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절 전 날 밤은 고향 생각에 잠을 설쳤다.

영산은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독립만세운동을 벌인 고장이다.

그래서 삼일절이 다가오면 옛 생각이 떠오른다.

 

고향 사람들의 독립에 대한 의지와 기개는 대단했다.

그 독립정신을 되 세기기 위해 만들어 진 것이 바로 '영산삼일문화제'다.

옛 부터 정월대보름이면 즐기던 줄다리기와 쇠머리대기를

60년 전부터 시작된 삼일문화제에 끌어들인 것이다.

 

삼일문화제는 중요무형문화재인 줄다리기와 쇠머리대기 외에도

구계목도, 문오장, 연등놀이 등 많은 전례 민속놀이를 주축으로 3일 동안 치루어 진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뭐니 뭐니 해도 진영을 나누어 벌이는 줄다리기다.

지금은 고향친구인 신수식씨가 이어받았지만, 조성국선생의 열정으로 재현된 민속놀이다.

 

60년 전 삼일문화제가 처음 열릴 때는 중학생 시절이다.

그 당시 부친의 친구끼리 동부와 서부 대장을 나누어 맡았는데,

적장이 된 후로는 원수처럼 으르렁 거렸지만, 지금의 대선 판처럼 추잡하진 않았다.

우리 집은 동부의 거점이 되어 며칠 동안 풍물패 술과 음식 대느라 잔치집처럼 북적였다.

 

 줄다리기도 지금처럼 학교운동장에서 벌인 것이 아니라 영산 큰 들에서 벌였다.

장수들이 말 위에서 칼춤을 추며 진영을 지휘했는데, 줄의 규모도 어마어마했다.

시작을 알리는 총소리와 함께 터지는 군중들의 함성과 자욱한 흙먼지는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밀리고 당기는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동안 곁 줄이 끊어져 넘어지는 사람이 여기 저기 생겨나기도 했으나

승부가 판가름 나는 긴박한 순간들은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고향을 등진 후에도 삼일절이 되면 찾았으나, 카메라 장비를 몽땅 잃어버리는 낭패도 당했다.

삼일문화제는 전국에서 많은 사진인들이 몰려오는데, 카메라를 노리는 전문절도단에게 털린 것이다.

전야제가 있던 날, 고향친구 조대권을 만나 다방에서 차 한 잔 하고 나오니

카메라가방이 감쪽같이 사라지고 없는 것이다.

사진인들이 장비를 차에 두고 간편한 카메라만 휴대하는 습관을 노린 것 같았다.

 

파출소에 카메라 분실을 알리며 사진인에게 카메라를 조심하라는 안내를 부탁 했는데도

그 이튿날 행사장에서 세 사람이 카메라가방을 도둑맞는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

분실한 사람 중 두 사람은 잘 아는 사진가였는데, 나처럼 오래된 차는 차문을 쉽게 열었으나

문이 열리지 않는 좋은 차는 차 유리를 깨어 훔쳐 간 것이다.

 

내가 도둑맞은 장비만 해도 중소형 카메라 바디 세 개에 달린 갖가지 렌즈를 합하면

분실 액수가 만만찮은데, 그 속에는 빌려 온 핫셀브라드 망원렌즈가 있어 더 걱정되었다.

그 외에도 당시 '이미지 라이프'라는 취재대행업을 했는데, 부탁받은 일 때문에 난감했다.

오래 전 찍어 둔 사진으로 어렵사리 위기를 모면한 기억도 난다.

 

근 이십여 년이 지난 일이지만, 그 일만 생각하면 온 몸에 힘이 빠진다. 

분신이나 마찬가지였던 카메라를 모두 잃었으니, 그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카메라를 잊어버린 후로는 삼일문화제에 가기가 싫어졌다.

그 대신 삼일절만 되면 탑골공원에서 선열들을 기리는 것으로 대신한다.

 

이런 저런 생각하느라 늦잠에 빠져들었는데, 눈을 떠보니 오전10시가 가까웠다.

지하철 타러 서울역으로 달려 갔으나 정신없이 타다보니 반대방향의 열차를 탔는데,

남영역에서 내려 갈아타는 어이없는 일도 벌어졌다.

종로3가역까지 몇 구역 되지도 않고 기다리는 사람도 없는데, 왜 그리 서둘렀는지 모르겠다.

 

현장에 도착하니 오전11시가 가까워오고 있었다.

탑골공원에서 열리는 추념식은 끝났는지 공원은 텅 비었고,

탑골공원 주변에는 민족지도자대회나 시민대회라는 이름의 집회가 열리고 있었다.

신명을 돋우는 풍물패를 찍고 있을 무렵, 생각지도 못한 장경호씨를 만난 것이다.

 

그 곳에서 최석태를 만나기로 했다지만, 목부터 추기자며 인사동으로 옮겼다.

술시가 이른지 ‘유목민’도 ‘사랑채’도 모두 문이 잠겨있었다.

둘 다 아침을 먹지 않아 ‘부산식당’으로 갔다.

 

모처럼 시원한 생태탕으로 반주까지 곁들였는데, 그날따라 장경호씨가 술을 아꼈다.

하기야! 매일 같이 마시는 술을 이른 시간부터 취할 수야 없지 않겠는가?

식사가 끝날 무렵이 되어서야 최석태씨가 나타났다.

 

최석태씨 따라 찻집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즐거운 찻집’이라는 처음가는 곳이었다.

술 마시다 차 마시는 별난 자리지만, 아마 그 곳에서 우문명씨를 만나기로 한것 같았다.

그 날 술값과 찻값을 모두 최석태씨가 계산했지만, 술값은 아깝지 않은데 차 값은 왜 그리 아까울까?

 

‘유목민’으로 옮겼더니, 그때 사 전활철씨가 문을 열었다.

그러나 소주 한 병을 다 마셔 더 이상 마실 수가 없었다.

술도 땡긴다고 마구 마시는 것이 아니라 계산해 마셔야 했다.

하루종일 버텨내기 위해 막걸리를 아껴 마신 장경호씨가 이해되었다.

 

‘유목민’ 전활철씨 말로는 가게 문 열 때 들어와 문 닫을 때 간다지만,

술 마시고 싶어서가 아니라 사람이 그리운 것 같았다.

그런데, 장경호씨와는 왜 매번 길이 엇갈렸는지 모르겠다.

 

인사동을 사랑한다는 인사동사람은 많지만, 다들 말로만 사랑한다.

얼마 전 ‘나무화랑’에서 ‘인사동이야기’ 전시할 때 알았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장경호 처럼 인사동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

인사동하면 천상병시인 떠 올리듯, 먼 훗날 화가 장경호 이름을 떠 올릴 것이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