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정영신씨의 ‘장터길 문화탐방(가제)’ 출판 마무리 작업에 따라 나섰는데,
문경에는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곳이 있었다.
마침, 아나키스트 박열 의사의 기념관에 간다는 것이다.




일본인 아내 가네코 후미코와의 짧지만 뜨거웠던 삶의 궤적도 인상적이지만,
항일 의열단 단원으로 독립운동에 이바지한 공적에 비해 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는 무정부주의 단체 ‘흑도회’를 조직하여 일본 히로히토 암살을 모의한 당사자다.
‘대역사건’으로 검거되어 23년간 옥고를 치루고 해방으로 출옥되어

‘신조선건설동맹’과 ‘재일조선인거류민당’을 차례대로 창립하기도 했다.



2012년 생가 터에 박열의사 기념관이 건립되었으나, 그동안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
기념관 옆쪽에는 2003년 부터 자리 잡았다는 가네꼬 후미코의 묘소도 있었다.
감옥에서 꽃다운 나이에 의문의 죽음을 당한 가네꼬 후미코는
일제에 저항한 공로로 일본인으로 두 번째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얼마 전 김명성씨가 소장한 박열의사의 많은 친필서한들을 촬영한 적이 있었는데,
시인이기도 했던 그의 서한들을 접하며 그를 다시 알게 된 것이다.
기념관에는 어떤 유적들이 있을까? 하는 기대가 컸다.




문경새재에서 아침시간을 보내고, 정오 가까이 기념관에 도착했는데,
공원화한 유적지의 기념관은 엄청난 규모로 조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관람객은 커녕 관리하는 사람조차 보이지 않았다.
생가 터도 복원해 놓았지만, 아무런 흔적도 없는, 민속촌에서나 본듯 한 초가였다.




기념관에는 여러가지 사료들을 모아두었으나, 원본이 아니라 대부분 복제였다.
눈 짐작에도 몇 백억 예산은 족히 들어갔을 텐데, 껍데기에 불과한 토목공사에 돈 처바르고,
유적구입에는 왜 소홀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었다.




유적 구입에 들어가는 돈은 남는 게 없어서일까? 아니면 몰라서일까?
비록 여기만이 아니라 지자체에서 건립한 대개의 유적들이 이런 식이다.
엄청난 규모로 만들기만 해놓고, 관리나 홍보는 뒷전인 이런 식을 언제까지 할 것인가?




다음 행선지는 삼국시대부터 전해 내려 온 천연의 요새, ‘고모산성’이었다.
이곳은 옛날 과거 보러 가던 선비들의 애환이 담긴 산길이기도 한데,
포곡식 산성으로 본성과 익성을 합해 총 1,646m에 달하는 성이다.




사방에서 침입하는 적을 모두 방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는데,
선인들의 지혜가 느껴지는 건축미와 세월의 흔적을 두루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 들린 곳은 한 때 문경선 역사였던 ‘불정역’이었다.
1954년 문을 열어 1993년 문을 닫은 불정역은 문경탄광의 석탄산업과 연계된 역사적 장소성이 있다.




역사 아래는 화강석으로 마감했으나, 상부는 인근의 구랑리 천 강자갈을 사용했다고 한다.
멈춰 선 기차의 객실은 문이 닫혔으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 듯 했다,

비록 찾는 이는 없으나, 아담한 간이역이었다.




오후1시가 넘도록 아침식사를 못해, 허기져 더 돌아다닐 수가 없었다.
‘금강산 구경도 식후경’이란 말이 있듯이, 배가 고프니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문경장에 들려 아침 겸 점심을 먹었는데, 오천원짜리 정식을 시켜 엄청 맛있게 먹었다.
시장이 반찬 이라 듯, 무엇을 먹은들 맛없는 음식이 있겠는가?



 
문경까지 와서 그냥 가면 안 될 분이 있다며, 정영신씨가 이선행씨에게 연락했다.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달려 나온 그의 안내로 인근의 단골집 ‘커피 가 로스터스’에 들렸다.
난, 자판기 스타일이지만, 가격도 저렴한데다 커피마니아가 운영하는 괜찮은 커피집이었다.
아무래도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아 먼저 일어나 혼자 장터에 갔다.




대목장이라 장터는 붐볐지만, 예전 같지 않았다.
방앗간에 떡 만들러 온 사람들의 행렬도 보이지 않았고, 생선가게만 붐볐다.
하루가 다르게 달라질 수밖에 없는 장터 풍경을 아쉬워한들 무슨 소용이랴!



그런데, 장터에서 멋쟁이 할머니 한 분을 만났다.
허리도 제대로 펴지 못하는 연세의 할머니가 뽀얗게 분을 바르고, 빨간 하이일 까지 신었더라.
마지막까지 여자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그 할머니가 존경스러웠다.




좀 있으니, 정영신씨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장터 촬영도 촬영이지만, 우리도 제사상 차릴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엊그제 서산장에서도 몇 가지 샀지만, 나물거리와 생선을 사야 한단다.
따라 온 이선행씨가 단골집에 들려 시금치 한 단을 사주었는데,
가격은 서울과 똑같은 오천원이나, 양은 서울의 곱절이나 되었다.




'새도 날아서 넘어가기 힘들었다'는 ‘문경새재’라 그런지, 나도 힘들었다.
대목장 마지막 촬영지라 누적된 피로가 몰려 온 듯 했다.
무사히 집까지 오긴 했으나, 졸음운전으로 천국과 지옥을 오갔다.
사는 것 자체가 곡예 아니던가?

사진, 글 / 조문호













































새해에는 만사형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매년 명절이 다가오면 정영신씨 따라 시골 대목장 찍으러 다니는 게 연례행사처럼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강원도 봉평장에서 시작하여 충청도 서산장, 경상도 문경장을 두루 다녔습니다.



지난 23일은 경상도로 가기 위해 새벽길을 나섰는데, 문경새재가 가까워오니 운해가 몰려 다녔습니다.

차마 그냥 지나치지 못해 소백산맥인 조령산길로 차를 돌렸더니, 올라 갈 수록 점입가경이더군요.



마치 산위에 솜을 깔아 놓은 것 같았는데, 한참동안 아름다운 선경에 빠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옆에 있던 정영신씨가 감탄하며 “아! 장승업이 가마 불길 속으로 들어간 것이 이해가 된다”고 하더군요.



그 신령스러운 이화령 정기를 카메라에 담아 보내드리오니,

건강한 한 해 보내시며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