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파리로 떠나기 전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인사동 길은 매우 고즈넉했었다. 화랑, 화방, 붓 가게, 한지파는 가게, 화가들의 작업실, 그리고 골동품 가게들…. 서울 한가운데 자리 잡았지만, 왠지 이곳은 시간이 오래 머물다 가는 거리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 시절 안국동과 수송동, 경복궁 앞에 화랑들이 몇 개 있었다. 그곳에서 누가 전시 오픈이라도 하는 날이면 지금의 쌈짓길에 위치한 유일한 한옥 고깃집에서 뒤풀이를 하며 정담을 나누곤 했던 기억이 난다. 골동품과 그림에 관계되는 사람들이 조용히 들렀다 가곤 했던 서울에선 덜 붐비는 곳이었다.물론 세월이 흐르고 여러모로 발전돼서 그렇겠지만, 지금의 인사동은 명동 뺨치듯 주말엔 사람들로 붐빈다.

얼마 전 화랑에 일이 있어 가는 도중에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되는 이벤트들을 경험했다.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인사동 입구에 마련된 야외무대에서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들어야 했다. 노점상에서 파는 호떡을 하나씩 입에 물고 걸어가는 아베크족들과 천원, 이천 원 하는 삑삑이를 불어대는 애들, 화장품 가게에서 호객하는 아르바이트생들을 스치며 가다 보니 어느새 꽹과리를 울리며 사물놀이 하는 패들이 옆을 지나가고 있었다. 가방가게나 옷가게 등 구경하는 인파와 꿀타래 만드는 장면을 구경하는 사람들 사이를 다시 요리조리 피해서 걷다 보니 ‘아~ 시끌벅적한 난장이 따로 없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며칠 전 주차금지 팻말에 적어놓은 낙서가 생각이 났다. “인사동 인사동 그래서 왔더니 볼 건 하나 없고”

어느 나라든 화가들이 모이고 화랑이 생겨나면 그 지역은 사람들이 많이 찾게 되는 명소가 되어버린다. 그런데 그림이 있고 골동품이 있고 문화의 향기가 배어 있을 때 그렇다는 말이다. 인사동 하면 그림과 골동품이 있는 미술, 문화의 거리라는 인식이 짙게 깔린 곳인데, 화랑, 골동품 작업실 대신 노점상, 화장품, 가방, 옷가게, 식당, 찻집, 싸구려 기념품 가게 등이 대신해 버렸다. 국악은 국악의 거리에서 하면 되고, 화장품이나 옷 등은 그런 상권이 잘 발달하는 곳에서 사면 된다. 호떡이나 아이스크림 사 먹으러 굳이 인사동까지 안 와도 된다. 자선 노래 부르는 걸 굳이 인사동에서 부르는 게 좋을까?

누구의 탓을 하는 게 아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자.

만약 인사동에 미술적인 특성이 사라진다면 인사동이라는 명소로 존재 가능할까? 우선은 갤러리나 아트 관련 가게가 아닌 일반 업종에 세를 좀 비싸게 받는다 쳐도 얼마나 오래갈 수 있을까? 다른 상권들과 거의 비슷한데 큰 상권들과 경쟁해서 이길 수 있을까?

모 여대 앞거리를 생각해 보기 바란다. 텅텅 빈 가게들을 다시 회복하려고 이제야 월세도내리고 노력들 한다. 그리고 누가 어디서 그런 아이디어를 냈는지 모르지만 왜 인사동에 무대 공연장이필요한지, 왜 옛적 고관대작들 행차 행사가 인사동을 거쳐 가야하는지 내 조그만 머리론 이해가 되지 않는다.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해서? 미술의 거리엔 미술의 거리답게 연극의 거리엔 연극의 거리답게 음악의 거리엔 그런 거리답게 내버려 두면 좋겠다.

제발 똑같은 싸구려 난장을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다. 뉴욕 소호에 있었던 화랑들이 다른 일반 가게들이 자꾸 들어오니 임대료가 비싸지고 그러니 첼시로 다 옮겨갔다. 소호는 예전처럼 명성을 얻을 수 있을까? 파리 6구 생제르망데프레에는 세느가(rue de seine)가 있다. 인사동처럼 길쭉한 거리다. 인사동의 30년 전과 비슷한 분위기였다. 지금도 그곳은 그대로이다. 화랑들이 양쪽으로 쭈욱 있고 가운데쯤 오래전부터 화가들이 차 한 잔씩 했던 딱 한 군데의 카페 팔레트가 있을 뿐이다.

인사동은 너무 많은 변화로 설명 불가하다. 세느가나 근처엔 아트에 관련된 가게들 외엔 들어올 수가 없게끔 시에서 미술의 거리를 보호한다. 물론 세계적 명품회사들이 근처에 가게를 내고 침투해 들어오려고 하지만 핵심 미술의 거리엔 들어올 수가 없다. 그러니 오히려 더 멋진 세계적인 명소가 될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미술에 관심이 많은 내외국인이 차분하게 그림과 골동품을 감상하며 감동을 마음에 안고 가는 진짜 인사동을… 진짜 명소를 다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까

글 / 김정수 [서울아트가이드5월호]


▲ 인사동에 전통성이 사라지면서 관광객이 줄고 있다.[사진=더스쿠프 포토]



전통의 거리 인사동에 ‘전통’이 사라지고 있다. 프랜차이즈가 대거 들어서고 있는데다 전통상점에서는 국적 불명의 공예품이 판을 치고 있어서다. 반면 중국의 전통거리 류리창은 여전히 고색창연한 자태로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 인사동이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류리창을 벤치마킹해야 하는 이유다.

‘어떤 관광지를 갈 것인가’는 여행 계획을 세울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 중 하나다. 각각의 관광지가 저마다 뚜렷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정체성’이다. 그것이 아름다운 자연경관이나 독특한 건축물일 수도 있고 값싸고 진귀한 상품을 파는 재래시장일 수도 있다. 사람들은 그 정체성만 보고 해당 지역을 찾을 공산이 크다. 정체성이 관광산업과 지역 상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우리나라도 관광명소로 손꼽히는 곳이 많다. 그중 하나가 인사동이다. 인사동은 전통문화 상점, 전통찻집 등 한국의 멋을 간직하고 있어 특히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다. 실제로 서울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서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중 인사동을 찾은 비율은 49.2%에 달했다. 서울에 오는 관광객 중 절반은 인사동의 정체성 ‘전통’에 끌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전통문화거리 인사동에서 전통이 사라지고 있다. 인사동에서 파는 전통 기념품 중 열에 아홉은 중국산이다. 더구나 전통문화 상점을 화장품 가게가 대체하기 시작했다. 중국ㆍ동남아 관광객에게 국산 화장품이 인기를 끌자 화장품 가게가 인사동마저 잠식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 그 지역의 정체성은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다. 정체성을 잃은 인사동이 곧 사람도 잃을 거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전통거리를 살리기 위해 대책을 세워야 하지 않을까. 필자는 해답을 중국의 류리창琉璃廠에서 찾았다. 중국 베이징北京의 중심부에 위치한 류리창은 인사동과 마찬가지로 옛 모습을 간직한 전통거리이자 관광명소다. 필자가 이곳을 처음 방문했을 때 가장 놀란 점은 청나라 시절의 일상적인 풍경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었다. 여기에 상점에서 파는 여러 골동품을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했다.

베이징 시 당국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이곳을 ‘역사ㆍ문화 창의 산업 집중 구역’으로 지정했다. 거리를 넓히고 전통문화 상점도 유치했다. 이로 인해 류리창은 300년 전의 향취를 느낄 수 있는 명물 쇼핑가로 탈바꿈하고 있다. 많은 관광객이 류리창에 관심을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실 류리창이나 인사동이나 정체불명의 쇼핑 거리로 퇴색할 여지는 언제나 있다. 하지만 옛 골목과 건물이 잘 보존돼 있는 류리창에 비해 인사동은 외적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이 다르다. 인사동은 그만큼 내실로 승부를 봐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인이 앞장서야 한다. 과거의 대상인들은 이윤보다 신용을 중시했다. 이윤은 쉽게 나고 사라지지만 신용은 쌓기는 어려워도 한번 쌓으면 평생 장사에 도움이 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신용의 중요성이 21세기엔 정체성의 중요성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신용문제는 많이 개선된 반면 정체성은 여전히 시장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취향을 소비하는 현대 사회에서 오래도록 신경 써서 만들어야 하는 것이 정체성인 것이다.


[이기현 더스쿠프 객원기자 lkh@thescoop.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