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엔 아무런 계획도 없이 무작정 인사동에 나갔다.

한산했던 인사동 거리가 주말이라 그런지 제법 많은 사람이 나왔더라.

 

술 마시기는 좀 이른 것 같아 '나무화랑'부터 올라갔다.

전시장엔 용해숙씨의 '유토피아 삼경'이 열리고 있었는데,

작가를 비롯하여 최석태, 김구, 김이하 시인등 여러명이 있었다.

 

전시는 특정 장소를 입체 거울을 통해 재구성한 사진전인데,

일곱 개의 삼각 피라미드로 구성된 입체 거울이 전시장 한 쪽을 차지하고 있었다.

보기로는 거울 같지만, 잘 가공된 스테인리스였다.

 

가로 3m,·세로 1m의 대형 설치물이라 전시장에 올릴 때 고생했겠더라.

전시하는 사진이 각진 거울의 반사를 통해 태어났으니, 설치물 자체가 작품의 모태인 셈이다.

 

작가는 최석태씨에게 작업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나,

귀가 어두워 무슨 말인지를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거울에 반사된 다각도의 이미지가 장소의 고유성을 허문다는 것 같았다.

 

작가 용해숙씨를 처음 보았는데, 대단한 열정을 가진 여장부란 생각이 들었다.

그 끝이 어디로 향할지는 모르지만, 주목해 볼 작가로 생각되었다.

 

법당 단청을 거울에 반영시켜 유토피아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재구성했는데,

공간을 바라보는 인간 중심적 관점을 다시 생각해보자는 이야기 같았다.

 

거울에 비친 허상으로 기록의 매개인 사진마저 무위라는 걸까?

사진이 폭 넓게 활용되며 사진 본연의 목적에서 점차 멀어 간다는 씁씁한 생각을 하며 내려왔다.

 

벽치기 골목의 ‘유목민’은 초저녁인데도 손님이 많아 앉을 자리가 없었다.

좀 쌀쌀했지만, 담배 피우기 좋은 골목에 상을 차렸다.

 

안쪽에서 마시던 김태영, 이승철 시인, 전상기 문학평론가 등

몇몇 분들이 담배 피우러 나와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최석태, 김구, 김이하씨도 전시장에서 왔으나 자리가 없어 ‘사랑채’로 간다고 했다.

그런데, 김태영씨가 ‘이즈’에서 그림전시를 한다는 소식을 주었다.

시간이 늦어 볼 수는 없었으나, 전시 리프렛과 새로 펴낸 시집

‘버드나무 버드나무 흰 그림자’ 한 권을 선물 받았다.

 

그 자리에서 시집은 읽을 수 없었으나, 리프렛에 실린 그림은 볼수 있었다.

그림에 환영어린 몸짓 같은 것이 어렴풋이 느껴졌다.

흐릿한 붓질에서 인간의 불안감이나 삶에 대한 허무감 같은 것도 고개 내밀었다.

 

그 날은 ‘유목민’과 ‘사랑채’를 넘나들며 마실 수밖에 없었는데,

뒤늦게는 '사랑채'에 안원규씨와 우문명씨도 나타났다.

여기저기 옮겨가며 마셔 그런지 주량을 한참 초과해 버렸다.

 

필름이 끊겨 어떻게 돌아 왔는지도 알 수 없었다.

카메라에 찍힌 사진을 보며 그 날 방기식씨가 있었다는 것도 알았다.

그 와중에 선물 받은 김태영씨 시집을 흘리지 않은 게 신통했다.

 

속은 쓰렸지만, 화장실에 들어가 시집부터 읽었다.

김태영씨 그림과 시의 연관성이 궁금했는데, 공통점이 보였다.

 

 

첫장에 실린 ‘만종’이란 제목의 시는 이러했다.

 

“묻지도 않고

스포츠로 민 머리

손수 감겨주고

뽀드득,

물기를 훔친다.“

 

‘잠꼬대’란 시는 더 난해했다.

“비단길 흰 허벅살 한 입의 사과즙”

 

‘즉물성의 감각, 즉물성의 형이상학’이란 제목의 발문을 쓴 문학평론가 전상기씨는 김태영시의 불친절함을 이렇게 말했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나 전봉건의 초현실주의시, 아니면 김종삼의 음악을 들으면서 떠오르는 감흥을 시화한 방식에 견준다면 어떨까. 예의 없고 불친절하며 뜬금없기로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을 이 시를 보노라면 김태영의 시가 어떨지 감이 올 것이라“ 했다. 그리고 ‘그의 시는 시적 화자의 시작 당시의 생각과 감성을 드러내는데 집중한다고 했다. 즉흥성과 즉물성의 감각을 이미지화하는 것, 다시 말하면 거기에 집중하는 미세하고 예리한 감각의 움직임을 포착해내는 것이 김태영의 시작 목표라고 적고 있다.

 

시어가 잠꼬대 같기도 하고, 아니면 단어를 나열시킨 무슨 암호 같았다.

김태영의 시는 세심한 독해력이 요구되었다,

 

‘고아’

 

​엄마는 어쩌자고

뻐꾸기 둥지였을까

나는 삐뚤빼뚤

도대체 천사는

언제까지나 유구할까

 

임동확 시인은 김태영의 시집에 ‘모순과 소퉁의 시학’이라는 추천사를 썼고,

홍일선 시인은 “천길 나락 ‘절벽’ 속에 피워낸 만다라 시편”이라는 글을 썼다.

요즘 작품들은 너무 난해하다. 

 

사진, 글 / 조문호

 

 
 

 




지난 6일 인사동 ‘나무화랑’에서 칡뫼 김구의 “아프다!?“전이 개막되었다.






그 날은 하던 일을 마무리하려다 개막시간을 한 시간이나 넘겨버렸다.
다들 뒤풀이 장소로 옮겨 버렸고, 작가와 낯선 몇몇 분만 남아 있었는데,
전시장이 한산해 작품은 찬찬히 살펴볼 수 있었다.






전시된 작품에는 분단의 상징 같은 철조망이 자주 등장하였고,
상품에나 붙어야 할 바코드도 여기저기 그려져 있었다.
갈라진 땅에 수술용 가위와 실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분단의 상처와 더불어 욕망에 의한 인간성상실을 말하는 듯 했다.





철조망이 툇줄로 연결된 ‘분단둥이의 탄생’이나
쿠르베의 작품인 ‘세계의 기원’을 패러디한 ‘세계의 상처’란 야한 그림도 있었고,
고사 지낼 때나 등장하는 돼지머리 설치물도 있었다.






휴전선과 인접한 김포가 고향인 작가로서는 분단에 대한 앙금이 남다를 것이다.
어릴 적부터 보아 온 철조망, 즉 분단에 대한 한이 곳곳에 묻어나고 있었다,
서로 편 가르는 단절이나 소통부제가 주는 현실이 아픈 기억을 촉발시켰을지 모른다.
마치, 분단된 사실을 잊고 사는 오늘의 현실을 꾸짖는 듯 했다.






“이 땅에 사는 사람들, 내가 처한 현실, 그 삶의 진면목은 과연 뭘까?
늘 묻던 질문입니다.(중략) 저는 작가 자신도 잘 모르는 공허한 그림을 반대합니다.
우연히 만들어진 이미지에 목매는 작가를 좋아하지 않습니다.“라는
작업노트에 적힌 글에서 분단된 나라에서 사는 작가로서의 아픔이 베인,
문제의식을 읽을 수 있었다.






뒤풀이 장소인 ‘유목민’으로 갔더니, 축하객들이 너무 많아 앉을 자리가 없었다.
정복수, 김진하, 장경호, 이명희, 임경일, 이만주, 김아란, 김행수,
김발랜티노, 하형우, 노광래, 김이하, 강경석, 전강호, 김수길,
유진오. 최명철, 김재홍, 손기환, 이수호, 김명성, 이인섭,
이정황, 장종수, 편근희씨 등 많은 분들이 술잔을 기울였다.





류연복씨를 비롯한 이인철, 박문종, 김현숙씨 등 몇몇은 인근의 ‘사랑채’에 자리하고 있었다.
작가의 인간적 친화력을 엿볼 수 있는 뒤풀이 현장으로, 양쪽을 오가느라 혼자 바쁜 걸음 쳤다.






이 전시는 6월19일까지 열린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