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York 1987~2016
오치균展 / OHCHIGYUN / 吳治均 / painting


2016_0304 ▶ 2016_0410 / 월요일 휴관


오치균_West Broadway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30×194cm_2015



초대일시 / 2016_0308_화요일_05:00pm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월요일 휴관



금호미술관KUMHO MUSEUM OF ART

서울 종로구 삼청로 18(사간동 78번지)

Tel. +82.2.720.5114

www.kumhomuseum.com



감각의 도시-오치균의 뉴욕 풍경 ● 뉴욕은 오치균에 있어 특별한 도시이다. 그는 서른 살 때 뉴욕에 첫 발을 디딘 후 지금까지 30년간 이 도시를 계속적으로 그리고 있다. 먼저 그가 지난 시간동안 그려온 뉴욕 그림들은 시기별로 대략 세 단계로 나눠 볼 수 있다. 『뉴욕 1기』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이며, 1992년부터 1995년까지는 『뉴욕 2기』, 2014년 가을 뉴욕을 여행하면서 받은 인상을 담은 그림은 『뉴욕 3기』로 나눠 볼 수 있다. ● 오치균의 뉴욕 생활은 1986년 그가 브룩클린 미술대학에서 공부하게 되면서 처음 시작하는데, 그의 유학기는 1990년까지 이어진다. 『뉴욕 1기』라 부를 수 있는 이 시기에 그는 극심한 생활고 속에서 고독하게 작업한다. TV 불빛에 비춰진 자신의 신체를 클로즈업해서 그린 「인체」, 뉴욕의 지하철 공간을 암울한 폐쇄 공간으로 그린 「뉴욕-지하철」, 자신이 살던 아파트 공간을 다양한 각도에서 그린 「실내 공간」이 여기에 속한다.


오치균_A Figure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208×163cm_1986


오치균_Cement yard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5×137.5cm×4_1995


오치균_Central park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62×108cm_2015


오치균_Empire state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97×133cm_1994


오치균은 유학생활을 마치고 1990년 한국에 귀국하여 활동하다가 1992년 뉴욕으로 되돌아간다. 한국 화단에 돌아와 인정받게 되면서 생활이 안정되었지만, 1992년 뉴욕의 『Gallery There Zero』에서 열리는 개인전을 계기로 뉴욕으로 되돌아간다. 이듬해인 1993년에 딸이 태어나면서 뉴욕 생활은 더 길어지는데 그는 1995년까지 다운타운인 소호지역에서 살면서 뉴욕의 이모저모를 화폭에 담아낸다. 이 시기가 바로 『뉴욕 2기』이다. 초기에는 뉴욕의 초고층 빌딩숲을 파노라마로 담아내는 작업들을 시도했고, 1995년부터 여기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담아낸다. ● 그리고 지난 2014년 가을 뉴욕을 다시 찾아 전혀 새로운 뉴욕의 모습을 체험하고 그것을 화폭에 담게 된다. 센트럴 파크 연작이 『뉴욕 3기』를 대표한다. 그는 이전에도 수도 없이 센트럴 파크를 지나다녔겠지만, 이 공원의 풍경이 눈에 들어 온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고 한다. 정확히 30년이 걸려 센트럴 파크의 가을 단풍이 평화롭게 그의 눈에 잡혀 화폭으로 옮겨지게 된 것이다.


오치균_Empire State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264×176cm_2015


오치균_Homeless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06×121cm_1987


오치균_Houston Street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69×111cm_1995


오치균_Subway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04×121cm_1987


오치균_World Trade Center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60×51cm_1995



이번 금호미술관에서 열리는 오치균 전은 그가 뉴욕에서 그린 그림들을 중심으로 짜여진다. 나는 작가에게 '왜 뉴욕이냐?'고 물었다. 그는 뉴욕이 한마디로 복합적인 곳이고, 그래서 그런지 오래 동안 겪어 봐도 지루하지 않은 곳이라고 답하였다. 뉴욕은 인종도, 문화도, 계층도 극단적으로 다채로운 곳이라는 것이다. 그런 뉴욕에서 그는 완전히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해서 작가로 한 걸음씩 성장해 나갔다. 따라서 오치균의 뉴욕의 이미지는 다른 어떤 주제의 그림보다 더 그의 작가적 삶을 다채롭게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 신기루처럼 환영으로 가득 찬 도시가 그의 손길에 의해 만져질 듯 점차 생생하게 다가오는 게 신기하기만 하다. 뉴욕 1기, 2기, 3기의 그림을 나란히 놓고 보면 모호한 어둠의 도시가 따뜻한 질감의 옷을 입고 재탄생하는 과정을 목격할 수 있다. […] ● 오치균이 유학 귀국 후 처음으로 열었던 금호미술관에서 30년 만에 다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자동적으로 회고전 성격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번 금호미술관 전시가 그에게 새로운 도전의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이는 나뿐만이 아닐 것이다. 현대 문명의 발전에 따라 시각 이미지가 모니터나 출판 인쇄물에 얹혀 우리 눈에 매끄럽게 들어오면 올수록 그가 만든 거칠고 일렁이는 화면은 더 독특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체험의 원천으로 감촉을 근원적으로 되살리는 오치균에게 더 많은 도전의 세계가 열려 있는 셈이다. ■ 양정무



Vol.20160304j | 오치균展 / OHCHIGYUN / 吳治均 / painting



신학철작



인사동 ‘가나아트센터’에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리얼리즘 미술을 재조명하는

한국현대미술의 눈과 정신 ‘리얼리즘의 복권’전이 열리고 있다. 


민중미술은 1980년대 '현실과 발언'전으로 시작되어, 1984년 '한강미술관'개관, 1985년 '아랍미술관'의 

'20대의 힘'전 사건, 1985년 '민미협'창립, 1986년 '그림마당 민'개관 등은 70년대 이후 모더니즘 일색이던

화단에 큰 변혁을 일으키며 '80년대 미술'을 꽃피웠다.


작품들이 철거당하고 작가들이 연행되는 등 많은 질곡의 세월을 거쳤으나,

뜬 구름 잡듯, 현실을 무시한 예술지상주의에 쐐기를 박고, 미술이 사회현실에 참여하는 계기를 만든 것이다.

아무튼 기존의 미술이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면, 그 대척점엔 이른바 '민중미술'을 포함한 '리얼리즘 미술'이 있었다.


이 기획전은 당대의 정치 사회적 현실을 비판하는 ‘민중미술’의 구작들이 주를 이루었다.

민중미술계열 전시였으나, 이와 전혀 무관한 오치균, 고영훈씨를 끼워 넣어 기획의도를 아리송하게 했다.



콜라주 기법을 통해 역사의 흐름과 모순을 그려 낸 신학철의 한국 근대사, 황재형의 사북탄광 풍경과 광부,

그리고  이종구의 쌀 포대에 그린 농민들의 모습,  형상의 근원을 찾아가는 권순철,

시대의 부조리한 현실을 의식의 각성과 시각적 혁신을 보여주는 임옥상의 들불,

실경 산수를 새롭게 해석하는 민정기씨 등 우리나라 민중미술가 여섯 명이 참여했다.


이 전시는 우리 미술사의 한 부분을 다시 보여 준다는 것 외는, 큰 의미는 지니지 못했다.

참신한 기획력이 없고, 전시 구성도 왔다 갔다 했다.

민중미술 작가군에 끼지 않는 이질적인 작가를 뒤 섞어 놓은 것도 속보인다.

사실 단색화그림의 인기에 이어, 민중미술이 뜨고 있는 현실을 간파한 기획전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민중미술의 특징은 사회적 현실을 다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난 향수를 돌아보다 것 보다, 현재 진행형이 더 중요한 것 아닌가?

그 많은 민중작가들을 제외한 채, 유명작가 위주로 향수를 건드린다는 건, 다분히 장삿속이다.

이건 오히려 민중미술의 힘을 꺾으려는 의도가 숨은 게 아닌 가 의심된다.

그 것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지난 달 ‘인사가나아트’에서 열린 “7인의 사무(또)라이”전을 들고 싶다.

이 전시는 우리나라 민중미술의 일선에서 활약하는 젊은작가들이 모여,

없는 돈 끌어 모아 대관료까지 물고 열었으나, 전시 직전 갤러리 측에서 제동을 걸었던 전시다.

결국 전시장 입구에 가림 막을 치고 미성년자는 볼 수 없는 전시로 합의하여 전시는 치렀지만,

지레 겁먹어, 스스로 본색을 더러 낸 것이나 마찬가지다.

문화예술로 돈 버는 이가, 무슨 권력으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단 말이냐?

못된 자본권력이 문화권력으로 둔갑해 예술가들을 좌지우지하는 것이다.


'가나인사아트' 전관에서 열리는 이 전시는 2월 28일까지 이어진다. 관람료3,000원


글/ 조문호


전시된 황재형 작품일부


신학철작


신학철작


황재형작


황재형작


황재형작


이종구작


이종구작


권순철작


권순철작



임옥상작


임옥상작



민정기작


민정기작


오치균작


오치균작


고영훈작


고영훈작


위 아래 작품은 신학철씨의 작품으로 기존작품과는 전혀 다른 서정적 향토성을 띄고 있다.

소장자는 본 전시자문을 맡은 유홍준교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