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미지 홍수 속에 사는 요즘, 사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예술사진이란 이름을 달고 별의 별 사진들이 전시장을 메우지만,
작가의 의도만 전달되면 다 통용되는 세상이다.

어떤 이들은 무차별 남의 사진을 웹에서 퍼 날라 쓰기도 하고,
어떤 사진가는 포토샵으로 이미지를 변형시키기를 밥먹듯이 한다.
사진의 사실성보다 사진가의 표현이 더 중요한 시대에 산다.






요즘 육명심 선생의 ‘이산가족’ 사진집출판에 대하여 사진계에서 말들이 많다.
육명심 선생이야 말로 우리나라의 대표적 사진가로 존경해 온 사진가가 아니던가.
‘백민’, ‘장승’ 같은 일련의 사진들은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보여 준 훌륭한 작업이었다.
그러한 분이 왈가불가 사진인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자체가 불편하기 그지없다.




 


문제는 사진집에 실린 사진이 본인이 찍은 사진은 일부이고,

다수의 사진이 티브이 화면에 방영된 장면을 촬영했다는데 있다.
문제의 그 사진집을 보지는 못했지만, 곽윤섭기자 글에 의하면 노욕이란 생각부터 들었다.
이 일은 육명심선생께서도 충분히 논란을 예상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논쟁에 대한 관심은 효과적인 책 판매로 이어질 것이고, 다시 한 번 세상에 드러낼 수 있는 기회였을 것이다.
무엇보다 원로사진가로서 기존 사진 관념을 파괴하는 젊은 사진가들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문제 삼는 사진가들도 무차별한 지탄을 자제하고, 선생의 의도도 한 번 새겨 볼 필요가 있겠다. 

아무쪼록 선생의 이름에 누가 되지 않는 사진집으로 남았으면 좋겠다.






난, 작품사진을 찍는 작가가 아니고, 세상을 기록하는 사진가다.
좋은 사진이란 사진 자체가 갖고 있는 내용이지, 카메라 앵글이나 기술적인 문제는 둘째로 친다.
그래서 찍은 사진을 사진 일기처럼 모조리 블로그에 올려 왔다.
어떤 이들은 좋은 사진만 올리라는 충고도 하지만, 좋은 사진을 도대체 누가 구분 한단 말인가?
그 것은 보는 사람의 몫일 뿐이고, 난 그냥 기록으로 남길 뿐이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사진은  우리가 태어나기 이전의 기록사진이다.
대부분 해방 직후나 한국전쟁 때 찍은 사진으로, 외국선교사나 외국 기자들에 의해 찍힌 사진들이다.
찍은 이의 이름도 남아있지 않은 귀한 사진을 만나면 가슴이 벌렁거린다.
역사로 남은 글보다 한 장의 사진이 주는 감이 훨씬 강하기 때문이다.






지난 달, 우연히 문경의 ‘옛길 박물관’을 구경 간 적 있었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벽에 붙어 있는 오래된 장터사진 몇 장 이었다.
여지 것 오래된 장터사진이라고는 30여 년 전에 찍은 정영신씨의 사진이 고작이었지만,
가끔 인터넷에 떠도는 일세기에 가까운 오래된 장터사진을 만나면 반갑기 그지없다,


그런데, ‘옛길 박물관‘에 전시된 사진들은 모두 처음 보는 사진이었다.
소등에다 장작을 가득 쌓은 사진이나 소달구지 행렬에서, 그 시절 생활상을 엿볼 수 있었다.
사진 상태는 좋지 않았지만, 그런 건 둘째 문제였다.
이 보다 더 소중한 장터역사가 어디 있겠는가?






위의 사진은 '옛길 박물관'에 전시된 사진이고, 마지막 사진은 1978년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에 실린 사진으로, 1925년 무렵의 마포나루 풍경이다.

인천으로부터 각종 해산물을 실은 배들이 오던 한강의 옛 모습이 정겹기 그지없다.

사진은 세월에 숙성되어야 제 맛이 난다.


글 / 조문호





















모처럼 사는 일 떨치고, 장에 따라 나섰다.
장터와 지역 문화 답사 가는 정영신씨 기사 노릇을 자청해 콧바람 씌러 간 것이다.






첫 날은 경상북도 점촌장에 들렸다.
점촌하면 왠지 점잖은 촌이라는 생각이 앞선다.
동내이름도 그렇지만, 야박한 다른 장 인심에 비해,
몇 년 전 받은 후덕한 인심이 그런 생각을 각인시킨 것 같았다.






점촌장은 급변하는 장터에 비해 아직 덜 망가진 시골장이다.
난전에 둘러앉아 한담 나누는 할머니의 모습도, 무뚝뚝한 사내들 사투리조차 정겹더라.





장에는 벌써 송이버섯이 나왔는데, 고추만한 버섯 여섯 개 놓고 팔 만원이라했다.
가난한 사람들 눈에는 그림의 떡에 불과했다. 그 돈이면 고기로 온 가족이 맛있게 먹을텐데...






장터를 기웃거리며 떠도는 여인도 만났다.
무슨 사연인지 모르지만, 장터에 이런 사람들이 간혹 있다.
세상이 미치도록 했겠으나, 어쩌면 그녀가 더 행복한지도 모르겠다.
단돈 천원에 싱글벙글 좋아했는데, 요즘은 어린애들도 천원을 우습게 여기는 세상 아니던가?
큰 욕심 없이 즐겁게 사니, 그게 바로 행복이 아니겠는가?






그런데, 장터에서 문경의 문화 활동가인 이선행씨를 만났다.
아마 정영신씨와 연락 닿아 나오신 것 같았다.
지난 겨울 정선 동계올림픽 얼음축제장에서 열린 정영신씨 장터사진전 때 한 번 뵌 적 있는 분이었다.
문경에서 정선까지 장터 전시 보러 온 지극정성에 놀랐었다.





정영신씨의 페친으로 장터문화를 좋아하는 분이라는데, 이번 문경 여행 안내를 맡아주셨다. 
점촌과 함창의 맛집에서 음식도 사 주셨는데, 너무 황송스러운 환대를 받았다.
그 중 함창의 버섯요리전문점 ‘테마촌’에서 먹은 버섯탕수육은 별미 중의 별미였다.
오디로 만든 달짝한 소스에 찍어 먹으니, 입에 살살 녹았다.






그 뿐 아니라,'문경새재도립공원'에 있는 ‘옛길박물관’을 비롯해 문경의 여러 곳을 안내해 주었다.

 ‘옛길박물관’에서 가장 관심을 끌었던 것은 조선시대의 오래된 장터 사진으로 처음 보는 사진이 많았다.





산북면 사불산에 둥지 튼 '대승사'로 향하니, 죽도록 고생한 이십사년 전으로 필름이 돌아갔다.
한국의 불교 유적을 찾아 전국 사찰을 돌아다닐 때인데, 새벽에 도착하기 위해 매번 한 밤중에 떠났다.






지금에야 길 안내 해주는 내비라도 있지만, 그 때는 사람조차 만날 수 없는 시골 밤길 헤매느라 곤욕을 치루었다.
그 뿐 아니라 졸음을 견디지 못해 창을 내려 운전하다보니, 왼쪽 귀가 들리지 않는 불구가 되어버린, 고난의 시절이었다.






그러한 어려움 속에 전국 명찰 문화재를 모두 촬영해 출판사에 원고를 넘겼으나,

일곱 권의'한국불교미술대전' 도록을 만들다 경영난에 허덕인 출판사의 부도로 원고료조차 받지 못했다.
유일하게 돈 되는 일 하나 맡았다고 생각했으나, 되는 일이 없었다.
그 덕에 사진이라도 남았지만, '대승사'를 보니 갑자기 힘들었던 그 때가 떠올랐다.






이어 이선행씨는 전통도예가 천한봉 명장의 도천도자미술관으로 안내했다.

도천 천한봉선생과 선생의 따님 천경희 도예가를 소개해 주었는데,

같은 듯 다른 두 작가의 도자를 감상하며 우리 고유의 멋에 빠지는 시간을 가졌다.







천한봉 선생께서는 일본을 자주 가신다고 하셨는데,

일본의 사진가 구와바라 시세이선생과 가까운 사이라고 하셨다.

구와바라 시세이선생께서 반세기 동안 천선생의 가마터를 오가며 기록했던

흑백 사진앨범 두 권을 보여주었는데, 한국전쟁 직후의 희귀한 사진도 있었다.





그런데, 구와바라 시세이 선생께서 치매에 걸렸다는 뜻밖의 소식을 전해주었다.
삼년 전 귀국하셨을 때만 해도 건강하셨는데, 한 번 알아봐야 할 것 같았다.

아무쪼록, 별 탈 없기만을 빌 뿐이다.





그리고 점촌장에서 사주신 머루포도는 먹을 때마다

이선생의 고마움이 새록새록 나는 감칠 맛이었다.






"이선생, 고마웠습니다.

서울 오시면 맛있는 것 사드릴께요."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