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식선생의 서거 1주기를 맞은 추모 사진전 ‘북촌’이 지난 19일 ‘갤러리인덱스’에서 개막되었다.

 

‘북촌’은 선생께서 태어나고 자란 서울의 북촌 일대를 기록한, 1978년부터 1990년대 까지의 북촌 풍정이다.

 

선생께서는 생전에 기록사진이야말로 사진의 존재 이유임을 말씀하셨다.

그래서 어린 시절을 보낸 북촌을 기록했는데, 찍을 무렵부터 서울은 변하고 있었다고 한다.

 

기록사진은 된장이나 와인처럼 묵혀야 더 깊은 맛이 난다는 말씀처럼,

30년이 지나서야 ‘북촌’사진집을 펴내며 작품을 발표했다.

 

선생께서 남긴 리얼리즘 사진으로는 ‘북촌’ 외에도 ‘흔적’과 ‘마구간 옆 고속도로‘가 있다.

 

사진의 예술성에 뜻을 두신 선생께서는 '중앙대' 사진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리얼리즘 사진과 결별한다.

 

그 이후부터 법문 같은 ‘고요’라는 정적감 도는 예술사진에 천착하며 일가를 이루었다.

 

그러나 지금도 우리나라 사진사에 주명덕선생의 검은 풍경보다 ‘혼혈아’가 먼저 오르고,

한정식선생의 ‘고요’보다 ‘북촌’이 호출되는 것이 무엇을 말하겠는가?

 

사진의 기록성에 초점을 맞춘 선생의 작품들은 세월에 숙성된 사진이라

보면 볼수록 아련한 추억을 불러일으켜, 마음이 따뜻해진다.

 

전시된 ’북촌‘사진에는 근대화, 도시화 물결 속에서 차츰 변해가는 거리와 골목,

가지런한 기와, 다소곳한 처마, 고즈넉한 창살, 그리고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오롯이 담겼다.

 

“이 ‘북촌’은 내 개인 기록이다.

사진으로 엮은 나의 고향이야기로, 내가 아는 서울, 내가 느끼는 서울,

내 기억 속의 서울이 여기 담겨 있을 뿐이다.

내가 태어나 자란 곳은 서울의 북촌지역이었다.

그리하여 ‘서울’하면 내게 그것은 그대로 북촌을 뜻한다.

나의 발길이 북촌에만 머문 이유요, 북촌만으로 이 사진집을 엮은 이유이기도 하다.

하기야 서울이라고 하면, 특히 옛 서울은 대개 북촌지역이 중심이었다.

따라서 이 ‘북촌’은 북촌이로되 실은 그대로 나의 서울이야기다”고 사진집 서문에 썼다.

 

한정식 ‘북촌’ -나의 서울-128페이지 230*280mm 서적 40,000원

‘북촌’ 사진집에는 흑백사진 80여 점이 실려있다.

 

추모의 시간을 가진 사진전 개막식에는 생각보다 추모객이 적었다.

 

긴 세월 강단에서 선생의 가르침을 배운 제자들은 다 어디 갔으며,

수시로 불러 모아 인사동에서 정 나누었던 주변 사진가들은 다 어디 갔는가?

‘죽고 나면 명예도, 작품도, 인연도, 아무 소용없다’는 생전의 말씀이 생각나는 시간이었다.

 

그날 개막식에는 ‘갤러리인덱스’ 안미숙 관장을 비롯하여

전민조, 강용석, 이일우, 이기명, 최연하, 김정일, 곽명우, 정영신, 한선영, 김창주씨 등

20여명의 사진가들이 모여 조촐한 추모의 시간을 가졌는데,

공교롭게도 이 전시를 기획한 ‘눈빛’ 이규상 대표마저 늦은 코로나에 걸려 참석하지 못했다.

 

전시는 7월 31일까지 열린다.

 

사진, 글 / 조문호

 

.

 

 


늦가을 비가 추적 추적내리는 18일 오후 김정일씨의 ‘기억의 풍경’전이 열리는 ‘포토그래퍼스 갤러리’를 찾았다.
출판사에 들려 그의 사진집에 실린 작품들을 보았기에 나이가 지긋한 사진가인줄 알았는데, 만나보니 엄청 젊었다.
혹시 아버님께서 찍은 사진인가도 생각했으나, 저도 환갑이 되었다는 작가의 말에 깜짝 놀랐다.

영화배우 남궁원씨 처럼 잘 생겼는데, 잘 생기면 늙지도 않나 생각되었다.

중요한 건 사람도 사람이지만 사진들이 좋았던 것이다.
80년대 초반 경제개발이 시작될 때의 사진으로, 그 때는 우리 주변에 있던 모든 것이 사라지고 변해 간 시절이었다.

땅이 파헤쳐지고 오래된 집들이 헐려나갔던 그 당시의 아련한 풍경들이 김정일씨의 렌즈에 고스란히 포착되어 있었다.

난개발로 땅 투기까지 불러일으키며 빈부의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한 역사의 현장이

세월의 먼지를 털어내고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그 사진들은 단순히 과거를 기억케 하는 향수나 기록에 머물지 않았다.

기억 안에 잠재되어 있던 문제의식을 살아 꿈틀거리게 함으로, 기록을 뛰어넘는 울림을 안겨준 것이다.

개막식에는 작가 내외를 비롯하여 ‘포토그래퍼스 갤러리 ’박재호 대표, 눈빛출판사 이규상대표,

사진가 엄상빈, 윤한수, 탁기형, 정영신, 김봉규씨 등 많은 사진가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축하했다.

축사를 한 이규상씨는 젊은 유학파들이 수평전이란 전시로 예술사진 바람을 일으킨 것은

우리나라 사진사에 큰 재앙을 불러 온 중대한 사건이었다고 말했다.


김정일씨 처럼 훌륭한 사진들이 빛을 못 보고 잠들었던 이유이기도 하지만,

그때부터 우리나라의 기록사진은 첩에게 쫓겨 난 신세가 된 것이다.

중요한 것은 다큐멘터리사진의 침체로 한국사회사 기록에 큰 구멍이 뚫린 것이다.



사진 : 정영신,조문호 / 글 : 조문호



























이 사진들은 사진가 김정일씨가 중앙대 사진과를 졸업한 후 KBS미디어 출판사진팀에 입사하기 전인

82년도에 작업한 사진들이다.

그 사진들이 정년퇴임을 맞은 30여년이 지나서야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전시된 사진들을 돌아보니 오래 동안 잊고 있던 아련한 향수가 왈칵 밀려왔다.

빨래 줄에 귀저기가 펄럭이는 옛집 마당이 떠올랐고, 권투중계를 보다 텔레비전이 지직거려 지붕에 올라가

안테나와 씨름했던 생각도 났다. 그 당시의 아련한 풍경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우리들의 삶의 터전이 개발이란 폭탄에 깡그리 사라져 갈 때, 그 기억들을 하나하나 묶어 놓았던 것이다.

대개의 사진인들이 풍경이나 찍으러 다니던 시절에 그는 이 땅의 역사를 차곡 차곡 기록해 둔 것이다.

스승이며 사진집 발문을 쓴 한정식선생께서는 ‘이들 사진은 찍을 당시에 느꼈던 감정이나 분위기와 함께

그 이상의 매력과 맛이 느껴진다’ 고 말씀하셨다.

‘포토그래퍼스 갤러리’ 코리아 11월작가로 선정된 김정일의 ‘기억의 풍경’사진전은

서울 은평구 증산동에 있는 ‘포토그래퍼스 갤러리’에서 지난 18일부터 30일까지 전시된다.
눈빛사진가선 20호로 김정일사진집 ‘기억의 풍경’도 출판되었다.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