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미지 홍수 속에 사는 요즘, 사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예술사진이란 이름을 달고 별의 별 사진들이 전시장을 메우지만,
작가의 의도만 전달되면 다 통용되는 세상이다.

어떤 이들은 무차별 남의 사진을 웹에서 퍼 날라 쓰기도 하고,
어떤 사진가는 포토샵으로 이미지를 변형시키기를 밥먹듯이 한다.
사진의 사실성보다 사진가의 표현이 더 중요한 시대에 산다.






요즘 육명심 선생의 ‘이산가족’ 사진집출판에 대하여 사진계에서 말들이 많다.
육명심 선생이야 말로 우리나라의 대표적 사진가로 존경해 온 사진가가 아니던가.
‘백민’, ‘장승’ 같은 일련의 사진들은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보여 준 훌륭한 작업이었다.
그러한 분이 왈가불가 사진인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자체가 불편하기 그지없다.




 


문제는 사진집에 실린 사진이 본인이 찍은 사진은 일부이고,

다수의 사진이 티브이 화면에 방영된 장면을 촬영했다는데 있다.
문제의 그 사진집을 보지는 못했지만, 곽윤섭기자 글에 의하면 노욕이란 생각부터 들었다.
이 일은 육명심선생께서도 충분히 논란을 예상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논쟁에 대한 관심은 효과적인 책 판매로 이어질 것이고, 다시 한 번 세상에 드러낼 수 있는 기회였을 것이다.
무엇보다 원로사진가로서 기존 사진 관념을 파괴하는 젊은 사진가들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문제 삼는 사진가들도 무차별한 지탄을 자제하고, 선생의 의도도 한 번 새겨 볼 필요가 있겠다. 

아무쪼록 선생의 이름에 누가 되지 않는 사진집으로 남았으면 좋겠다.






난, 작품사진을 찍는 작가가 아니고, 세상을 기록하는 사진가다.
좋은 사진이란 사진 자체가 갖고 있는 내용이지, 카메라 앵글이나 기술적인 문제는 둘째로 친다.
그래서 찍은 사진을 사진 일기처럼 모조리 블로그에 올려 왔다.
어떤 이들은 좋은 사진만 올리라는 충고도 하지만, 좋은 사진을 도대체 누가 구분 한단 말인가?
그 것은 보는 사람의 몫일 뿐이고, 난 그냥 기록으로 남길 뿐이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사진은  우리가 태어나기 이전의 기록사진이다.
대부분 해방 직후나 한국전쟁 때 찍은 사진으로, 외국선교사나 외국 기자들에 의해 찍힌 사진들이다.
찍은 이의 이름도 남아있지 않은 귀한 사진을 만나면 가슴이 벌렁거린다.
역사로 남은 글보다 한 장의 사진이 주는 감이 훨씬 강하기 때문이다.






지난 달, 우연히 문경의 ‘옛길 박물관’을 구경 간 적 있었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벽에 붙어 있는 오래된 장터사진 몇 장 이었다.
여지 것 오래된 장터사진이라고는 30여 년 전에 찍은 정영신씨의 사진이 고작이었지만,
가끔 인터넷에 떠도는 일세기에 가까운 오래된 장터사진을 만나면 반갑기 그지없다,


그런데, ‘옛길 박물관‘에 전시된 사진들은 모두 처음 보는 사진이었다.
소등에다 장작을 가득 쌓은 사진이나 소달구지 행렬에서, 그 시절 생활상을 엿볼 수 있었다.
사진 상태는 좋지 않았지만, 그런 건 둘째 문제였다.
이 보다 더 소중한 장터역사가 어디 있겠는가?






위의 사진은 '옛길 박물관'에 전시된 사진이고, 마지막 사진은 1978년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에 실린 사진으로, 1925년 무렵의 마포나루 풍경이다.

인천으로부터 각종 해산물을 실은 배들이 오던 한강의 옛 모습이 정겹기 그지없다.

사진은 세월에 숙성되어야 제 맛이 난다.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