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문영태화백

 

 

민중미술가 문영태씨가 지난 9일 아침, 말 한마디 남기지 않고 이 세상을 훌쩍 떠났단다.

이틀 전 박진화화백으로부터 뇌경색으로 쓰러져 어려울 것 같다며 영장사진 한 장 만들어 달라는 연락을 받아 

걱정은 하고 있었으나, 억장이 무너지는 전갈이었다.


문영태씨는 나이는 나보다 세 살 아래지만, 늘 존경하는 친구였다.

1980년대 중반 '통일전', '여성과 현실전', '탄압사례전', '반고문전', '정치와 '미술전' 등의 미술운동으로 문화의 힘을 결집시켜 사회운동으로 확장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이다. 그 이후 90년도에 들어와서는 이지누, 박불똥, 류연복, 박 건, 조경숙씨 등 열일곱 명이 모여 ‘경의선모임’이라는 작업공동체를 만들어 '분단풍경'(눈빛출판사)이라는 사진집을 펴내는 등 사진작업에도 지대한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기억에 남는 것은 그의 글이다.

한 때 진보잡지에 연재했던 한국 문화에 대한 독보적 비평들이 큰 울림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를 처음 만난 것은 80년도 중반 인사동 '그림마당 민'에서 관장으로 일할 무렵이었다.

인사동 길거리나 술집에서 자주 부딪혀 술자리를 같이 할 수 있었는데,

작업에 대한 심도 있는 이야기를 나눈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렇게 마음의 후원자로 술 친구로 한 30년 지낸 것이다.

 

지난 5월27일 느닷없이 전화가 걸려왔다. 김포 자택에서 열리는 전시가 내일까지니 와 달라는 것이다.

자기가 하는 줄 알고 예정된 약속까지 취소하며 달려갔으나 서양화가 최선호씨와 도예가 변승훈씨의 전시였다.

너무 실망스러워 “문형의 작품은 언제 보여 줄 거냐?‘고 투덜댔더니 ’한 번 해 볼까‘라는 긍정적인 말을 뱉어 내심 기대하기도 했다.

 

그런데 갑자기 이 무슨 청천벽력이란 말인가?

아무리 가는데 순서가 없다지만, 이렇게 허무하게 떠날 수는 없는 것이다.

그 날 찍었던 기념사진이 영정사진이 되고 그의 마지막 모습이라니 가슴이 미어진다.

 

다른 작가들은 인터넷까지 올려가며 작품을 못 보여줘 안달인데, 어찌 그토록 자신을 알리는데 인색할 수 있단 말인가?

아마 세상 돌아가는 꼴 더러워 몽땅 싸가지고 갔는지도 모르겠다.

아무쪼록 저승에서나마 당신의 전람회도 열고, 당신의 생각을 담은 글도 발표하구려.

그리고 미워도 이 세상 끝까지 그 아름다운 향기를 좀 전해주시오.


여보시게 친구! 부디 잘 가시게.

먼저 가신 인사동 터줏대감들께 안부도 전해주고, 저승에서 만나거들랑 푸대접이나 하지 마시게...

 


사진: 정영신,조문호 /글: 조문호

 

 

2015,년 5월 28일, 그의 서재에서

 

 

2015년 5월 28일,자택 뜰에서

2015년5월 28, 서양화가 최선호씨가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라며 간곡히 당부하고 있다.

2015년 5월 28, 사진가 정영신씨에게 저 물 건너가 북한의 개풍군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2015년 5월, 28일, 자택 거실에서 부인 장재순씨와 함께 즐거워하는 모습

 2015년 5월, 28일, 필자와 함께

 

 

 

신학철선생 부인 김태순여사의 장례를 기록하러 왕십리로 나왔다.
19일 정오무렵 집을 나와서는, 발인 할 때까지 견디려고 술도 아껴 마셨다.
그러나 그 것도 잠깐일 뿐, 술이 술을 마시게 했다. 

술이 취해 실수할까봐 틈틈이 휴게실에 앉아 졸기도 했다.
잠결에 문영태씨를 만났으나, 갑작스런 박재동화백의 전화에

사진 찍는 걸 잊어버렸다. 이제 잊어버리는 일도 다반사다.

문상객 중 장례식장을 가장 오래 지킨 분은 주재환선생이었다.
그렇게 열심히 마시고도 견디시는 걸 보니, 아직 청춘이셨다.
후배가 모셔드린다고는 했으나, 일산까지 잘 가셨는지 모르겠다.

자정이 넘어서는 인근 술집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정환, 김태서, 조경숙, 심광현, 김한영, 황호창, 김용철씨와 함께 했다.
술자리에서 노래를 부르며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김태서씨의 춤만 기억난다,

너무 취해 장례식장으로 돌아 와, 상주 틈에 비집고 누워 버렸다,
인기척에 눈을 떠니, 어제 갑자기 사라졌던 장경호씨였다.
벌써 발인할 시간이 되었다는 것이다.

시간이 가까워지니 좀 전에 같이 마셨던 김정환, 김한영, 황호창, 조경숙,
김용철씨가 복귀했고, 이상호씨는 조간신문의 부고를 보고 급히 달려왔다고 했다.
시락국으로 속을 달랜 후, 카메라 건전지와 CF카드를 점검했다.

그러나 김천 장지까지 따라 가려던 촬영계획이 갑자기 무산되었다.
가족끼리 오붓하게, 마지막 례를 올리겠다는 가족회의가 있었단다.
딸들의 파워를 시기한 김정환씨는 버스에 올라 버티기도 했으나, 이상호씨가 데려왔다.

가랑비 속으로 사라지는 상여차를 바라보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