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저리 살다 보니 잊어버린 지가 한 참된 고향에 들리게 되었다.

 

지난 20일 부산에서 열린 최민식 선생 10주기 심포지엄 가야 하는데,

열차표가 매진되어 부득이 고물차를 끌고 가야 할 처지에 놓인 것이다.

차도 불안하지만, 나 역시 걸어 다니는 송장이지만 어쩌겠는가!

 꼭 가야 할 일이기도 하지만, 호텔 방까지 잡아 두었다는데...

평생을 천운에 맡기고 살아온 내가 새삼 걱정할 게 무언가?

걷는다면 오백 미터도 못 가지만, 차만 있다면 다음날 죽더라도 어디엔 들 못 가겠는가?

정동지 더러 ‘지루하지만 멋진 드라이브가 시작 된다는 안내맨트를 날린 것까지는 좋았는데,

 불알처럼 차고 다니던 카메라 주머니를 두고 와 버렸다.

이미 시가지를 벗어났으나, 그냥 갈수는 없었다.

 

되돌아가 다시 네비를 보니, 도착시간이 심포지엄 시작 시간보다 15분 늦었다.

연료 넣으러 휴게소에 잠시 들렸을 뿐, 도착시간 줄어들기만 바라며 냅다 밟았다.

단속 카메라 피해 다니느라 졸음 올 겨를도 없었다.

통행료 계산할 시간마저 아끼려고 하이패스로 빠져버렸는데, 정확하게 15분 늦었다.

 

지금 다시, 최민식을 바라보다는 타이틀로 열린 심포지엄은

이광수교수의 최민식 사진의 작품성: 평론가와 대중의 평가 차이를 중심으로발제로 열리고 있었다.

사진가 이동근씨의 사회로 진행된 패널로는 사진가 김문호, 문진우, 강제욱씨가 나와 있었다.

오기 전에 발제문을 보아 내용은 알고 있으나, 귀가 어두워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옆에 앉은 정동지 메모 글을 넘겨보며 짐작할 뿐 자리만 지킨 것이다.

끝날 무렵에는 나 더러 무슨 말을 하라는데, 귀만 어두운 것이 아니라 입도 벙어리나 마찬가지다.

더구나 관중공포증이 있어 사람의 눈만 마주치면 무슨 말을 해야 할 지 아무 생각이 나지 않는다.

벙어리 가슴 앓는 소리 몇 마디 지껄이긴 했지만, 무슨 말을 했는지 기억조차 없다.

 

심포지엄이 끝나고 아구찜 집에서 술 마시는 시간은 좋았다.

이차로 하숙집이란 술집까지 갔는데, 술 맛나는 이교수 구라에 어찌 취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방에 들어가니, 그때 사 누적된 피로가 덮쳐 정신없이 뻗어버렸다.

다음 날은 이 교수 안내로 해운대 달맞이 명물 대구탕 집에 가서 해장하는 호강도 누렸다.

 

행사를 주관한 김정근 감독과의 인터뷰 약속이 있어 김 감독 스튜디오도 갔다.

걱정되는지 이교수까지 옆에 지켜 섰는데, 김감독이 다른 방으로 가시란다.

아마 김감독이 나의 문제점을 알아차린 것 같았다.

정동지는 있어도 괜찮다는 걸 보니, 보호자로 여기는 모양이다.

말은 잘 못 하지만, 김감독 묻는 대로 답하니, 어려울 것도 없었다.

놓친 말이 있어 블로그에 다시 글을 쓰기도 했는데, 그래도 할말이 남았다.

언젠가 하늘나라 계시는 선생님께 못다한 편지를 쓰고 싶다.

 

일은 마쳤지만 길바닥에 기름 쏟으며 부산까지 왔는데, 반 본전이라도 뽑아야 하지 않겠나!

인근에 있는 경상도 장을 찾아 가려는데, 하필이면 밀양 무안장에 가 잔다.

어린 시절에도 가본 기억이 있는 무안장은 고향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다.

 

이곳이라고 안 바뀔 수 있겠는가?

정동지는 사람들 만나 이야기를 듣거나 사진을 찍었지만, 나는 차에 자빠졌.

가만히 생각해보니, 무안까지 와서 고향 산소에 들리지 않는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았다.

장터 마겥에서 소주 한 병과 과자 한 봉지를 샀다.

 

부곡 온천을 거쳐 고향 영산으로 들어오니, 초입의 만년교가 반겼다.

만년교 풍경을 보니 돌아가신 아버지 친구 김형권씨가 생각났다.

김형권씨는 쇠머리대기기능 보유자로 사진을 하셨는데, 주로 민속놀이를 찍으셨다.

삼일문화제를 찾는 아마추어 사진인들을 위해

한복을 차려 입은 어린이나 농부가 만년교를 건너가는 모습을 연출해주기도 했다.

  만년교 위에서 쥐불 돌리는 사진들은 대개 김형권씨 도움을 받아 찍은 사진일 게다.

 

그리고 박만영씨가 운영했던 '녹지사진관'의 진열장에는 항상 가족사진 대신 흑백풍경이 걸려 있었다.

나도 60년대 중반 무렵,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를 구입한 적이 있었다.

사진도 사진이지만 텅스텐  전구를 터트리는 텅스텐 스트로보가 멋 있었다. 

친구들 기념사진이나 찍으며 폼 잡고 다닌 것이다.

찍은 흑백필름을 박만영씨 사진관에 맡겼는데, 그 때 암실을 살펴 본 기억이 난다. 

 서정적인 농촌풍경을 많이 찍으셨는데, 그 사진 원판은 다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60년대 초반 창녕경찰서장으로 계셨던 이봉하씨도 사진을 찍었다.

이봉화씨는 주로 백로사진을 많이 찍으셨는데,

한 번은 관용차 타고 늪에 사진 찍으러 가다 엠비시 기자한테 걸려 혼이 나기도 했으나, 

정년 퇴임하여 '사협' 이사장까지 하셨다. 

 

영축산 아래턱의 대암골이라 불리는 산소는 본래 감나무 과수원이었다.

감나무는 고목이 되어 다 넘어졌으나, 지팡이 짚고 버티던 제실마저 넘어지고 없었다.

 

몇 년 만에 왔는지 기억조차 아련하니, 조상님께 어찌 고개 들 수 있겠는가?

언제나 감싸주시던 할머니부터 술 한 잔 올렸다.

마음으로 빌었으나, 다 무슨 소용이겠는가?

힘들게는 살지만 하고 싶은 일 하며 잘 산다고 말씀드리고.

산소에서 뵙는 건 마지막이 될 것 같다며 아쉬워했다.

 

사진: 정영신, 조문호 / 글: 조문호

 

 

 

 

몇 년 만에 고향을 찾았다.

그것도 함안에 대목장 찍으러 간 김에 들린 것이다.

가끔 구마고속도로를 거쳐 갈 때도 있었지만

시간에 쫓겨 그냥 지나칠 때가 더 많았는데,

이날은 고향인 영산도 장날이라 작정하고 찾아나선 것이다.

 

 

 꼭 가보고 싶은 곳도 있었다.

죽기 전에 꼭 한 번 찾아 보아야 할 숙제처럼, 마음 깊이 자리잡고 있었다.

함박산 약수터는 어릴 때 약수 길러 다니기도 했지만,

약수터 옆에 있던 여관의 아름다운 추억을 잊지 못해 서다.

 

영축산에서 내려다 본 영산시가지 전경 / 2019.8 촬영

 

청년시절 애인과 고향을 찾아 그 여관 이층방에 묵었는데,

아침에 눈을 떠보니 열어놓은 창문으로 벚꽃이 날아들어 꽃방이 되어 있었다.

몸 위에 흩 뿌려진 그 꽃잎의 행복감을 어찌 잊을 수가 있겠는가?

 

그러나 모든 것은 바뀌었다.

돌길은 시멘트 포장으로 바뀌었고, 여관은 오간데 없고 절집만 버티고 있었다.

약수터에서 내려다 본 읍내 풍경도 예전과 딴 판이었다.

 

누군 ‘산천은 유구한데 인걸은 간대 없네’ 라고 한탄 했다지만,

산천도 인걸도 다 바뀐 살풍경이었다,

 

약수터에 물통은 줄지어 기다리는데, 물이 없는지 병아리 눈물처럼 찔찔나왔다.

지켜 선 아낙의 선심에 약수 한 잔 얻어 마실 수 있었는데. 역시 물맛 하나는 죽였다.

즐겨 드셨던 아버지 산소에 약수 한 병 떠가고 싶었으나, 기다릴 시간이 없었다.

내려오다 석빙고 주변을 정비해 놓아 석빙고도 들려 보았다.

어린 시절엔 그 곳이 놀이터가 아니라 공포의 대상이었다.

한 밤중에 석빙고에 들렸다 오는 것에 내기 걸 정도였으니까... 

 

잔디밭을 넓게 조성하여 마치 왕릉처럼 만들어 놓았는데,

석빙고 문이 잠겨 창살 틈으로 살펴 보아야 했다.

천정을 비스듬히 쌓은 석축의 장중하고 우아한 자태는 여전했다.

남산아래 만년교 석축과 연관은 없는지 모르겠다.

 

영산 만년교 2019. 8 

 

시간이 없어 함께 간 정영신씨만 장터로 가고

혼자 영축산 중턱에 있는 대암골 산소에 찿아갔다,

고사 직전에 있는 과수원의 감나무 가지는 내 눈을 찌를 것 같았고,

무너진 석축은 가슴을 후벼 팠다.

 

할아버지 할머니께 술 한 잔 올려 드리고,

아버지 무덤 앞에 엎드려 마음의 빚을 다 토해냈다.

아버지 옆에 묻지 말라는 어머니 말씀을 거역하지 못해 정선에 모신

이 못난 자식이 얼마나 원망스러웠겠는가?

아버님! 이 불효자식을 부디 용서하십시요.

 

얼마 전 병원에서 조직검사 한다기에 불길한 생각이 들었는데,

어쩌면 살아생전 마지막 사죄일지 어찌 알겠는가?

생전에 잘 모셔야지 돌아가시면 다 헛것인줄 알건만,

죄책감에 의한 스스로의 위안인걸 어쩌겠는가?

 

기약 없는 발길을 돌려 찿아 간 장터는 이미 파장이었다.

흥청대던 옛 장터의 정취는 사라진지 오래지만,

낯선 상인들만 마지막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모든 게 다 바뀌었지만, 딱 하나 남은 것도 있었다.

 

바로 싸전 입구에 세워진 종탑이었다.

종탑이라 불렀지만, 싸이렌이 울리던 철탑이었다.

통금이나 반공 훈련 때나 울었지만,

옛 추억이 배어 있는 유적의 파편이었다.

 

돌아오는 길가 연지 못 위로 석양이 넘어가고 있었다.

물가에 노는 물오리마저 처량해 보였다.

 

"처량한 내 신세에, 네 신세마저 처량한 것이더냐?"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