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작 팔러 장에 가는 행렬이 오래된 추억을 일깨운다.
그리 많지도 않은 장작을 머리에 이고 가는 모습에서 가난의 세월이 그대로 읽혀진다.
네 사람이 이고 진 장작을 다 모아도,
하루 저녁 군불 땔 양밖에 되지 않을 텐데, 도대체 몇 푼이나 받을 수 있었겠는가?

옛날엔 곡식 다음으로 필요한 것이 땔감이었다.
가스나 석유가 대체한 요즘의 연료에 비해 원시적이긴 하지만,
마음까지 따뜻해지는 것이 장작불이나 화롯불이다.

온돌방에 군불을 때거나 밥을 짓는 등 가정에서 사용한
유일한 에너지가 장작이나 솔가리뿐이었다.
요즘에야 산에 나무가 흔하지만,
예전에는 헐벗은 산이라 나무도 흔치 않았다.







농한기인 겨울에는 대개의 사람들이 나무하러 다녔는데,
가난한 집은 어린이까지 나무하러 다녔다.
나도 친구 따라 한 번 간적이 있었는데,
빌린 지게가 내 키만 해 질질 끌고 다닌 기억이 난다.

그러니, 장날만 되면 나무전에 장작이나 솔가리 둥치가 많이 나왔다.
아버지께서 나무장사와 흥정해 마루 밑이나 헛간에 사 모았는데,
나무가격도 천차만별이었다.
무게로 달아 파는 것이 아니라 어림짐작으로 매기니 그럴 수밖에..

장작이 타 들어가는 부엌아궁이에 쪼그려 않아
감자나 고구마를 구워먹던 추억도 새록새록 하지만,
밥 짓느라 아궁이를 지킨 엄마 옆에 달라붙어 용돈 달라고 칭얼대던 기억도,
화가 난 엄마가 부지깽이를 들고 달려 나오던 모습이 주마등처럼 머리를 스친다.






그런 촌스러움이 그리워서인지, 요즘도 정선만 가면 나무를 하고 아궁이에 군불을 지핀다.
아궁이에 군불 때는 것은 물론, 도끼로 장작 패는 재미도 쏠쏠하다.
도끼 한방에 쩍쩍 벌어지는 쾌감이나,
타닥타닥 타들어가는 불길을 지켜보며 생각에 잠기는 재미를 알랑가 모르겠다.
따뜻한 아랫목에 드러누워 등 찌지는 맛은 또 어떻고...

몇 년 전에는 넘어지는 나무에 치여 발가락이 망가지는 사고도 있었지만,
나무를 쌓아두면 부자가 된 것처럼 마음이 넉넉해지는 것은 오랜 추억 때문일 것이다.
올 해는 여러 분들의 집안에 장작불 같은 행복의 에너지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위의 사진은 작고하신 광고사진가 김한용선생의 초기사진 ‘장터 길’이고,
아래 사진은 조문호의 '두메산골 사람들'이다. 글을 조문호가 썼다.







특별한 만남_사진작가 조문호님

 

 

 아름다운가게와 함께하는 조문호 사진작가|


겨울의 한 가운데 들어선 1월의 어느날, 서울 인사동의 한 작은 카페에서 조문호 사진작가님을 만났습니다. 현재 한국환경사진가회 회장으로, 꾸준한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계시는 조문호 사진작가님과 아름다운가게와의 만남의 시작은 지난 12월 22일에 인사동 덕원갤러리에서 땅, 사람, 생명-두메산골 사람들에 대하여란 주제를 가지고 조문호 사진전이 열렸는데 그때 전시된 작품 중 5점을 아름다운가게에 기증을 하게 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사람만큼 많은 이야기를 가진 것이 없어요. 말은 포장이 되지만 사진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나타내지요. 바로 이런 점에 사진의 매력을 느껴서 사진을 시작했어요..” 말씀 가운데 소박함과 따뜻함이 느껴지는 조문호님은 대학시절 국문학을 전공하셨지만 우연한 기회에 보게 된 한 장의 사진에 커다란 감동을 받게 되었고 사진작가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무척이나 막막했지만 잡지사에서 근무하시면서 많은 사진을 찍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것이 큰 도움이 되셨다고 하십니다.

 이번에 땅, 사람, 생명-두메산골 사람들에 대하여란 주제를 가지고 전시를 하셨는데 이 작업을 하게 된 배경과 촬영 중 에피소드는 무엇이 있었는지에 대해 여쭈어보았습니다. “저는 이 일을 즐깁니다. 즐겁지 않으면 할 수가 없는 일이지요.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 6년간 강원도 정선에서 그 곳 사람들과 같이 생활하면서 한 가족이 되었어요. 그래야만 사진을 찍을 수가 있어요. 강원도 산골이라서 여름에 폭우로 강물이 불어서 며칠동안 고립되고 어려운 점도 많았지만 우리의 것이 점점 없어지니까 그것이 참 안타깝고 슬퍼지더라구요. 그래서 기록해보고자 이 일을 시작했지요.”

조문호님의 이 말씀속에서 급속한 근대화에 빠르게 망각되고 훼손된 우리네 삶과 문화가 잊혀져가고 사라져 가는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슬픔, 그리고 우리네 것을 지키려고 하는 그분의 강한 의지가 느껴졌습니다. 그래서인지 조문호님의 작품에서는 땅, 사람, 생명에 대한 그 분의 사랑의 메시지가 담겨져 있으며 나이드신 분에게는 옛 것에 대한 추억을, 젊은 이에게는 옛 것의 소중함과 새로움을 줍니다.

사진을 어떻게 하면 잘 찍을 수 있을까요라는 다소 어린아이 같은 질문에 미소를 지으시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을 많이 찍어보는 것, 그리고 사진을 통해서 어떤 이야기를 할지 그것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시네요. “저는 사람이 좋아서 사람을 찍는데 인물의 내면을 표현한다는 것이 참.. 어려운 일이고 저에게는 어쩌면 영원한 숙제와도 같은 것이죠.” 조문호님께서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지에 현재 고민중이고 앞으로 작업을 하실 계획을 가지고 계신답니다.

현재 1남 1녀를 두고 계신데 아드님 역시 사진을 전공하고 계시다구요. 이번에 아름다운가게에 귀한 작품을 기증해주셔서 감사의 말에 어려운 때에 아름다운 일을 하는 모습이 보기에 좋으시답니다. “내 것을 준다는 것, 쉬운 일은 아니지만 줄 수 있어야 해요. 그러면 더 행복하고 기쁘지요. 저도 제가 줄수 있는 것, 베풀수 있는 것은 아낌없이 주고 싶어요.”

조문호님의 이 말씀에 우리가 줄 수 있는 것, 나눌 수 있는 것에 무엇이 있을까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조문호님의 이번 기증은 예술인의 재능기부이라는 새로운 기증문화의 시작을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 같은데요. 조문두호님의 따뜻한 나눔에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좋은 작품 활동 기대합니다.

 

 

 

 

 

 

 

 

 

 

 

 

 

 

 

 

 

 

 

 

 

 

 

 

 

 

 

 

 

 

 

 

 


 

 

 

 

 

 


'조문호사진판 > 두메산골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산골 사람들 (사진1)  (0) 2015.09.19
두메산골 사람들 (사진2)   (0) 2013.04.13

+ Recent posts