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터줏대감이신 시인 강 민, 소설가 김승환, 민속학자 심우성선생께서 모처럼 인사동에 나셨다.

‘툇마루’건물 1층에 새로 생긴 '나주곰탕'이 괜찮다며, 세 어르신께서 오찬모임을 가진 것이다.

복분자를 반주로 맛있게 드셨는데, 심우성선생은 다음 달 넋전공연을 앞둬 그런지 기분이 좋아 보였다.

그 날은 돈을 부쳐왔다며 선생께서 밥 값을 내셨다. 사실 세 분 중에는 주머니 사정이 제일 낫다.

여관비나 식권을 대주는 후배도 있고, 원고료도 가끔 들어오기 때문이다.

식사가 끝난 후, 옛 날에 즐겨 다니신 인사동 술집들은 어디였는지 여쭈어봤다.

80년대 중반은 ‘실비식당’이나 ‘하가’였지만, 그 이전 선생님들께서 다니신 곳이 궁금해서다.
관철동을 주 무대로 오가던 문인들이 70년대 후반부터 하나 둘 인사동으로 옮겨왔으나,

갈만한 술집은 그리 많지 않았다고 한다. 한 참 뒤에는 천상병시인의 부인께서 운영한 찻집 “귀천”이나

“누님손국수”에 자주 다녔고, 그 밖에 '사천집', '이모집' 등이 기억난다고 하신다.

‘인사동 사람들’에서 커피 한 잔 시켜놓고 시간죽이다, 심우성, 김승환선생은 먼저 들어가셨다.

강민 선생따라 술집을 찾아나섰으나 ‘유목민’은 아직 문이 걸려있고,‘푸른별 주막’은 청소가 한 창이었다.

그래도 모퉁이에 자리 잡아 막걸리와 노가리를 시켰다.
물 뿌려 빗질 한 후라 먼지 냄새가 자욱했지만, 오랜만에 맡는 먼지 냄새에 옛 생각이 왈칵 밀려왔다.

80년대 ‘실비집’에 들려 청소를 지켜보며 술벗들을 기다리던 생각이...

그 때나 지금이나 인사동을 찾는 예술가들은 벗이 그리워 인사동에 나올게다.
예전에는 핸드폰이란 게 없어, 무작정 나와도  벗들을 만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전화통을 몸에 달고 다니지만, 더 만나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상대를 배려한다지만, 어쩌면 마음의 벽이 두터워졌는지도 모르겠다.

강 민 선생도 술이 고파 인사동을 배회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그리워서일게다.
인사동에 그 많은 술집들이 널렸지만, 굳이 문 닫힌 뒷골목을 배회하는 것도,

행여 반가운 사람이라도 만날까하는 막연한 그리움 때문이다.

낭만은 사라지고, 인정이 메말라가는 인사동, 그 때 그 사람들이 그립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