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임재천씨 전시에서 작당한 일이 하나 있다.
인천의 김보섭씨가 민어회가 맛있는 철이라며, 한 번 놀러오라 했다.
모두들 가겠다고 했으나, 술자리에서 오간 말이라 새겨듣지는 않았다.
그런데, 4일 오후5시, 인천역에서 만나자는 이규상씨의 메시지가 떴다.

그 날은 이명동선생 댁에서 시간을 보내 허급지급 달려갔다,
다행히 아슬아슬하게 시간 맞출 수 있어 한 숨 놓았는데,
‘차이나타운’방향으로 나가니, 모두들 기다리고 있었다.
김보섭씨를 비롯하여 이규상, 안미숙씨 내외, 엄상빈,

김 헌, 남 준, 이영욱씨 등 일곱 명이 나와 있었다.

다들 간편한 차림이었으나, 김보섭씨와 남 준씨는 중무장을 하고 나왔다.
무더운 날씨라 땀이 줄줄 흘렀으나, 역전의 용사다웠다.
김보섭씨의 안내로 변모하는 차이나타운을 거쳐,
김보섭씨 ‘바다사진관’촬영 현장이었던 만석부두로 옮겨갔다. 

찍을 때의 사진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니, 더 친숙하게 닥아 왔다.

윗도리를 벗은 채 당당하게 포즈를 취한 그 어부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한 인간과 연결된 구체적인 장소성이 주는 의미가 현장감을 더했다.

뜻밖에도 김보섭씨의 ‘바다사진관’사진을 인근에서 볼 수 있어, 더 좋았다.
그 동네에 ‘우리미술관’이란 조그만 갤러리가 있었는데, 마침 초대전이 열리고 있었다.

사실, 사진전은 사람들이 많은 서울의 큰 전시장에서 하는 것 보다,
사진의 배경이 되어준 동네전이 사진을 찍은 작가로서는 또 다른 보람을 느낀다.
나도 ‘두메산골사람’전시를 그 사람들이 사는 분교를 돌며 한 적이 있기에, 
김보섭씨의 자부심이 점쳐졌다.

여태껏 인천을 여러 차례 오갔지만, 만석부두 후미진 곳을 골고루 돌아 본 적도 처음이었다.
오랫동안 현장을 기록해 온 김보섭씨의 안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현장답사에서 재 인식된 것은 김보섭씨의 인천에 대한 지극한 애정이었다.
긴 세월 인천의 역사적 현장들을 기록하며, 그만큼 껴안아 온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이런 사람에 감사하지 않고, 어떤 사람을 내세우는지 모르겠다.
한 시간 반 가까이 돌아다니다, 모두들 횟집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보섭씨는 식당 집 할머니가 인간문화재급이라며 칭찬이 대단했다.
그 큰 민어를 여유롭게 다루는 걸 보니, 일단 보통 솜씨는 아니었다.
드디어 민어가 상에 올랐는데, 살점을 듬성듬성 잘라 푸짐했다.
입에 들어가니 살살 녹는데, 오죽 맛있었으면, 엄상빈씨는 집사람 걱정을 해댔다.
집에 남겨 둔 마나님 생각에 차마 먹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 같이 오기로 했지만, 허리를 다쳐 못 왔기 때문이다.

시원하게 끓인 서더리탕 안주에 소주가 입에 짝짝 달라붙었으나, 술을 자제해야 했다.
술 취해 오버해 대면, 아내가 난처 할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제 마누라 눈치도 봐가며, 알아서 기야 살아남는다.
갈 길도 먼데, 부루퉁해 있으면 입장 곤란하거던...

어쨌든, ‘바다사진관’ 답사도 답사지만, 맛있게 먹고, 잘 놀았다‘

사진, 글 / 조문호


















































권태균사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 우리나라 다큐멘터리사진의 현 단계를 진단하는

‘한국사진과 권태균사진’이란 주제의 특강이 지난21일 오후4시 강남에 있는 ‘스페이스22’에서 열렸다.


그동안 이광수교수의 특강을 기다려 왔으나, 먹고 사는 일로 40여분이나 늦어버렸다.

30여명의 사진인들이 듣고 있었는데, 강의 중간에 들어가기가 좀 창피했다. 


이광수교수의 많은 이야기를 놓쳤지만, 강의의 요지는 가장 한국적 사진이라는 평가를 받아 온

권태균씨의 작품세계를 놓고, 과연 한국적 다큐멘터리란 어떤 사진이냐에 모아졌다.

대개 우리의 전통적 생활관습이나 한국적 정서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교수는 우리의 두레문화에 의미를 두었다.

끈끈한 정과 한으로 뭉친 우리민족의 정체성이란 공동체적 삶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즉 대동 문화를 말한 것이다. 88올림픽, 월드컵 등 스포츠에서부터 광주항쟁 등의 정치적 투쟁에 이르기 까지

다른 나라와는 또 다른 끈끈한 결집력을 보여 왔다는 점을 들었다.

다큐멘터리사진이란 주제나 소재가 정해지면 접근 방법, 즉 어떻게 찍을 것이냐에 많은 작가들이 고민하는데,

그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대정신, 즉 문제의식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권태균씨의 80년대 작품 ‘노마드’는 그 방법론에서 갈등의 흔적이 역역하다고 말했다.

강운구선생께 체득했을 법한 자연스럽고 정갈한 구도였던, 평소의 접근방법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이갑철씨 사진처럼 카메라앵글을 의도적으로 비뚤게 한다든지, 사람의 몸을 과감하게 잘라내는 등

서구스타일의 사진들도 뒤 섞인 걸 보면, 전통과 외래 사이에서 상당히 고민 했을거라는 거다.


결국 그의 사진적 관심은 우리의 삶의 자취가 사라져가는 아쉬움에 모아져 있었다.

“시간과 겨루기에서 슬프지 않은 것이 없다“는 강운구선생의 말처럼...

그러나 우리가 여지 것 본 권태균씨의 사진들은 대부분 80년대에 한정되어 있다.

그 이후의 작품세계가 어떤지는 앞으로 더 지켜보고, 연구할 문제다.

2시간 넘게 진행된 특강에서 김문호, 김봉규씨 등 여러 사진가들이 자신의 생각을 개진하는 등

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어갔다.

 

강의가 끝난 후 ‘북촌’으로 자리를 옮겨 이광수교수 표현대로, 또 한 잔 꺾었다.

그 자리에는 전시와 특강을 주관한 ‘눈빛출판사’ 이규상, 안미숙 내외를 비롯하여 이광수, 김문호, 엄상빈,

김남진, 정진호, 윤승준, 이은숙, 이유홍, 김 원, 마동욱, 장수진, 고정남, 노형석, 이규철, 성남훈씨가 함께했다.

사진, 글/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