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이 인사동 같지 않다.
그 많은 인파는 오간데 없고, 북한 거리처럼 적막강산이다.
전시장이나 가게들은 겨울철이라 날릴 파리조차 없다.
빈 점포에 임대 쪽지 붙은 곳이 도처에 늘렸다.
전염병이 끝나면 본래의 인사동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아마 많은 것들이 바뀔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갤러리들은 밀린 임대료에 버텨내지 못하고,
팔리는 작품조차 없으니 작가인들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나 역시 코로나에 주눅 들어 인사동 출입을 자제하지만,
요즘은 비교적 자주 가는 편이다.
인사동 ‘나무아트’에서 ‘말하고 싶다’가 열리기 때문이다.
그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말하고 싶다’가 드디어 말했다.
이 전시는 정치 풍자와 더불어 역사에 대한 이야기.
현실의 아픔과 분노 등 다양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인사동 미술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좋은 작품을 싼 가격에 판매한다는 것이다.
‘말하고 싶다’는 소통만이 아이라 유통에 초점을 맞춘 전시로
반출 없는 완판 전을 목표로 세웠기 때문이다.
이 불경기에 전시 닷새 만에 숱한 작품이 팔려나갔는데,
팔리지 않는 나의 홈리스 사진도 두 점이나 팔렸다.
전시작은 고경일, 김우성, 레오다브, 박건, 박순철, 박재동, 성완경,
아트만두, 이윤엽, 이하, 이태호, 이현정, 조문호, 주 홍, 정보경,
하일지, 홍성담씨 등 열 일곱 명의 야전 작가가 참가하고 있다.
인사동 활성화와 작가 생존을 위해 인사동에 전시 보러 가자.
날이면 날마다 오는 기회는 아니다.
전시는 26일까지다.
사진, 글 / 조문호
위쪽 사진은 1월 13일 찍었고, 아래 사진은 12일 찍었다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하고 싶다’ 끝나는 날, 광주에서 귀한 손님 오셨네. (0) | 2021.01.29 |
---|---|
‘말하고 싶다’ 작가들의 외침이 들립니까? (0) | 2021.01.23 |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말하고 싶다’전, 인사동 ‘나무아트’에서 열려... (0) | 2021.01.14 |
‘대마불사주(大麻不死酒)로 새해 건강을 축원하다. (0) | 2021.01.12 |
해가 바뀌니 더 한산하다.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