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찬모 'Meditation' 초대전이 '인사아트프라자'에서 지난 31일 개막되었다.

 

전시된 히말라야 설산은 아름다움을 넘어 신비로운 생명의 숨결로 가득하다.

설산에서 영적 에너지가 솟는 것은 작가의 간절한 기도에 의한 것이다.

 

작가는 20여 년 전, 히말라야 설산을 보고 큰 깨달음을 얻어 작품 세계에 일대 변화가 일어났다.

예전에는 인사동 풍류객으로 살았으나, 그 이후부터 그의 기행은 전설이 되어버렸다.

스님처럼 술과 고기도 멀리하며 간절한 기도를 화폭에 옮긴다.

 

명상과 기도에 의한 설산은 차가운 한기가 아니라 따뜻한 온기가 번져

보는 이로 하여금 따뜻한 사랑의 빛에 휩싸이게 만든다.

 

이 전시는 612일까지 열린다.

 

또 다른 작품도 선보였다.

 

좀 늦게 간 개막식에서 강찬모화백을 비롯하여 장경호, 이두엽, 조준영, 최유진,

방기식, 정영신, 노광래, 덕원스님, 황경애씨 등의 반가운 분을 만났다.

 

 '인사아트프라자' 5층 레스트랑에 마련한 만찬장에서 함께 식사를 했다.

 

그 날 2차는 언론인 이두엽씨가 '흐린세상 건너기'에서 샀다.

조준영, 장경호, 정영신, 최유진씨가 함께 한 자리에서 인사동 추억몰이가 시작됐다.

"술 귀신 강찬모 오기 전에 도망가자"는 전설에서 부터,

인사동을 들락거리며 이야기거리를 만들었던 풍류객의 만행을 낱낱히 폭로했다.

이두엽씨가 인사동에 관한 추억몰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니, 다들 기대하시라~

 

 

 

線(The Lines): 선 건너 우리에게 안부를 묻다
노춘호展 / ROHCHOONHO / 盧春浩 / photography

2019_0514 ▶︎ 2019_0519 / 월요일 휴관



노춘호_평안북도 신의주시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67×100cm_2018


초대일시 / 2019_0514_화요일_05:00pm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월요일 휴관



사진위주 류가헌

Mainly Photograph Ryugaheon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6(청운동 113-3번지)

Tel. +82.(0)2.720.2010

www.ryugaheon.comblog.naver.com/noongamgo



노춘호의 線 The Lines - 다가갈수록 멀어지는 풍경 ● 통일과 북한에 대한 많은 사진을 보면서 항상 생각하는 것은 '우리가 보는 사진이 얼마나 정확할까?'하는 의문이다. 분단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휴전선과 DMZ, 그리고 판문점에서 만날 수 있는 대치 상황, 국경지대에서 떠도는 꽃제비의 모습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우리가 보아왔고,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북한의 이미지는 매우 제한된 정보에 근거한 것이고, 이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우리의 판단 또한 제한된 것일 수밖에 없다. 무엇이 진실일지에 대한 해답은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역사만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노춘호의 사진은 중국과 북한의 국경 너머로 바라본 북녘 땅의 모습이다. 이 또한 북한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필요한 완벽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가 사진을 찍는 목적 또한 북한에 대한 완벽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지는 않다.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북한의 정보는 우리가 지금 이해하고 있는 북한의 모습만큼이나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작가 자신이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에서 사진가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상황에서 가장 사진적인 '시각적 해석'을 만들어내는 것에 집중하려고 한다. ● 그가 북한을 바라보는 곳의 경계는 휴전선이 아닌 국경이다. 하지만 분단 조국을 가진 작가에게 중국과 북한의 국경은, 더 이상 국경이 아닌 또 다른 분단의 경계선이다. 동시에 그곳에서 촬영을 하고 있는 작가 자신은 양쪽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주변인이 된다. 마치 서구 열강에 의해 만들어진 휴전선과 6.25 전쟁 이전의 38선에 대해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는 한계적 상황과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한국전쟁을 통해 둘로 나뉜 냉전 상태의 남북관계에서 북한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이런 식으로 그저 바라보는 방법뿐이라는 사실이 슬펐다"고 작가 자신이 술회한 것처럼, 그가 그곳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정체성'을 상실한 존재로서 그저 바라보는 것뿐이었는지도 모른다.



노춘호_함경북도 온성군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67×100cm_2019


노춘호_양강도 혜산시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67×100cm_2019


노춘호_양강도 김형직군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67×100cm_2018

작가의 가족은 한국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 온 실향민이다. 자신의 고향을 잃고 부산이라는 타향에 뿌리를 내리고 경계인으로 살아온 그의 가족사와 마찬가지로 그는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서 또 다른 경계인으로 만나는 낯선 풍경과 담담하게 마주하면서 그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진실'을 사진으로 읽어나가기 시작한다. ● 작가가 사진 안에서 보여주려고 하는 선은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다. 작가가 작품에서 가상적으로 상정한 선은 카메라 파인더 뒤쪽에 있는 작가와 사진을 마주하는 '우리'를 사진 프레임 안에 존재하는 '그들'과 구분한다. 이런 이유에서 사진 속의 선은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경계를 넘나든다. 우리는 사진 속에 실재하는 북한의 모습을 마주하지만, 인민을 의식화 하고, 노동에 동원하기 위해 만든 수많은 붉은 구호와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 지도자들의 사진과 동상과 같은 우상으로 대변되는 허구의 세계를 동시에 만난다. 동상의 머리를 잘라내고 살아 있는 인민의 모습을 강조하거나, 산길을 홀로 지나가는 사람과 왼쪽의 대형 동상을 병치하면서 상반되는 두 세계의 모순을 강조한다. ● 실재와 허구가 공존하는 공간, 그것이 작가가 바라보려고 했던 북한의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그의 사진을 보면서, 마치 광고 이미지가 넘쳐 나는 도심 안에서 무엇이 허구이고, 무엇이 현실인지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한다고 프레드 리친(Fred Ritchin)이 말했던 시뮬라크르로 가득한 세계를 보는듯한 착각에 빠지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노춘호_양강도 김정숙군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33×50cm_2019


노춘호_자강도 중강군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33×50cm_2018

접근할 수 없는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작가가 사용한 망원렌즈는 사진 안에 몇 가지 특이한 효과를 만든다. 망원렌즈는 사진 속 대상들 간의 간격을 실제보다 훨씬 더 좁힌다. 근경, 중경, 원경의 공간적 층위들이 실제보다 훨씬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압축된다. 마치 역사적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하나의 평면 위에 압축 한 것처럼 사진 안에는 다양한 풍경이 병치된다. 그리고 그 안에 또 다른 경계선을 만든다. 통제하는 자와 통제를 받는 자, 동원하는 자와 동원 되는 자, 이데올로기를 만든 자와 의식화된 자, 현재의 삶을 살고 있는 자와 화석처럼 동상과 사진에 갇힌 지도자의 모습이 모두 사진이라는 하나의 평면 안에 압축된다. 일반 풍경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안내선을 제거하면서 그의 사진은, 무대 위에 있는 장면을 촬영한 것과 같은 '극장 효과'를 만들어내면서 그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된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작가의 사진 속 장면은 실제의 모습이지만 지극히 비현실적으로 다가온다. 그의 사진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마치 우리 자신이 에셔의 그림에 나오는 끊임없는 모순의 고리 속에 빠진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에 빠진다. 다가갈수록 멀어지는 그런 모순의 순환 고리 말이다. ● 원근감을 극단적으로 축소한 그의 이미지는 시각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회화 효과를 만들어낸다. 매그넘의 르네 베리(Rene Burry)가 브라질의 상파울로의 높은 건물에서 아래로 보이는 건물위의 사람들과 도로를 촬영한 사진이나 거리 사진가로 잘 알려진 사울 레이터(Saul Leiter)와 앙드레 케르테츠(Andre Kertesz)의 사진처럼 장면을 극도로 추상화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항상 정면을 바라보는 그의 시선으로 인해 사진에 담긴 풍경은 '활인화(tableaux vivant)'를 대하는 것과 같은 비현실성으로 다가온다는 점이다. 이런 독특한 시각화를 통해 그의 사진 속에 담긴 '풍경'은 마치 무대 위의 공연처럼, 아니 한 폭의 그림을 보는 것처럼 비현실화되고, 추상화된다. 그의 사진에 자주 등장하는 안개와 연기처럼 지금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풍경은 머문 자리를 떠나면 이내 사라지고 말 것에 대한 작가의 안타까움을 담고 있는 듯하다. 작가는 풍경의 이런 속성을 통해서 사진의 본질에 한발자국 더 가까이 다가서려고 한다. 하지만 다가설수록 멀어지는 역설의 풍경이다. ● 작가는 자신의 사진적 시선을 특정 이데올로기에 맡기지 않으려고 한다. 다른 분단 이미지가 주장하는 것처럼 자신이 보여주는 풍경이 분단의 모습 전부라고 주장하지도 않는다. 전통 다큐멘터리 사진의 가치가 '통찰력'에 바탕을 둔 해석이듯이, 그 또한 자신이 서 있는 그 곳에서 정치적 색채에 치우침 없는 작가의 시선을 통해 진실에 최대한 접근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그의 사진적 해석을 통해 우리는 한반도의 분단 현실의 내면을 좀 더 가까이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그리고 통일이 과거와 미래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바로 지금 우리가 안고 있는 현실임을 직시할 수 있다. ■ 김성민



노춘호_양강도 혜산시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47×70cm_2018


노춘호_자강도만포시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33×50cm_2018

TV에서는 이산가족들이 30년이 넘는 세월을 아픈 간격을 눈물로 메우고 있다. 이를 하염없 이 바라보고 있는 아버님의 눈 속에는 소주잔이 아른거린다. 3개월 후 아버님은 통한의 세 월을 끝내시고 하늘에서나 고향을 볼 수 있었다. 그 이후로 또 35여 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이 눈물은 지금도 계속 이어진다. 생(生)은 어쩌면 경계에서 한쪽을 선택하거나 선택되어진 결과다. 사람은 누구나 선(線)에 걸쳐 있다. 線 사이에서 단지 저 線으로 넘어가지 않았을 뿐이니 말이다. 전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에 사는 우리에게는 또 하나의 線이 있다. 그 線을 넘어온 사람들, 월남 가족. 그래서 이 땅에 존재할 수 있었던 나에게 한반도에서의 선(線)은 무엇인가? 왜 지금까지도 단 하나의 선은 없어지지 않는가? 이런 물음에서 이번 작업이 시 작되었다. ● 線. 한반도에는 두 개의 線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첫 번째는, 강한 집단들이 어떤 대상에 대해 그 대상의 의사와 관계없이 그들 간의 이해관계에 의해 그어 놓은 線과 그리고 그 線 에서 파생된 대상 내부에서 기득화 된 권력들에 의해 굳어지고 있는 線을 합친 線. 이 線에 의해 한국전쟁에서 3백만 명에 가까운 사망 실종 부상자, 극심한 경제난으로 인한 고난의 행군 시기 희생자, 중국에서 인권유린을 당하는 탈북인,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서 신음하는 북한 주민, 이산가족 등 수 많은 보통 사람들의 아픔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과거의 지나간 기억이 아닌 현재 진행형이다. 이 線은 항상 나에게 질문을 던진다. 과연 국경과 인권은 정 치적 산물이어야 하는가? 이 희생들도 큰 정치적 타협에 묻히고 線은 다시 그어지는 것인 가? ● 두 번째는 같은 언어, 역사, 문화 등을 가진 민족끼리 서로 이어져 더 행복해야 할 이음의 線. 그러나 이 이음의 線은 강한 첫 번째 線에 의해 가로막혀 있고, 세월이 흐르면서 사람 들의 무관심 외면 등으로 그 이음이 점점 느슨해지고 있다. ● 그래서 이 이음의 끈을 잡고 현재 시점에서 권력에 의해 제공된 특정 장소와 시점에서 촬영 된 단위적이고 의도된 모습이 아닌 '지금, 여기'의 보편적인 상태의 線 건너 우리에게 몸은 여기 있지만, 영상이라도 線을 넘어 다가서서 안부를 묻고 싶었다. 그러나 모든 것이 가로 막혀있어 할 수 없이 북·중 접경지역을 찾았다. 그나마 그곳에는 우리와 같은 '보통사람'들 이 있었다. 비록 다가갈 수 없는 線에 막혀, 체제의 감시를 무릎서고 짝사랑처럼 들여다보 았지만, 이념의 간격과 허락 없이 언제든지 보고 싶을 때 서로 볼 수가 있는 보통사람의 본 성으로 보통사람들에게 따뜻함을 전하고 싶었다. 그 너머 많은 우리에게도. ■ 노춘호



노춘호_양강도 혜산시_종이에 피그먼트 잉크젯 프린트_67×100cm_2019

Asking After Us Beyond Boundary Lines ● on TV, separated families have filled the painful 30 years of time with tears and cries. A soju glass glimmered inside the eyes of my father who was blankly watching the screen. Three months later, he was finally able to see his hometown in heaven after an end to his life of bitter grief. 35 years have also passed since then, but the tears and cries still continue to date. Life is probably a result choosing one side or the other on a borderline. ● Every person stands at a line. He/she has not just crossed the line from the other. There is another line to us who live in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People who have crossed the line are the familie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from North Korea. From the questions "What is the lin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hy has this line never disappeared?" to me who has existed on this land, this work began. ● Line. I believe there are two lin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irst one is a line drawn by a strong group on a certain target regardless of its intention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a line that combined the lines hardening by the powers and authorities in the target group derived from the first line. As a result of this line, the Korean War has led to the pains and hardships of so many people including nearly 3 million deaths, injuries, and missing people, victims from the Arduous March due to severe economic difficulties, North Korean refugees whose human rights are being violated in China, North Korean people suffering in political prisoner camps in the North, and separated families. However, these are not past memories and are still present continuous. This line always throws a question at me: Do boundaries and human rights in the end have to be political outcomes? Are these sacrifices buried under major political compromises and is a line drawn again? ● The second one is the line of connection that must be happier by reuniting the people of the same language, history, and culture. However, this line of connection is blocked by the strong first line and over time, its connection has become loose due to people's disinterest and negligence. Thus, instead of a single, intended scene shot at a certain place and time provided by power at this point with this line of connection, I wanted to approach and ask after us across the line over the ordinary state of 'right now, here' while our body stays here, albeit in a video. ● Unfortunately, I had no choice but to visit the border area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ince everything was blocked. At least there were 'ordinary' people like us. Blocked by the unapproachable line, I looked over them like a one-sided love by risking the regime's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till, I wanted to send warmth to ordinary with the innate human nature of ordinary people to see each other whenever they wanted without ideological gaps and permissions—even to many of us across the boundary line. ■ ROH CHOONHO



Vol.20190514b | 노춘호展 / ROHCHOONHO / 盧春浩 / photograph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