서부 등 전국 지회들도 부스를 마련한다.

신 회장은 “다른 아트페어에서 특별전 형태로 선보인 적은 있지만, 인사동 축제에서 고미술을 주제로 아트페어를 여는 것은 처음”이라며 “규모도 사상 최대”라고 설명했다.

 

▲  신소윤 인사전통문화보존회 회장.

인사동 일대는 조선 왕조 600년간 예술의 심장부였다. 최고 예술관청인 도화서가 자리해 당대 유명 화가들이 예술작업을 한 곳이기 때문이다. 1914년 한성부 중부 관인방(寬仁坊)과 대사동(大寺洞)에서 글자를 따 인사동(仁寺洞)이 된 후에도 그 전통은 이어졌다. 2002년의 문화지구 지정은 그런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것이었으나, 급변하는 시류 속에 인사동 특유의 활기가 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고미술 축제를 통해 우리가 나아갈 미래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을 높여 정책 지원을 이끌어내겠다는 취지도 있습니다.”

이번 축제에서는 도자기, 서화, 목가구, 공예품 등 다양한 고미술품을 선보인다. 고미술 업체들과 수집가들이 소장한 작품 중 가장 좋은 것들만 엄선했다는 것이 보존회 측 전언이다. 이와 함께 표구, 지필묵, 전통차와 음식 등도 다채롭게 소개한다. 특별전 ‘한국의 채색화:민화전’에는 화조도, 거북선 해진도, 호렵도, 궁모란도 등 60여 점을 전시한다. 김연우, 선주진, 손동현, 손유영, 안성민 등 현대 민화 작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신진 청년 작가 초대전도 별도로 펼친다.

‘엔틱&아트페어’가 인사동 축제의 1부라면, 17∼21일 여는 ‘아시아 호텔 아트페어 서울 2021’은 2부다. 인사동 축제의 확장성을 위한 시도로 조계사 인근 나인트리프리미어호텔 35개 객실에서 미술품을 전시·판매한다. 인사동 갤러리 15곳을 포함해 국내 40개 화랑이 작가 400여 명의 작품 4000여 점을 내놓는다.

 

신진 작가의 작품부터 이우환, 박서보, 김종학, 백남준 등 거장들의 고가 작품들까지 다양하다. ‘건축 판화전 및 드로잉 전’에는 류춘수, 김기연, 이소자키 아라타(磯崎新) 등 한국과 일본 대표 건축가들의 작품이 나온다. 한국 현대미술 최초의 행위예술가이자 최초의 테크놀로지 아티스트인 고 강국진의 작품 20여 점을 소개하는 특별전도 마련된다.

지난 2008년부터 아시아 호텔 아트페어를 주관해온 금산갤러리 대표 황달성 한국화랑협회장은 “특별 문화지구인 인사동이 국내외에서 성가를 더 높였으면 하는 바람으로 아트페어를 함께하게 됐다”고 말했다. 황 회장은 “내년에 세계적 아트페어 ‘프리즈’가 서울에 진출하는데, 인사동에서도 함께 행사를 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화일보 / 장재선 선임기자 jeijei@munhwa.com

 

▲ ‘제비는 표구를 싣고’프로젝트에 참여한 표구장인들이 행사를 마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종로구청 제공>

이마리아 기자 snakorea.rc@gmail.com




【서울=서울뉴스통신】

종로구 종로문화재단은 5일 오후 2시부터 인사동 백상빌딩 세미나실(인사동7길 12)에서 인사동전통문화네트워크 포럼 ‘전통의 역습, 표구를 구하라’를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종로문화재단과 한국표구협회, 인사동전통문화보존회가 ‘표구의 활성화’에 뜻을 모아 기획한 ‘인사동프로젝트-전통의 역습, 표구를 구하라’ 사업의 하나로 마지막 프로젝트이다.

표구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식공유, 자문을 위한 포럼으로 표구에 대한 기초지식과 인사동 표구장인들의 역할, 표구문화의 명맥을 이어갈 인력양성 방안을 주제로 진행한다.

발제는 충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목재종이학과 조경실 초빙교수가 ‘전통의 역습, 표구를 구하라’를 주제로, 단국대 문화예술대학원 하계훈 교수가 ‘표구분야 문화재 보존 전문 인력의 양성 방안’을 주제로 맡았다.

표구관련 전문가와 전통미술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현장예술인 및 관계자 자유토론’도 펼친다.

이번 포럼을 기획한 종로문화재단은 전통문화유산 보존은 종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것과도 같은 맥락의 일이라고 여기며, 앞으로 이와 관련한 기획프로그램을 꾸준히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9월 출범한 종로문화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모한 2014지역문화재단 역량강화지원사업에 ‘인사동프로젝트-전통의 역습, 표구를 구하라’가 선정돼 9월부터 ‘제비는 표구를 싣고’, ‘내손으로 만든 가보’ 등 문화행사를 운영했다.

‘제비는 표구를 싣고’는 인사동 현장에서 서예가가 써 준 가훈을 표구장인이 미리 준비한 표구액자에 담아 배송해 주는 문화서비스 행사로 인사동을 방문한 가족단위의 참가자들이 소중한 가훈을 표구액자에 담아갔다.

‘내손으로 만든 가보’는 표구 장인과 함께 집에 묵혀둔 각종 서화작품들을 표구작업으로 완성해 작품이상의 가치와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진행했으며, 표구교육과정과 표구작품제작과정을 카메라에 담아 미니다큐멘터리로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후반작업 중으로 표구장인들의 활동과 목소리를 닮은 기록영상물은 16일 종로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전통문화공간 ‘무계원’에서 시사회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1970년대 인사동지역은 전통문화네트워크의 거점으로 고미술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했고 더불어 화랑과 표구, 필방 등도 전성시대를 맞았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고미술시장이 침체되고, 이와 관련된 장인들의 활동도 줄면서 그 명맥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서화에 종이나 비단을 발라 꾸미고 나무와 기타 장식을 써서 족자·액자·병풍 등을 제작하는 일을 말하는 ‘표구’는 1970년대 고미술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현대의 표구도 전성기를 맞았지만, 2000년대 들어 고미술시장이 침체되면서 표구장인들의 활동도 줄어들고 전문기술을 배우려는 후배들의 발길도 끊어져 표구사업도 위기를 맞았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일반인들도 표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전통문화가 활성화는 물론 특히 표구 산업의 가치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종로구, 인사동 프로젝트「내 손으로 만든 가보」진행

 

[아시아일보/이상관 기자]

 

종로구(구청장 김영종) 종로문화재단은 22일부터 11월13일까지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종로문화재단 3층 강의실에서「내 손으로 만든 가보」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종로문화재단과 (사)한국표구협회, (사)인사동전통문화보존회가 ‘표구의 활성화’에 뜻을 모아 기획한 ‘인사동프로젝트-전통의 역습, 표구를 구하라’ 사업의 하나이다.

1970년대 인사동지역은 전통문화네트워크의 거점으로 고미술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했고 더불어 화랑과 표구, 필방 등도 전성시대를 맞았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고미술시장이 침체되고, 이와 관련된 장인들의 활동도 줄면서 그 명맥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를 고심하던 (재)종로문화재단은 인사동을 위한 프로젝트를 준비했다. 올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모한 ‘지역문화재단 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되었고, 인사동문화지구를 위한 프로젝트를 구상하던 중 지역적 특징을 살려 그 첫 번째 사업으로 ‘표구’를 선택했다.

‘표구’는 서화(書?)에 종이나 비단을 발라 꾸미고 나무와 기타 장식을 써서 족자(簇子)·액자(額子)·병풍(屛風) 등을 제작하는 일을 말한다. 70년대 고미술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현대의 표구도 전성기를 맞았지만, 2000년대 들어 고미술시장이 침체되면서 표구장인들의 활동도 줄어들고 전문기술을 배우려는 후배들의 발길도 끊어져 표구사업도 위기를 맞았다.

‘인사동 프로젝트- 전통의 역습, 표구를 구하라’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제비는 표구를 싣고’로 지난 9월 20일과 21일 이틀 동안 인사동을 찾은 일반 관광객들에게 표구 문화의 가치를 알리는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주말에 인사동을 찾았던 참여자들은 뜻밖에 선물을 받은 것 같다고 입을 모았고, 표구장인들의 손길이 닿은 표구액자는 참여자들의 가정으로 배송까지 완료됐다.

이 날 행사에 참여했던 이정미(혜화동 거주) 씨는 표구가 무엇인지는 잘 몰랐지만 가훈을 표구액자에 담아 걸어놓으니 그 어떤 명화보다 훌륭한 작품이라며 한국의 ‘표구’를 더 많은 사람들이 알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두 번째 프로젝트 ‘내손으로 만든 가보’는 표구 교육프로그램으로 총 8회에 거쳐 진행된다.

한국표구협회 손용학(문화재청지정 기능자 제 1365호)회장의 주관으로 진행되며, 집에 묵혀둔 각종 서화작품들을 표구작업으로 완성해 작품이상의 가치와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착순 10명 사전신청자에 한 해 수강가능하며, 가족단위 신청도 가능하다.

한편, 오는 11월 중에는 인사동 프로젝트 세 번째 프로그램으로 ‘인사동 전통문화네트워크- 포럼’이 진행될 계획이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짧은 시간이지만 일반인들도 표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번 인사동프로젝트를 통해 전통문화가 활성화되고 특히 표구 산업의 가치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