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YInoQ/btslbx39nfS/xGdupQA8VP6YIIvhmQdjjK/img.jpg)
정전 7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나를 울린 한국전쟁 한 장면” 사진전이
지난 21일부터 26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인덱스’에서 열리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lmxHi/btslauNNC1k/QDWF6LH4L616mwhkcL0PF1/img.jpg)
전시된 한국전쟁 특별전은 20여 년 전 소설가 박도 선생께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을 여러 차례 방문해 발굴해 낸 사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BZSc8/btslafcgweq/KT415K92xJ34bSKYekKz20/img.jpg)
어둠 속에서 잠자던 사진을 찾아와 여러 권의 사진집을 펴내
우리가 몰랐거나 잊었던 6.25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 주었다.
![](https://blog.kakaocdn.net/dn/3Zvm2/btsldPiVYzj/QvHzwV7x5I9lwVH7qqjMe0/img.jpg)
그 사진은 한국전쟁에 참여한 미국 종군사진가에 의해 기록된 사진이지만,
소설가 박도씨가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지 않았다면, 모르고 지나칠 수밖에 없었던 중요한 사료들이다.
![](https://blog.kakaocdn.net/dn/KCMfc/btslb5sNKne/RL4gOD1bIlI4kYOoTKf131/img.jpg)
우리는 긴 세월 동안 몇 되지 않는 국내 종군 기자들의 사진이나
정부에서 공개한 사진으로 전쟁을 바라보며 기억해야 했다.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눈 아픔에 앞서, 정부에서 내 세운건 오로지 승전과 반공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kLpwC/btslatuyWas/MfWQ6d5Z9gcE0ZnxMkuiKk/img.jpg)
6.25를 이념의 편향에서 벗어나 사실 그대로 바라보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했다.
빨갱이란 말을 노골적으로 내뱉는 현실에서 어쩌면 두려운 일일 수 밖에 없었다.
정전 70주년을 맞이했건만, 아직도 국민의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https://blog.kakaocdn.net/dn/bKRgot/btsk82ELOt9/I0rGcXqBknFUzLOkT393n0/img.jpg)
이번에 마련된 6.25 특별전은 그동안 펴낸 사진집에서 골라낸 사진들이다.
나이 어린 북한 소년병이 미군에게 조사받는 장면에서부터
부역자로 몰려 죽임을 당한 비참한 장면 등 그날의 아픔을 되새기게 하는 장면들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04iZ9/btsk83KhyzT/SXPuHXFFnfPtqokWwxjFzK/img.jpg)
소설가 박도 선생은 발굴한 사진으로 사진집만 펴낸 것이 아니라, 소설 ‘전쟁과 사랑’도 펴낸 바 있다.
그 소설은 “사랑의 정동이 감동적으로 그려진 차원 높은 전쟁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https://blog.kakaocdn.net/dn/bDql9E/btslbo7kGlO/YnegGcaNrpM9jeCsIDIU30/img.jpg)
지난 6월 21일 오후 5시에 개막된 한국전쟁 특별전에 박도 선생의 개막기념 강연이 있었다.
![](https://blog.kakaocdn.net/dn/lEcEi/btslatuyV9Y/nkxGqOizATVOWXxGtuVvok/img.jpg)
눈빛출판사 이규상대표를 비롯하여 안미숙관장, 미술평론가 최석태, 사진가 정영신, 곽명우,
장병국, 박기서, 김성식, 이성호, 박정호씨 등 20여 명이 자리했다.
![](https://blog.kakaocdn.net/dn/dgxFIH/btslbP4F1UV/PGGVsaaYCsXwP8IyS0dBxK/img.jpg)
사진을 발굴해 온 과정에서부터 한 장의 사진에 영감받아 쓰게 된 소설
‘전쟁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한 시간 가까이 진행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cwyFx/btslaF9slDh/TRuN2B2ni4TZFkf0mKM2K1/img.jpg)
그런데, 그 귀중한 사진전 개막식에 사진가가 세 사람밖에 참석치 않았다.
사진 만드는 사진작가는 차고 넘쳐도, 기록하는 사진가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말이다.
사진가만이 아니라 일반 대중의 기억에서도 ‘한국전쟁’이 서서히 잊혀져 가는 현실이 더 슬펐다.
![](https://blog.kakaocdn.net/dn/bylCPP/btsk9CS37ut/d8B0uYVir20YuI2gfzxEKK/img.jpg)
전쟁을 겪은 그 당시 사람들은 대부분 돌아가셨다 치더라도,
그 후손이 동족상잔의 아픔을 잊거나 관심에서 멀어져 간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PKnLG/btsla0S3GD0/8mHFf4sXAPaXP8tpZuD920/img.jpg)
사실, 그 자리에 참석한 분도 박도 선생이나 몇몇만 한국전쟁 직전 세대지, 대부분 전후세대였다.
![](https://blog.kakaocdn.net/dn/MU5E7/btsk9i1xcXw/HMoIuNLILykvD4nWKlfKoK/img.jpg)
나 역시 네 살 적 일이라 그 기억은 미미하지만,
육이오를 떠올리면 희미하지만 잊을 수 없는 가슴 떨리는 일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4qivL/btsk9QRaQ1D/VyWakBVFeHamPao4rAv2r0/img.jpg)
북한군들이 고향인 경상남도 영산까지 밀고 내려왔을 때의 일이다.
낙동강 전투의 최후 보루인 내 고향은 피비린내 나는 전장의 한복판이었다.
남산에는 유엔군이 진을 치고 북쪽 영축산에는 북한군들이 포진하여 혈전을 벌였다.
마을 사람들은 전장을 피해 뿔뿔이 흩어졌다.
![](https://blog.kakaocdn.net/dn/c7shjU/btslbQP4Bmw/shDK1h5YJaWpdSKr1K1zok/img.jpg)
전쟁 포화가 잠잠해질 즈음 나를 들쳐업은 어머니가 살던 집을 찾아 나섰다.
남산 아래 미나리꽝 뚝 길로 지나갈 무렵이었다.
피를 흘리고 쓰러진 군인이 물을 달라며 갑자기 어머니의 치맛자락을 움켜잡았고,
옆에 있던 군인은 그냥 가라며 총부리로 위협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4Cr2b/btslboTPmKb/UJWmzuvVBdoDVOAj70Uwl0/img.jpg)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두려움에 떨던 어머니의 받쳐 업은 두 손이 내 몸을 꽉 조였다.
간신히 군인의 손을 뿌리치긴 했지만, 혹시 뒤에서 총을 쏠까 등에 업힌 나를 가슴에 안고 뛰었는데,
어머니의 온몸은 땀으로 흥건히 젖었다.
![](https://blog.kakaocdn.net/dn/DNwo1/btslatH876X/j2DwiFzu25XyzLVCZNPo5K/img.jpg)
그때 느낀 어머니의 거친 숨결과 전율감은 숱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 생생한데,
이것이 내 기억에 남은 유일한 한국전쟁의 잔상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Q9rbl/btslauG1Cfh/XLX6koIckry5vjrvYykDf1/img.jpg)
정전 70주년 육이오 맞아, 인사동에 사진전 보러가자.
여의치 않다면 책이라도 구해보자.
누가 말했는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사진, 글 / 조문호
![](https://blog.kakaocdn.net/dn/bDAgDV/btslatBi9Id/eZBtGNmDpaZOxHQLpCmUw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6kvN/btsk9kEZUKj/qItNSUZ9KcefvcewcAc2G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hXD4/btsk9j0raT5/ScAoRlV5G7WynkLnhc5jY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mkNV/btsk9iUIbc6/Zz0rozYkFNeSTECAwzPo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n5h4O/btslbofbz6x/AzX9sDIAoian2KIXuyxt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mlFo/btslbyhGydA/pbrRZDBjpztBy0JdxSjg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COjI/btslbwYtinQ/W9qpDbXzDM3nAsM7ZTMr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Xf2J/btsk9RbxLfl/foKyOlxmGk2mvE86Wasx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pZSHV/btslcCYkg4v/EUxknNrpg8tfaZehmQ3S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8vTT/btsk9EpPjYs/Ec3D7BVIlRNfcBxXgq4Ob0/img.jpg)
'조문호사진판 > 사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정식 선생 추모전 ‘북촌’이 인사동에서 열리고 있다. (0) | 2023.07.22 |
---|---|
손은영展 '밤의 집 The Houses at Night' (2) | 2023.07.16 |
장종운의 병영 기록 ‘젊은 날의 초상’ (1) | 2023.06.18 |
2023 GRAPHOS(그라포스)展 (2) | 2023.06.12 |
김옥선展 '평평한 것들 Flatness of Things' (1)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