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나무아트’에서 열리는 ‘말하고 싶다’전이 이제 종반에 접어들고 있다.

요즘은 인사동 전시도 대폭 줄었지만, 갤러리를 찾는 관객조차 뜸한 코로나 정국이 아닌가?

그러나 이 전시는 관람객의 발길이 이어지며 많은 작품이 팔리는 이변을 보이고 있다.

물론 참여 작가 열일곱 명의 역량과 작품 내용에 따른 관심이겠으나

아무리 좋은 전시라도 홍보에 따라 관객 수가 좌우될 수밖에 없다.

 

 공산품아트로 신선한 바람을 몰고 온 박 건씨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전시다.

혼자 전시장을 지켜가며 작품 판매에 올인 하고 있다.

물론 김진하관장도 틈틈이 도와주지만, 신들린 듯 전시에 몰두한다.

안 팔리기로 소문난 내 사진이 세 점이나 팔렸다니, 다른 작품이야 말할 것도 없다.

 

불황에 맞서 작품 가격을 파격적으로 책정한 것도 한 몫 했으나,

오로지 박 건씨 노력에 따른 결과다. 화가가 화상으로 전업할까 걱정된다.

혼자 북 치고 장구 치며 매일 매일의 경과를 페북에 올리고 있는데,

어찌 배짱 편하게 방구석에서 뭉갤 수 있겠는가?

 

정 동지 옆구리를 찔러 인사동 나가 밥이라도 한 끼 사라고 했다.

출품 사진도 정동지가 프린트했지만, 사진 판 돈도 정동지가 챙기니

밥도 그가 사는 게 맞지 않나 싶다.

 

지난 19일 정오 무렵, 인사동 ‘툇마루’에서 만나기로 했으나,

추가로 프린트한 사진 때문에 ‘나무아트’부터 들렸다.

전시장에는 박 건씨를 비롯하여 관객 두 명이 작품을 감상하고 있었다.

작품 판매로 연결되진 않았으나, 작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여지 것 판매보다 보여 주는 전시에 그쳤으나 이 전시는 달랐다.

다들 작품 가격을 살펴보며 지갑 사정을 저울질한다는 것은 대단한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서둘러 ‘툇마루‘에 갔더니, 정영신씨와 김진하관장이 먼저 자리 잡고 있었다.

된장비빔밥에다 막걸리와 녹두전 등 음식도 푸짐하게 시켰더라.

 

그런데, 요즘 김진하 관장이 틈틈이 산에 오르더니 몸 짱이 되었단다.

몸도 몸이지만, 산사진에 더 재미를 붙인 것 같았다.

이제 화가와 미술평론가에서 사진가란 이름도 더하게 되었다.

누구나 산에 오르면 사진이야 찍지만, 그가 보는 산은 달랐다.

별거 아닌 풍경 속에 담겨있는 작가의 아우라가 예사롭지 않았다.

덕분에 요즘 김관장이 페북에 올려주는 산 사진 보는 재미도 솔솔하다.

 

안주는 남았으나 술이 모자랐는데, 낮술에 맛이 갈까 더 시켜주지 않았다.

'툇마루'는 갈 때마다 서비스 안주가 나와 하나만 시켜도 될 텐데,

음식이 남아돌아 이 것 저 것 싸오는 주접을 떨게 만들었다.

좌우지간 원님 덕에 나팔 한번 잘 불었다.

 

그 날은 날씨가 포근해 그런지 인사동에 사람이 제법 나왔더라.

이 처럼 모든 것이 정상으로 돌아갔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인사동은 길거리만 돌아 다녀도 많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일층 쇼 케이스마다 전시하는 대표작이 걸렸기 때문이다.

 

전시장으로 올라 와 ‘나무다방’ 미쓰터 김이 타주는 다방커피를 마시며

최백호의 노래처럼 왠지 한 곳이 비어있는 허전함도 느꼈다.

 

한국조폐공사에서 인사동 지점을 냈는지, 박건씨는 전시장에서 지폐를 그렸다.

돈이 박 건 작가의 손을 거치게 되면 지폐 단위가 배로 올라간다.

작가의 말로는 아주 정교한 판화이며 공산품이라는 것이다.

천 원권 지폐에 새겨진 퇴계선생 얼굴에 마스크를 씌우고 거기다 서명을 하면,

돈에 앞서 한 해의 액운을 물리치는 부적으로 변하는 것이다.

 

정영신씨는 십 만원하는 신사임당 지폐는 엄두를 못 내고

만 원 내고 다섯 장을 사 갔는데, 어찌 작가의 품값에 미치겠는가?

그나저나 전시장을 매일 지키는 박 건씨가 안쓰러워 못 보겠다.

환갑이 지난 처지에 보름동안 전시장을 지키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다.

단체전이라 하루에 한사람씩 나누어 지키면 좋으련만, 괜찮단다.

 

하기야! 그가 없었다면 어찌 이런 흥행을 생각이나 할 수 있겠는가?

이번 주말이면 관심 있는 분은 대충 다녀갈 것 같아

월요일은 내가 전시장을 지키기로 했다.

 

월요일에 인사동 나올 걸음 있는 분은 ‘나무아트’로 구경 오세요.

전시장 문 닫는 오후6시 무렵에 ‘유목민’에서 술 한 잔 합시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