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나무아트’에서 열리는 ‘말하고 싶다’전이 이제 종반에 접어들고 있다.

요즘은 인사동 전시도 대폭 줄었지만, 갤러리를 찾는 관객조차 뜸한 코로나 정국이 아닌가?

그러나 이 전시는 관람객의 발길이 이어지며 많은 작품이 팔리는 이변을 보이고 있다.

물론 참여 작가 열일곱 명의 역량과 작품 내용에 따른 관심이겠으나

아무리 좋은 전시라도 홍보에 따라 관객 수가 좌우될 수밖에 없다.

 

 공산품아트로 신선한 바람을 몰고 온 박 건씨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전시다.

혼자 전시장을 지켜가며 작품 판매에 올인 하고 있다.

물론 김진하관장도 틈틈이 도와주지만, 신들린 듯 전시에 몰두한다.

안 팔리기로 소문난 내 사진이 세 점이나 팔렸다니, 다른 작품이야 말할 것도 없다.

 

불황에 맞서 작품 가격을 파격적으로 책정한 것도 한 몫 했으나,

오로지 박 건씨 노력에 따른 결과다. 화가가 화상으로 전업할까 걱정된다.

혼자 북 치고 장구 치며 매일 매일의 경과를 페북에 올리고 있는데,

어찌 배짱 편하게 방구석에서 뭉갤 수 있겠는가?

 

정 동지 옆구리를 찔러 인사동 나가 밥이라도 한 끼 사라고 했다.

출품 사진도 정동지가 프린트했지만, 사진 판 돈도 정동지가 챙기니

밥도 그가 사는 게 맞지 않나 싶다.

 

지난 19일 정오 무렵, 인사동 ‘툇마루’에서 만나기로 했으나,

추가로 프린트한 사진 때문에 ‘나무아트’부터 들렸다.

전시장에는 박 건씨를 비롯하여 관객 두 명이 작품을 감상하고 있었다.

작품 판매로 연결되진 않았으나, 작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여지 것 판매보다 보여 주는 전시에 그쳤으나 이 전시는 달랐다.

다들 작품 가격을 살펴보며 지갑 사정을 저울질한다는 것은 대단한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서둘러 ‘툇마루‘에 갔더니, 정영신씨와 김진하관장이 먼저 자리 잡고 있었다.

된장비빔밥에다 막걸리와 녹두전 등 음식도 푸짐하게 시켰더라.

 

그런데, 요즘 김진하 관장이 틈틈이 산에 오르더니 몸 짱이 되었단다.

몸도 몸이지만, 산사진에 더 재미를 붙인 것 같았다.

이제 화가와 미술평론가에서 사진가란 이름도 더하게 되었다.

누구나 산에 오르면 사진이야 찍지만, 그가 보는 산은 달랐다.

별거 아닌 풍경 속에 담겨있는 작가의 아우라가 예사롭지 않았다.

덕분에 요즘 김관장이 페북에 올려주는 산 사진 보는 재미도 솔솔하다.

 

안주는 남았으나 술이 모자랐는데, 낮술에 맛이 갈까 더 시켜주지 않았다.

'툇마루'는 갈 때마다 서비스 안주가 나와 하나만 시켜도 될 텐데,

음식이 남아돌아 이 것 저 것 싸오는 주접을 떨게 만들었다.

좌우지간 원님 덕에 나팔 한번 잘 불었다.

 

그 날은 날씨가 포근해 그런지 인사동에 사람이 제법 나왔더라.

이 처럼 모든 것이 정상으로 돌아갔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인사동은 길거리만 돌아 다녀도 많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일층 쇼 케이스마다 전시하는 대표작이 걸렸기 때문이다.

 

전시장으로 올라 와 ‘나무다방’ 미쓰터 김이 타주는 다방커피를 마시며

최백호의 노래처럼 왠지 한 곳이 비어있는 허전함도 느꼈다.

 

한국조폐공사에서 인사동 지점을 냈는지, 박건씨는 전시장에서 지폐를 그렸다.

돈이 박 건 작가의 손을 거치게 되면 지폐 단위가 배로 올라간다.

작가의 말로는 아주 정교한 판화이며 공산품이라는 것이다.

천 원권 지폐에 새겨진 퇴계선생 얼굴에 마스크를 씌우고 거기다 서명을 하면,

돈에 앞서 한 해의 액운을 물리치는 부적으로 변하는 것이다.

 

정영신씨는 십 만원하는 신사임당 지폐는 엄두를 못 내고

만 원 내고 다섯 장을 사 갔는데, 어찌 작가의 품값에 미치겠는가?

그나저나 전시장을 매일 지키는 박 건씨가 안쓰러워 못 보겠다.

환갑이 지난 처지에 보름동안 전시장을 지키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다.

단체전이라 하루에 한사람씩 나누어 지키면 좋으련만, 괜찮단다.

 

하기야! 그가 없었다면 어찌 이런 흥행을 생각이나 할 수 있겠는가?

이번 주말이면 관심 있는 분은 대충 다녀갈 것 같아

월요일은 내가 전시장을 지키기로 했다.

 

월요일에 인사동 나올 걸음 있는 분은 ‘나무아트’로 구경 오세요.

전시장 문 닫는 오후6시 무렵에 ‘유목민’에서 술 한 잔 합시다.

 

사진, 글 / 조문호

인사동이 인사동 같지 않다.

그 많은 인파는 오간데 없고, 북한 거리처럼 적막강산이다.

전시장이나 가게들은 겨울철이라 날릴 파리조차 없다.

빈 점포에 임대 쪽지 붙은 곳이 도처에 늘렸다.

 

전염병이 끝나면 본래의 인사동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아마 많은 것들이 바뀔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갤러리들은 밀린 임대료에 버텨내지 못하고,

팔리는 작품조차 없으니 작가인들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나 역시 코로나에 주눅 들어 인사동 출입을 자제하지만,

요즘은 비교적 자주 가는 편이다.

인사동 ‘나무아트’에서 ‘말하고 싶다’가 열리기 때문이다.

그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말하고 싶다’가 드디어 말했다.

 

이 전시는 정치 풍자와 더불어 역사에 대한 이야기.

현실의 아픔과 분노 등 다양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인사동 미술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좋은 작품을 싼 가격에 판매한다는 것이다.

 

‘말하고 싶다’는 소통만이 아이라 유통에 초점을 맞춘 전시로

반출 없는 완판 전을 목표로 세웠기 때문이다.

이 불경기에 전시 닷새 만에 숱한 작품이 팔려나갔는데,

팔리지 않는 나의 홈리스 사진도 두 점이나 팔렸다.

 

전시작은 고경일, 김우성, 레오다브, 박건, 박순철, 박재동, 성완경,

아트만두, 이윤엽, 이하, 이태호, 이현정, 조문호, 주 홍, 정보경,

하일지, 홍성담씨 등 열 일곱 명의 야전 작가가 참가하고 있다.

 

인사동 활성화와 작가 생존을 위해 인사동에 전시 보러 가자.

날이면 날마다 오는 기회는 아니다.

전시는 26일까지다.

 

사진, 글 / 조문호

 

위쪽 사진은 1월 13일 찍었고, 아래 사진은 12일 찍었다

지난 추석 무렵 ‘예술의 전당’에서 전시하기로 했던 ‘말하고 싶다’전이

적페들의 농간과 코로나에 밀려 해를 넘긴 지난 13일에서야 ‘나무아트’에서 선보이게 되었다.

 

이윤엽

 

당시 응모했던 ‘예술의 전당’ 전시 기획안이 확정되자 아트만두가 전시 홍보를 위해

자신의 연재 시사 캐리커처를 활용한 웹 포스터를 만들어 페이스북에 내 걸었는데,

조국 전 법무장관이 이 웹 포스터를 자신의 페북에 연결하여 붙인 것이다.

조국의 페북을 주시하던 좆선일보는 웹 포스터에 실린 만평이미지 해설기사를 내 보낸 것이다.

 

이태호

 

마치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이 날 국회 문예위의 '국민의 짐' 김승수의원이

‘예술의전당’에 전시의 부당함을 전하며 소명하라는 질의를 보낸 것이다.

 

하일지

 

전시계약 할 때 '예술의 전당'은 감염병 방역조치로 무산될 수도 있다는 전제조건을 붙여놓았기에,

전시계약자인 박재동씨에게 협의를 요청해 왔다.

 

아트만두

 

적법한 절차에 따라 승인된 전시를 ‘정치적 중립’을 근거로 전시를 못하게 압박한 꼴이 된 것이다.

이어 ‘경향신문’과 ‘여성신문’에서 박재동씨의 가짜 미투를 빌미로

‘2차가해’로 몰아붙이는 기사를 내보낸 것이다.

 

고경일

 

그런 와중에 '예술의전당'에서 코로나를 빌미로 3일만 전시할 수 있다는 변경 지침을 보낸 것이다.

전시 설치와 철수하는 날을 빼면 하루만 하라는 이야기 인데 하지 말라는 말이나 마찬가지였다.

이 지침이 국개위원의 압박에 의한 조치인지, 정부 방역지침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인지 헷갈렸다.

 

이하

 

적폐들의 협잡에 굴할 수 없어 하루 전시라도 강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인철, 박불똥씨가 포기한데다, 하루마저 못 쓰게 될 경우가 생길지 모르는

긴박한 상황이라 온라인 전시로 대체한 것이다.

 

레오다브

 

그런데, 다시 뒤 짚는 방역지침이 9월25일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추석 전후 공공미술관의 전시가 가능하다는 지침에 따라

‘처음 전시 승인한 열흘을 모두 쓸 수 있다는 통보를 예술의전당’에서 해온 것이다.

그러나 전시를 불과 4일 앞두고 나온 통보라 실행에 옮기기는 역부족이었다.

 

김우성

 

국개위원의 압력에다 기레기 언론까지 가세한 전시방해로 난항을 격은 것이다.

그 이후 ‘말하고 싶다’ 카페를 개설해 온라인 동영상과 아카이브 전을 열고 있다.

 

박재동

 

그런데 지난 년 말 박건씨로 부터 인사동 ‘나무아트’에서

오프라인 전시도 동시에 했으면 좋겠다는 연락이 온 것이다.

사회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예술로써 그 거리를 좁힐 의무감도 있다는 말이었다.

 

홍성담

 

전시를 열면 새해의 좋은 메시지가 될 수 있는데다 신년 인사를 겸한 만남도 될 수 있었다.

비록 전시장은 좁지만 오밀조밀 재미있게 꾸밀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기존 작가들이 추천한 이태호, 김우성, 박순철, 이현정, 정보경씨가 합류하게 되었고,

출품수를 줄여 소품 위주로 구성하게 된 것이다.

 

박순철

 

‘나무아트’ 오프라인 전시를 통해 정치 풍자와 더불어

역사에 대한 이야기. 새로운 발견. 현실에 대한 아픔과 분노 등

작가들이 하고 싶은 말을 당당하게 들려 주기 위해 일을 벌인 것이다.

 

정보경

 

참여 작가는 야전 작가 위주로 회화, 사진, 만화, 판화, 벽화 등 분야도 다채롭다.

고경일, 김우성, 레오다브, 박건, 박순철, 박재동, 성완경, 아트만두, 이윤엽, 이하, 이태호,

이현정, 조문호, 주 홍, 정보경, 하일지, 홍성담씨 등 열 일곱 명이 참가했다.

 

성완경

 

특히, 이번 전시에 열정을 보인 작가로는 비평가 성완경씨의 기습사진,

가짜 미투로 곤욕을 치룬 박재동씨의 손바닥아트,

공산품아트로 새로운 면모를 보여 준 박 건씨.

 

주홍

 

교보빌딩 외벽 전면에 독립운동가 초상을 펼친 레오다브,

독보적이고 강력한 시사캐리커처를 보여주고 있는 아트만두 등

저 마다 삶의 현장에서 거침없이 표출 해 온 작가들의 게릴라 전시다.

 

박건

 

그리고 이번 ‘말하고 싶다’전은 소통만이 아이라 유통에 초점을 맞춘 전시로

반출 없는 완판 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좋은 작품을 거품 뺀 싼 가격으로 소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조문호

 

지난 13일 오후4시 무렵 정영신씨와 전시장에 들렸는데,

김진하관장을 비롯하여 전시에 앞장 선 박건씨, 출품작가 이현정씨

그리고 장경호, 박윤호씨 등 여러 명이 전시를 관람하고 있었다.

다들 마스크를 쓰고 있어 자주 만나는 분 외는 누군지 알아 볼 수 없었다.

 

이현정

 

 거리두기로 오래 머물 수가 없었다.

다섯 시 무렵이면 더 많은 작가들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사라져 주는 것이 도움 될 것 같아 간다는 말도 없이 빠져 나왔는데,

거리에서 사진가 양재문씨와 곽명우씨를 만났다.

 

이 전시는 26일까지 인사동 '나무아트'에서 열린다.

많은 분들의 참관과 성원을 바랍니다.

 

사진, 글 / 조문호

 

이윤엽

 

이태호

 

하일지

 

아트만두

 

고경일

 

이하

 

레오다브

 

김우성

 

박재동

 

박순철

 

정보경

 

성완경

 

주홍

 

박건

 

조문호

 

'나무아트'에서 발행한 2021년 달력 (가격5,000원)을

전시장에서 판매합니다.

 

'말하고 싶다' 온라인 전시 동영상 버전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